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OKJA Jul 10. 2022

B급과 S급의 경계에서

영화 <동성서취> (射鵰英雄傳之東成西就, 1993)

 ‘올스타전’이라는 말은 단지 스포츠계에서나 쓰이는 말이 아니다. <동성서취>는 유진위 감독, 왕가위 제작의 B급 코미디 영화로 그 시절 홍콩 영화를 이끌어갔던 톱 배우들과 톱 제작진이 총출동하여 만든, 그야말로 올스타 영화이다. 장국영, 임청하, 왕조현, 양가휘, 양조위, 장만옥, 장학우, 유가령을 한 프레임 안에서, 그것도 그들이 우스꽝스러운 분장하고 열연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홍콩 영화와 배우를 사랑하는 팬들은 그저 열광할 뿐이다.

 사실 <동성서취>는 왕가위 감독의 <동사서독>이 있었기 때문에 만들어진 영화이다. 왕가위 감독의 제작 일화를 들어본 사람이라면 알겠지만, 왕 감독은 배우들을 힘들게 하기로 유명하다. 원하는 컷이 나올 때까지 한 컷을 반복하는 것은 기본이고, 제대로 짜인 스케줄 없이 당장 다음 촬영할 신을 그날 마음 가는 대로 결정하기도 한다. 몸값 높은 배우들이 모였으니 이번엔 다르지 않을까 하지만 혹시나가 역시나로, <동사서독>도 마찬가지로 수년 동안 촬영이 이어졌고 차일피일 늘어져 제작비가 전부 소진되고 말았다. 작품의 주 무대가 사막이라 배우들의 스트레스는 극에 달했고, 촬영 도중 왕조현이 중도 하차하는 불상사까지 벌어졌다. 이렇게 난항에 빠져버린 <동사서독> 촬영을 구덩이에서 건져 올린 사람이 있었는데, 그가 바로 제작으로 있던 유진위 감독이다. <동성서취>는 개봉 후 흥행에 대성공했고, <동사서독>의 1년 치 예산을 벌어들이는 쾌거를 보였다. 왕가위 감독의 우유부단한 성격이 아니었다면 탄생하지 못했을 영화라는 것이 참 아이러니다.

단왕야 역의 양가휘

 <동성서취>와 <동사서독>은 김용의 무협소설인 <사조영웅전>을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등장인물은 변함이 없지만, 배역이 다르게 설정되었다는 점이 다른데 <동사서독>의 구양봉, 황약사가 장국영과 양가휘였다면 <동성서취>는 양조위와 장국영이 배역을 맡는 식이다. 언급된 인물 이외에도 두 작품에서 서로 다른 배역을 연기하는 배우들의 모습을 관람하는 재미가 쏠쏠하다. 말 그대로 극과 극을 달리는 두 작품이라, 배우들의 우스꽝스럽기 그지없는 연기를 보고 있자면 진지하게 사랑과 후회를 열연하던 <동사서독> 속 배우들의 모습이 연상되어 배로 폭소하게 된다. 특히 양조위의 태연한 코믹 연기가 감초 역할을 톡톡히 하는데, 코미디를 전문적으로 배웠나 싶을 정도로 극과 잘 어우러진다. 혹여 자신이 애정하는 배우가 등장한다면, <동성서취>는 반드시 시청하길 추천한다.

구양봉 역의 양조위

 <동성서취>는 정말 대놓고 ‘황당한’ 영화이다. 그러나 세련된 유머가 연속되고, 대형 톱스타들이 대거 출연함에도 불구하고 배역의 비중을 맞추어 밸런스를 유지했으며, 수많은 인물이 등장하는데도 마치 체스처럼 영리하게 인물들을 배치하며 인물 간의 서사와 케미스트리를 잡았다. 거기에 고전소설인 김용의 <사조영웅전>을 변용하며 각각의 인물들에 독특하고 확고한 캐릭터성까지 부여한다. B급 영화라기엔 짜임새가 훌륭하고, A급 영화라기엔 해학이 한가득한 작품이다. 찬란했던 그 시절의 홍콩 영화를 기억하는 팬들에겐 분명 S급 작품일 <동성서취>를 추천하며 글을 마쳐본다.

매거진의 이전글 자신도 모른 채 밟아간 삶의 궤적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