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인체 내부 시각화 방법
- 엑스선 촬영, 컴퓨터 단층 촬영, 자기공명영상, 초음파 검사, 그리고 내시경
2. 내시경 영상의 특징
- 다른 영상들은 2차원 영상임.
- 내시경은 인체 내부로 광원을 삽입하여 장기의 내벽을 실시간으로 관찰할 수 있는 방법
- 초음파, CT, MRI 등은 고형 장기를 관찰하는 데 주로 사용하나, 내시경은 검사 중 장의 연동운동이나 관강 내의 공기 양에 따라 관찰 대상의 모양이나 위치가 달라질 수 있어서 정형화된 영상을 얻기가 어렵다는 제한점이 존재함.
3. 내시경으로 관찰할 수 있는 장기
- 소화관 : 위, 대장, 소장
- 위내시경 : 인후두, 식도, 위, 십이지장
- 대장내시경 : 소장 말단, 결장, 직장, 항문
- 소장내시경 혹은 캡슐내시경 : 소장
4. 내시경 스콥의 구조
- 연결부, 조작부, 삽입부로 이루어짐.
- 조작부의 끝 10cm는 굴곡부로 조작부의 knob을 조절하여 상화좌우 방향 조절을 함
- 조작부 말단은 대물렌즈, 광원렌즈, 노즐과 겸자공으로 구성됨.
5. 검사시 유의점
- 위는 주머니 모양 구조라 내부에서 내시경을 반전시키거나 회전시키는 등의 조작이 가능
- 일반적인 소화관은 음식물이 없는 경우 장기가 눌러져 있는 경우가 많아서 검사 중 지속적으로 공기를 주입하여 공간을 만들어야 관찰이 가능하다.
6. 내시경 검사의 제한점
a) 장기의 특성에 따른 제한점
- 해부학적 구조로 인한 제한점 : 카메라가 내시경 끝에 있어서 전진 방향으로만 관찰이 가능
- 주름 사이를 관찰해야 하는 경우 내시경 조작의 제한으로 모든 부분을 관찰하기 어려움.
- 연동운동 때문에 매 순간 모양이 변함
- 정면에서 관찰할 수 없는 카메라 주변부 영상은 얻을 수 없음.
- 카메라에서 먼 부분은 어두워서 잘 안보임.
b) 관찰자에 의한 제한점
- CT 등은 정지된 영상으로 판독하는 의사는 달라도 영상 자체에는 차이가 없다. 내시경 영상은 실시간으로 관찰하면서 필요한 부분의 영상을 촬영하여 남기는 방식으로 획득하기 때문에 의사의 숙련도와 검사 환경 등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 즉, 검사 결과가 정형화 되어 있지 않고, 같은 환자를 대상으로 하더라도 정확한 결과를 얻기 어렵다.
- 내시경 의사가 병변을 인지하지 못할 수도 있다. (방 안의 물건을 다 관찰하지 못하는 것처럼)
7. 인공지능의 가능성
- 내시경 의사가 감지하지 못하는 부분을 보조적으로 감지해 주는 역할
- 육안 소견을 바탕으로 병변을 진단함에 있어 일정한 진단을 가능하게 해 검사의 질을 높여줄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