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TRTS Oct 15. 2023

인생이 바뀌는 사고방식


두 집단이 있습니다. 




A 그룹 - 성공 경험 프로그램

이 집단은 몇 주 동안 수학 문제를 풀면서 매 시간 몇 문제를 풀었든 상관없이 잘했다는 칭찬을 받았습니다.


B 그룹 - 귀인 재훈련 프로그램

이 집단도 수학 문제를 풀었지만 문제를 많이 풀지 못했다는 지적을 가끔씩 받았으며 결정적으로 

'더 열심히 해야 한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그 후 A , B 두 집단 모두에게 쉬운 문제와 매우 어려운 문제가 섞인 문제를 풀게 했습니다.

어떤 결과가 나왔을까요? 칭찬받은 A 집단이 그렇지 않은 B 집단보다 결과가 좋았을까요?





험 결과에 의하면 성공 경험 프로그램에 배정됐던 A 집단 학생들은 매우 어려운 문제가 나오면 

훈련 이전과 마찬가지로 쉽게 포기했습니다.



그러나


매우 대조적으로 귀인 재훈련 프로그램에 배정됐던 학생들은 어려움에 부딪친 후에 더 노력했습니다.

그들은 실패를 자신에겐 성공할 능력이 없다는 증거가 아니라 

더 노력해야 한다는 신호로 해석하도록 학습했습니다.

그들은 성장형 사고방식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자전거를 타는 법이나 영업 전략 등을 배울 수는 있지만 이런 기술을 배우는 능력, 

즉 재능은 배우는 것이 아니라고 오해하곤 합니다.

이런 고정형 사고방식을 가졌다면 언젠가 문제가 되곤 하죠.


현실적으로 걸림돌이 없는 길은 없으며 언젠가는 이런 장애물들을 만나게 되기 때문입니다.



A집단의 학생들처럼 고정형 사고방식을 갖게 되면, C - 학점, 불합격 통보, 직장에서의 실망스러운 업적 평가 등의 장애가 당신을 길 밖으로 밀어낼 수 있습니다.

고정형 사고방식을 가지면 이런 장애를 '필요한 자질'이 없거나 부족하다는 증거로 해석하기 쉽죠.



반대로 성장형 사고방식을 가진 사람은 더 잘하는 법을 배울 수 있다고 믿습니다.


이런 사고방식은 모든 생활 영역에 영향을 미쳐, 성적, 학교생활, 정서적, 신체적으로 건강하며 타인과 굳건하고 긍정적인 사회적 관계를 형성할 가능성이 높다. <GRIT 中>


실험 출처 - Carol S. Dweck. "Mindsets and Human Nature: Promotiong Change in the Middle East, the Schoolyard, the Racial                           

Divide, and Willpower," American Psychologist (2012): 614-22 



감히 평범한 사람은 생각하지도 못할 원대한 꿈을 꾸세요! 

그리고 날마다 할 수 있다고 다짐해야 합니다. 할 수 있다고 믿으면 할 수 있으니까요. 

그게 성장형 사고방식을 가진 사람들의 마인드며 성공한 사람들의 마인드입니다. 








더 많은 이슈를 보고 싶다면?

https://blog.naver.com/elem10705





매거진의 이전글 누군가 틀린 걸 당당하게 얘기할 때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