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진우 Sep 02. 2019

우리들

‘그럼 언제 놀아?’


이 작품이 개봉했을 당시, 세간에 많은 호평과 기억에 남는 리뷰들이 많아 꼭 보고 싶었지만 한국에 있지 않아서 극장 관람을 놓쳤던, 그 후에는 나름대로 바쁘게 산다는 핑계로 잊고 살았던 윤가은 감독의 작품 ‘우리들’ 을 후속작 ‘우리집’ 을 감상하기 전날 부랴부랴 감상했다.


감독의 장편 데뷔작이라는 게 믿기지 않을 만큼 본 작품은 짜임새 있고 단단하다. 불필요한 장면 하나 없이 뛰어난 카메라 워킹으로 호흡을 조절해가는데 94분이라는 시간이 눈 깜짝할 사이에 흘러간다. 특히나 롱테이크 기법으로 영화를 이끌어가는 아이들의 모습을 비추면서 감독이 말하고자 하는 ‘관계에 대한 고찰’ 을 담아낼 때, 극장에서 관람하는 값진 경험은 놓쳤지만 지금이라도 볼 수 있어 다행이다 라는 생각을 했다. 손톱에 물드는 봉숭아 물과 화려한 색으로 그 위를 덮을 순 있지만 결국 벗겨지고 마는 건 매니큐어라는 걸 보여줌과 동시에 엔딩 속 타인의 모습을 통해 오프닝 속 본인의 모습을 투영하며 성장하는 모습, 여름을 썩 좋아하지 않는데도 계절의 싱그러움과 존재감을 표현해내는 것, 모두 선명히 기억에 남는 연출이다.  

관계, 참 어렵다. 정확하게 발음하여 말하기도 쉽지 않은 ‘관계’ 는 비단 내 삶을 돌이켜보더라도 쉬웠던 순간이 단 한 번도 없다. 가족, 친구, 애인 그 주체가 누구이든지 간에 삶 속에서 타인과 어떤 관계를 구축하고 나면, 그 안에서 신뢰를 쌓아야 했고, 그 신뢰가 무너지지 않게 가끔씩은 거짓말도 해야 했고, 그 거짓말로 인해 관계가 무너지기도 했다. 지금보다 어렸을 때라고 해서 크게 다르지 않았다. 극 중 선이, 지아, 보라 또래의 나이였을 때 오히려 더 힘들게 나를 괴롭혔다. 요령이란 게 조금도 없었다. 모든 게 처음이던 그때 그 시절엔 어떻게 해야 맞는지를, 무엇이 옳은지를 내게 알려 준 책이나 영화가 없었다. 그래서 더 쉽게 상처를 주고받았고 그러면서 키도 크고 관계를 다듬는 내 요령도 함께 다듬어졌다. 그럼에도 관계는 내게, ‘우리들’ 에게는 여전히 어려운, 실로 복잡한 질긴 실타래처럼 느껴진다.

초등학교 4학년, 내 나이 11살일 때는 숨기고 싶은 게 참 많았다. 지금은 부끄럽지 않은 것들이 부끄러운 나이였고, 어떤 무언가를 친구들에게 들키지 않으려고 꼭꼭 숨기다가 탈로 났을 때 흡사 세상이 무너지는 경험 비슷한 것을 하기도 했다. 어른들은 고민이 있으면 편하게 털어놓으라고 쉽게 말하지만 그때 우리에겐 아직 배워야 할 것들이 학교 앞 분식집 김밥처럼 쌓여있는 ‘우리들’ 에게는 모든 게 어려운 숙제였다. 학교 숙제가 없어도 학원 숙제가 있었고, 학원 숙제가 없으면 인생의 숙제가 기다리고 있었다. 친구들과 놀이터에서 뛰어노는 일 말고는 정녕 쉬운 것이 없었다.

우리들은 그렇게 성장하며 살아 왔고, 아마 내일이 온다고 해서 크게 달라지지 않을 것이다.

아, 그럼 언제 놀지?

매거진의 이전글 봉오동 전투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