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평론가 청람 김왕식 Oct 14. 2023

또 아들을 낳았다, 어쩐다냐?

아들과 딸




한때

아들이 우선이었다



계속해서

만 여섯이다


지친

시어머니


애 낳느라

며느리


쳐다보지도

않고

돌아 앉는다.


해서

마지막 딸 이름을

'말자'

'말숙'

'끝년이'

'귀남이' 등으로 짓는다


이제

딸을 그만 낳으려

셈법이다.


사랑받던

아들들

과연 효도했는가?


지금은

다르다.


오히

아들을 낳으면

실망한다.








과거의

한국 사회에서는

가족의

계승과

재산 상속,


그리고

가문의 이어감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여겨졌던 아들.


아들의 탄생은

큰 기쁨과

축복으로 받아들여졌다.


그런 가운데,

여러 번의 출산에도 불구하고

아들이 태어나지 않으면,


부모의 마음은

점점 무거워졌다.


딸만 계속 태어난다면,

그 무게는

굴곡진 감정의 산으로

번져갔다.


'말자',

'말숙',

'끝년이'

'귀남이'라는 이름은

그 무게와 감정의 직접적인 표현이었다.


아이들의 존재가 아닌

가문의 기대치와

사회의 압박에 의해 부여된 이름들.

그럼에도,

태어난 아들들은

과연 그 기대와 압박 속에서

진정한 효도와 사랑을 보여줄 수 있었는가?


아들의 탄생만으로도

그들은 무수한 기대와 압박에

시달려야 했다.


아들이라는 타이틀로

인해,


그들의 삶은

항상

평범하지 않았다.

허나

시간이 흘러

지금은

그 모습이 크게 변해있다.


아이의 성별에 따른

기대와 압박은

점점 사라지고 있다.


오히려

아들을 낳는다는 소식에 실망하는

부모들도

생겨나기 시작했다.


세상은

점점

더 개방적으로 바뀌며,


아이의 성별보다는

그 아이의 건강과

행복이 중요하게 생각되기 시작했다.

과거와 현재,

두 시대의 차이는 크다.


한 가지 변하지 않는 것은

부모의 사랑이다.


성별에 따른

사회의 기대와 압박은

변할지언정,


아이를 향한

부모의 진심은 영원히 변하지

않을 것이다.





아들을

낳았다.


벌써

세 번째다


남편도

애 낳은 아내도

한숨이다.


작가의 이전글 내 도시락 반찬은 김치와 콩자반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