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바롱이 Feb 04. 2024

2024년 푸른 용의 해, 입춘첩과 목우

[입춘立春]


입춘은 봄이 온다고 생각하는 날로, 대개 양력 2월 4일경이다. 24절기는 중국 화북 지역의 기후를 기준으로 만들었기 때문에 한국에서는 입춘에 봄기운을 느낄 수 없다. 예로부터 입춘에는 대문이나 기둥에 봄이 온 것을 축하하거나 기원하는 글을 써 붙여 봄을 맞이하고, 집안의 풍요와 안녕을 기원한다. 제주도에서는 입춘굿으로 풍농을 빌기도 한다.

 

2024년 갑진년(甲辰年). '푸른 용의 해' 첫달이 시나브로 지나가 버리고 꽃샘추위속 봄기운이 살랑살랑 다가오는 2월이다.


봄이 시작되는 새해 첫 번째 절기인 입춘(立春)에는 일 년을 무사히 보내기를 기원하며 한해를 소망하는 글을 써서 대문이나 기둥에 붙인다.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청주향교 외삼문에 붙어있는 입춘첩이다.(입춘대길(立春大吉)과 건양다경(建陽多慶)은 '봄이 시작되니 크게 길하고 따뜻한 기운이 도니 경사가 많다'라는 뜻이다.)


추위가 누그러들고, 초목이 싹트고, 봄기운이 돌기 시작하는, 다가올 따뜻한 봄맞이를 준비하는 2월이다.


서울 국립민속박물관 김동복 기증 입춘서이다. 입춘서입춘첩에  봄맞이 문구를 정리해 엮은 문서이다. '입춘대길 건양다경, 입춘을 맞이해 좋은 운이 들어오고, 집안에 경사가 않기를 바람', '금방창갑 만수무강 과거에 장원급제하고, 오래오래 건강하게 살기를 바람', '오곡동양 육축답성, 오곡(쌀, 조, 수수, 팥, 콩 풍년들고, 여섯 가축(소, 말, 양, 개, 돼지, 닭)과 논이 풍성하기를 바람' 등의 내용이 적혀 있다.


입춘 풍경 사진 엽서는 색동옷을 차려입은 아이들의 모습이 담긴 사진 엽서로, 대문에는 '입춘대길立春大吉', '건양다경建陽多慶'이라고 쓴 입춘첩이 붙어있다.


서울 국립민속박물관 목우와 입춘첩이다. 목우제주도의 입춘굿에 등장하는 나무로 만든 로, 제주도에서는 ‘낭쉐'라고 부른다. 이 소는 입춘굿의 모의 농경에 등장하며, 풍농을 기원하고 농사의 시작 시기를 알리는 역할을 한다. 조선 시대 이원조李源祚, 1792-1871가 쓴 『탐라록耽羅錄』(1841)에는 관복을 갖춰 입은 호장戶長이 나무로 만든 소를 끌고, 기생들이 좌우에 서서 이를 따르는 모습이 나온다.


입춘첩은 봄이 온 것을 축하하거나 기원하는 글을 적은 종이로, 입춘에 집의 대문이나 기둥, 문 위에 붙인다. 대문에 가장 많이 쓰이는 문구로는 '입춘대길立春大吉’, ‘건양다경建陽多慶'이 있으며, 집안 공간의 성격에 따라 붙이는 내용이 다르다.


매거진의 이전글 육식공룡이 남긴 사랑의 흔적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