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세주의힐링돼성공 가치정착시켜야
'인간적 성공'과 '사회적 출세'
우리 사회에 ‘힐링’이 화두가 되기 시작한 것은 2010년쯤이다.
그만큼 우리 사회가 외적인 화려함의 이면에 내적인 공허함, 외로움, 불만감, 소진감, 박탈감 등 개인적으로는 정신적·심리적·정서적인 스트레스 호르몬이 많다는 의미일 것이다.
그전까지는 2000년도부터 물질적 관점에서 풍요로움을 추구하는 '웰빙'이 대세였다.
얼핏 보기에는 단순한 유행어 같지만 그 말속에는 우리 사회의 현실상황이나 사회문화체계가 그대로 투영되어 있다.
이제 웰빙이라는 시대어가 힐링이라는 말속에 뒤편으로 밀려나 있는 느낌이다.
이는 우리 사회가 전반적으로 치유의 손길이 필요하다는 것을 상징하고 있다. 1990년대 후반 IMF 사태를 겪으면서 경제적인 측면의 안정이 절실하던 시대에 '어떻게 하면 여유롭게 잘 살 수 있는가'에 대한 갈급함이 복지나 안녕의 웰빙으로 나타났었다.
경기 침체기 후 다시 물질적 여유를 회복해가며 치열한 경쟁 속에 사람들은 정신적 소진감과 사회적 실망감을 느끼게 됐다.
외형적으로는 최고의 물질 풍요를 구가하고 첨단기기들로 인해 생활의 편의성은 높아졌다. 하지만 내적으로 충족감과 행복감은 누리지 못하는 현실을 맞았다. 그래서 힐링의 필요성이 대두된 것이다.
힐링이 절실하다는 것은 우리 사회에 긍정보다는 부정의 기운이 도사리고 있기 때문이다.
지나친 사회 경쟁에 따른 스트레스와 웰빙의 장수시대가 가져다준 미래에 대한 불안 등···. 이 시대는 사람들이 무엇인가 든 복잡한 심사(心思)로 억눌려있다.
그러면서 사회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갈등감이 확산되고 있는 것이다. 이를 달래기 위해서는 디지털 스마트 시대에 발상의 전환이 필요하다.
이기주의적인 사상이나 태도
말하자면 긍정의 에너지를 체득하기 위한 노력을 통해 사회적 '긍정성'(positivity)을 확산시켜야 한다. 부정적인 요소가 강한 물질만능 세태에 공감과 배려와 위로가 있는 긍정의 정신 가치가 중요한 것이다.
그것은 바로 '성공'(成功)의 가치관이다. 성공이라는 것은 물질의 소유보다 개인의 정신적, 정서적 가치를 기준으로 한다.
우리가 보편적으로 생각하고 있는 사회적 성취 정도, 이른바 '출세'(出世)를 일컫는 게 아니다. 지금 우리 사회가 진정 치유해야 할 것이 있다면 그것은 바로 출세라는 가치 도착증이다.
권력·돈·명예를 가져야 만족감을 갖게 되는 출세에 대한 집착이 사회적 문제다.
그 세 가지를 쟁취하기 위해 우리 사회가 개인이나 사회가 비싼 대가를 치르고 있다. 그것 때문에 사교육과 특정지역에서 비롯되는 아파트 값 폭등 등 사회 전반에 스트레스가 만연되어 있다.
이제 '인간적 성공'과 '사회적 출세'는 엄연히 구분돼야 한다. '출세가 곧 성공이다'는 인식부터 바뀌어야 한다. 우리 사회의 많은 특출한 유명 인사들이 출세는 했지만 성공과는 거리가 먼 경우를 우리는 자주 보아왔다.
우리 사회가 안고 있는 모든 문제의 근원을 파고 들어가면 결국 세상이 출세주의에 물들어 있어서다.
그 출세를 위해 한국사회는 몸살을 앓고 있는 것이다.
출세주의는 '자기 개인의 영달만을 목적으로 하는 이기주의적인 사상이나 태도'를 일컫는다.
그 의미만 보더라도 출세주의는 결코 바람직한 방향성을 띠고 있지 않다. 분명 건강한 사회가 되는 데 있어 긍정적인 가치가 될 수 없다. 하지만 사람들은 그것을 인생 최고의 목표로 삼고 주위야 어찌 됐던 자신의 권익만을 추구하며 쉼 없이 치달린다.
물질만능의 출세지향적 사회 행태
그래서 사회가 갈수록 더욱 치열해지고 정서가 메말라지면서 겪게 되는 '마음 알이'를 치유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가치관부터 바뀌어져야 할 것이다. 긍정적이고 창의적인 사회적 마인드 세트가 필요하다.
마르틴 루터 킹은 이렇게 말했다.
"고통을 대처하는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괴롭게 받아들이거나 아니면 창조적인 힘으로 바꿔나가는 것이다."
그러면서 그는 힐링에 대해 '아픔을 창조적인 에너지로 승화시키는 것'으로 정의했다.
또한 지금의 세태가 힘들다 하더라도 앨버트 아인슈타인의 말대로 '어려움 가운데 그곳에 기회가 있다'는 긍정의 마음을 견지하는 것이 힐링이 될 것이다.
이제 우리 사회의 힐링은 물질만능의 출세지향적 사회문화 행태를 치유하는 것이 우선이다.
그래야 우리 사회에 긍정적이고 창조적인 에너지가 발현될 수 있다. 그럴 때 개인의 행복지수도 높아지며 사회가 발전하고, 국가가 선진화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