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부동산센터 이호영 Sep 29. 2018

부산, 도시재생 뉴딜사업 공모 7개 지역 선정

소규모 재생사업 5곳… 2022년까지 2307억원 투입

2018년도 도시재생 뉴딜사업 부산지역 7곳 선정… 2022년까지 2307억원 투입

                

▲ 부산시 도시재생 뉴딜사업 선정지역 7곳.

국토부는 이낙연 국무총리 주재로 8월 31일(금)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도시재생특별위원회를 열고, 「2018년도 도시재생 뉴딜 선정안」을 의결하고 특위 개최결과 부산지역 7곳이 선정됐다. 


국토부가 최종 선정한 이번 사업에 부산은 총사업비 2,307억원(국비 652, 지방비 751, 기타 904)을 내년부터 2022년까지 투입해 쇠퇴한 도시를 살리고 일자리를 창출하는 도시혁신사업이 본격적으로 추진하게 된다.  


부산시가 선정한 광역선정 5곳과 국토부가 선정한 중앙선정에 2곳이 선정됐다. 도시재생 뉴딜사업 방식에는 △우리동네살리기형 △주거지지원형 △ 일반근린형 △중심시가지형 △주거지지원형 등이 있다.


우선 광역선정으로 △우리동네살리기형은 서구 동대신2동 “닥밭골, 새바람” △주거지지원형은 연제구 거제4동의“연(蓮)으로 다시 피어나는 거제4동 해맞이마을”, 중구 영주동의 “공유형 新 주거문화 클라우드(CLOUD) 영주”△ 일반근린형은 해운대구 반송2동의 “세대공감 골목문화마을, 반송 Blank 플랫폼”, 사하구 신평1동의 “시간이 멈춘 듯한 정책이주지 동매마을의 공감과 바람! Reborn” 모두 5곳이다. 


중앙선정으로 △중심시가지형은 동래구 온천1동의 “온천장, 다시 한번 도심이 되다” △주거지지원형(공공기관 제안)은 금정구 금사동의 “청춘과 정든마을, 부산 금사!” 2곳이 선정됐다. 


이번 선정 사업에 동래구는 지역의 역사자원과 문화자산을 활용, 특화거리와 혁신복합공간을 조성해 지역상권 활성화를 추진한다. 중구와 사하구는 경사형엘리베이터를 설치해 편안한 보행로 확보(서구), 공공임대상가를 조성해 둥지내몰림에 대응토록하며, 연제구는 20세대 미안의 인접한 노후 단독다가구 주택의 주민합의체를 구성해 소규모 주택정비를 통한 지역재생 사업을 벌인다. 


도시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는 스마트 시티형(총 31억) 도시재생사업 5곳(동래구 3억, 해운대구 6.5억. 사하구 10억, 금정구 5억, 연제구 6.5억 )이 반영됐다. 


중구, 연제구, 해운대구는 노후 주거지를 정비해 공공임대주택이나 공공주택을 공급하고 생활환경을 개선하는 계획이다. 또한 사하구, 동래구, 금정구는 공공청사를 복합개발해 공공임대주택 또는 주민커뮤니티 시설을 확충하는 계획이다. 이 외에도 주민 주도 커버넌스를 구축해 주민참여형 사업을 추진하는 전반적인 계획도 포함됐다.  


앞으로 추진계획은 이번에 선정된 부산지역 7곳에 대해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오는 9월말 시민 의견수렴을 위한 공청회와 시의회 의견청취과정 등을 거치고 11월경에 국토부에 ‘도시재생 선도지역 지정’을 신청하게 된다.


금년말까지 국토부가 선도지역으로 지정하고 내년 상반기까지는 ‘도시재생 활성화계획’ 승인을 마치는 등 관련 행정절차를 이행하게 된다. 


부산시와 (재)부산광역시도시재생지원센터는 선정된 7곳에 대해 사업별 특성에 맞는 컨설팅을 제공하는 등 ‘ 맞춤형 재생’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2018 부산 도시재생 뉴딜사업 대상지 현황. (사진=부산시 제공)


도시재생 뉴딜사업은 노후 주거지를 쾌적한 주거환경으로 정비하고, 구도심을 지역의 혁신 거점으로 조성해 맞춤형 일자리를 창출하는 것 뿐만 아니라 지역주민 등 다양한 주체가 참여하는 거버넌스를 구축토록 하고, 지역 내 자발적인 상생협력을 유도해 도시재생의 이익을 지역사회가 함께 공유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가게 된다.  


소규모 재생사업 5곳 선정


도시재생 뉴딜사업 7곳 외에도 지역주민이 직접 체감할 수 있는 소규모 점 단위(Spot) 프로젝트 사업인 소규모 재생사업도 5곳이 선정됐다. 


△ (중구) 영주'Hi-story' 육아나눔터 △ (서구) 닥밭골 골목정원 조성사업 △ (동래구) 향파 이주홍을 따라 걷다 천년의 온천장을 만나다 △ (사하구) 청춘 生生 플러스 △ (금정구) 마실길이 살아나는, 금사점빵 골목길!! 사업이다. 


소규모 재생사업이란 사업별로 5천만 원에서 2억원까지 국비를 지원받는 사업으로, 이를 통해 지역주민은 도시재생 과정에 직접 참여해 생활환경을 개선하고 지역공동체를 활성화하게 되며, 향후 “도시재생 뉴딜사업”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준비를 갖추게 된다. 


도시재생 뉴딜사업은 도시쇠퇴에 대응하여 물리적 환경개선과 역량강화사업을 통해 도시생활환경을 종합적으로 재생하기 위한 것으로 노후 주거지, 구도심, 원도심 등을 중심으로 주거환경개선과 도시경쟁력 회복을 위한 사업이다.   


기존 도시재생사업은 건물을 철거하고 새로운 아파트를 지어 경제적으로 여유가 있는 주민을 입주시키는 것으로 도시의 단순 재생에 초첨을 둔 반면, 도시재생 뉴딜사업은 주민이 체감하도록 세입자의 복지와 일자리 창출, 공동체 복원 등을 위한 도시혁신사업이라는데 특별한 의미를 지닌다.  


따라서 부산시는 구․군 및 도시재생지원센터, 각급 공공기관(LH, HUG, BPA, BMC 등)과다 함께 협업을 통하여 민선7기 주요현안을 중심으로 ’19년도 도시재생 뉴딜사업에 적합한 사업들을 선제적으로 발굴하는 등 도시재생 뉴딜사업을 차질 없이 진행하고 준비해 나갈 계획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 부산발전 2030 비전 및 전략. (사진=부산시 제공)


한편 시는 내년 수립예정이던 「도시재생전략계획 재정비계획」을 1년 앞당겨 추진한다고 밝혔다. 오거돈 시장의 주요공약인 각종 도시재생사업과 구․군의 다양한 제안사업 등을 담기 위한 것으로 2030목표의 법정계획이다. 


이에 필요한 사업비는 6억원 정도로 금년 2회 추경예산에 1억원을 우선 반영하고 관련용역 수행절차를 진행해 나갈 방침이다. 


부산시 관계자는 “지난 10년간의 도시재생을 경험하면서 과거 양적팽창과 외곽확산 위주의 도시정책에서 쇠퇴한 기성 시가지 위주로 정책을 전환하고, 상대적으로 열악한 쇠퇴지역의 활성화를 위해 시민들과 함께 고민하면서 주민의 제공하는 도시재생, 인간중심 포용중심의 진정한 의미의 공동체를 구현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깊이 인식하고 다양한 도시재생정책을 추진해 나갈 것이다”라고 밝혔다.





http://www.economytalk.kr/news/articleView.html?idxno=168224







작가의 이전글 경남, 도시재생 뉴딜사업 공모 8개 지역 선정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