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강용원 Nov 25. 2024

무식이 병기다

    

평범한 필부로 사는 동안 참 무던히도 비범한 지식을 추구해 왔다. 법학, 신학, 의학을 차례로 공부하면서 교과서 범주 너머로 나아가는 가속도가 점점 더 가팔라졌다. 스승은 둘이었다: 원효 사상과 물리학. 원효 사상은 내 사유 본진으로서 메타인지 능력을 만개시킨 사사 스승이다. 물리학은 빈틈없는 인과 사유를 통해 세계 본성으로 육박해 가도록 자극한 사숙 스승이다.  

    

방정식 체계로서 물리학은 어렵다. 나는 서사로서 물리학에 다가가면서 내 아름으로 품을 수 있는 만큼만 배웠다. 예컨대 최근에 내가 고민한 문제인 “E=mc²는 어디서 왔을까?”에 대해 ‘문송’답게 간단명료한 서사로서 답을 찾아다녔으나 헛일이었다. 어떤 과학자가 아인슈타인이 E=mc² 유도 과정을 밝히지 않아서 자기 나름대로 유도했다며 제시한 전개식을 마주했는데 겉모양을 한눈에 보고 놀라서 아예 접근조차 하지 못했다. 포기한 채 혼자 가만히 들여다보았다. 그때 홀연히 뉴턴 방정식 F=ma가 떠올랐다. 대뜸 이렇게 추정했다. “아인슈타인은 E=mc²를 F=ma에서 유도했다. 방법은 미적분이다.” 딱 여기까지다. 더 이상 나아가지 않았다. 이런 멈춤과 또 다른 까닭에서 더 멀리 나가는 물리학 지식을 이제는 거절해야겠다고 생각한 계기가 찾아왔다.  

    

요 두 달 동안 앞으로 나아가는 삶을 멈추고 서성일 때 날아든 책이 『물리학자는 두뇌를 믿지 않는다』다. 노벨상 받은 석학 9인과 인터뷰한 내용을 재구성한 책이다. 내용 자체가 나를 바꾼 게 아니다. 읽는 동안, 이 최고 지성들이 첨단 지식에 이르기까지 들어간 어마어마한 돈 생각이 불현듯 든다. 다음 순간, 그 빛나는 지식과 기술은 내게 무엇일까, 하는 생각으로 번진다.   

   

두 생각은 결국 하나다. 양자물리학이든 천체물리학이든 구미 제국 아니면 엄두조차 낼 수 없는 거대 자본을 들여야 그 지식과 기술 축적이 가능하다. 그 지식과 기술 덕에 나는 컴퓨터며 스마트폰을 쓴다. 그러나 내게 도달한 편의는 그 지식과 기술의 부산물 또는 떡고물에 지나지 않는다. 내게는 그나마 부산물 또는 떡고물 정도라도 떨어지지만, 아프리카에서 굶어 죽는 아이에게는 아무것도 가닿지 못한다. 저 돈 억만 분의 일이면 굶어 죽는 아이들을 모두 살릴 수 있다. 아이들을 희생시키더라도 인류가 도달해야 할 지식과 기술이라 할 때 과연 그게 무엇일까? 결국은 극소수 지배층에나 혜택이 돌아갈 이상향 건설에 쓰일 도구다. 인류를 다행성 종족으로 만들겠다는 일론 머스크가 그 증거다. 이때 인류는 백인, 특히 앵글로아메리칸 특권층을 말한다.    

  

저들이 간직한 비전은 기독교 성서가 전하는 미신에서 발원한다. 선택된 자들이 새 하늘과 새 땅으로 들려 올라간다는 휴거 주술에 마름 짓하는 첨단 고급 지식과 기술에 나는 더 이상 발을 들여놓지 않는다. 결단한 가난처럼 결단한 능동 무식을 반제국주의 전쟁 병기로 삼는다. 제국주의 근본정신인 과대망상에 맞서 휴먼스케일 아름 슬기로 싸운다. 백전백패야말로 구원이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