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강용원 Nov 25. 2024

무식이 병기다

    

평범한 필부로 사는 동안 참 무던히도 비범한 지식을 추구해 왔다. 법학, 신학, 의학을 차례로 공부하면서 교과서 범주 너머로 나아가는 가속도가 점점 더 가팔라졌다. 스승은 둘이었다: 원효 사상과 물리학. 원효 사상은 내 사유 본진으로서 메타인지 능력을 만개시킨 사사 스승이다. 물리학은 빈틈없는 인과 사유를 통해 세계 본성으로 육박해 가도록 자극한 사숙 스승이다.  

    

방정식 체계로서 물리학은 어렵다. 나는 서사로서 물리학에 다가가면서 내 아름으로 품을 수 있는 만큼만 배웠다. 예컨대 최근에 내가 고민한 문제인 “E=mc²는 어디서 왔을까?”에 대해 ‘문송’답게 간단명료한 서사로서 답을 찾아다녔으나 헛일이었다. 어떤 과학자가 아인슈타인이 E=mc² 유도 과정을 밝히지 않아서 자기 나름대로 유도했다며 제시한 전개식을 마주했는데 겉모양을 한눈에 보고 놀라서 아예 접근조차 하지 못했다. 포기한 채 혼자 가만히 들여다보았다. 그때 홀연히 뉴턴 방정식 F=ma가 떠올랐다. 대뜸 이렇게 추정했다. “아인슈타인은 E=mc²를 F=ma에서 유도했다. 방법은 미적분이다.” 딱 여기까지다. 더 이상 나아가지 않았다. 이런 멈춤과 또 다른 까닭에서 더 멀리 나가는 물리학 지식을 이제는 거절해야겠다고 생각한 계기가 찾아왔다.  

    

요 두 달 동안 앞으로 나아가는 삶을 멈추고 서성일 때 날아든 책이 『물리학자는 두뇌를 믿지 않는다』다. 노벨상 받은 석학 9인과 인터뷰한 내용을 재구성한 책이다. 내용 자체가 나를 바꾼 게 아니다. 읽는 동안, 이 최고 지성들이 첨단 지식에 이르기까지 들어간 어마어마한 돈 생각이 불현듯 든다. 다음 순간, 그 빛나는 지식과 기술은 내게 무엇일까, 하는 생각으로 번진다.   

   

두 생각은 결국 하나다. 양자물리학이든 천체물리학이든 구미 제국 아니면 엄두조차 낼 수 없는 거대 자본을 들여야 그 지식과 기술 축적이 가능하다. 그 지식과 기술 덕에 나는 컴퓨터며 스마트폰을 쓴다. 그러나 내게 도달한 편의는 그 지식과 기술의 부산물 또는 떡고물에 지나지 않는다. 내게는 그나마 부산물 또는 떡고물 정도라도 떨어지지만, 아프리카에서 굶어 죽는 아이에게는 아무것도 가닿지 못한다. 저 돈 억만 분의 일이면 굶어 죽는 아이들을 모두 살릴 수 있다. 아이들을 희생시키더라도 인류가 도달해야 할 지식과 기술이라 할 때 과연 그게 무엇일까? 결국은 극소수 지배층에나 혜택이 돌아갈 이상향 건설에 쓰일 도구다. 인류를 다행성 종족으로 만들겠다는 일론 머스크가 그 증거다. 이때 인류는 백인, 특히 앵글로아메리칸 특권층을 말한다.    

  

저들이 간직한 비전은 기독교 성서가 전하는 미신에서 발원한다. 선택된 자들이 새 하늘과 새 땅으로 들려 올라간다는 휴거 주술에 마름 짓하는 첨단 고급 지식과 기술에 나는 더 이상 발을 들여놓지 않는다. 결단한 가난처럼 결단한 능동 무식을 반제국주의 전쟁 병기로 삼는다. 제국주의 근본정신인 과대망상에 맞서 휴먼스케일 아름 슬기로 싸운다. 백전백패야말로 구원이다.     

작가의 이전글 운전자 심리학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