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박인성 Jun 26. 2024

만주지구의 경제와 공업 현황

중국경제지리(25)-만주지구(2)

개혁개방 이후 동북 3성의 GDP가 중국 전국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하락 추세이다. 1980년 13.4%에서, 1990년 11.3%, 1997년 10.2%로 하락했고, 이후 단기간 상승 추세로 변해 2001년 11.0%, 2003년 11.6%를 점했으나 다시 하락 추세를 보이면서 2010년에는 9.4%, 2018년에는 6.3%로 떨어졌다. 

만주지구는 농·목·임·어업과 함께 철강, 기계, 석유, 화공 공업분야도 중국 전국에서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 2010년 중국의 성별 공업총생산액은 랴오닝성이 광동, 장쑤(江苏), 산동, 저장(浙江), 허난(河南), 허베이(河北)에 이어 7위로 나타났지만, 2016년 공업 생산 증가치 6818억 위안으로 광동, 장쑤, 산동, 저장, 허난, 허베이, 후베이(湖北), 후난(湖南), 안후이(安徽), 쓰촨(四川), 상하이, 섬서(陕西), 장시(江西)에 이어 14위에 불과했다. 이는 만주지구 공업 발전 정체와 반면에 중서부 지역의 빠른 경제성장에 따른 현상이기도 하다. 

만주지구 경제와 산업의 침체 원인은, 대형·중형·자원형 산업구조라서 개혁 추진이 어렵고, 기술과 설비의 노후화, 향진기업 발전의 둔화, 전기와 물 공급설비 부족, 문화와 기술 기초의 빈약, 전통적인 계획경제 의식, 체면과 권위 중시 문화 등의 영향이라 할 수 있다. 

동북3성(辽宁省, 吉林省, 黑龙江省)



만주의 공업

만주지구는 중국의 주요 석유화학공업, 철강, 절삭기계, 자동차, 발전설비, 선박, 비행기 제조의 근거지이고, 주요 공업기지로서의 지위를 굳혀왔다. 일부 주요 공산품의 생산량은 중국 전국 점유율 20%를 넘는다. 

또한 만주지구는 일제가 건설한 중화학공업을 기초로 하여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출범 이래 상당 기간 중국 제일의 중공업기지의 지위를 유지했었다. 초기에는 철강공업을 기초로 했고, 1960년대 중반 석유자원 개발 이후에는 석유공업도 기반 산업이 되었다. 이후에는 철강, 기계, 석유, 화학공업을 기반 산업으로 하고 석탄, 전력, 건재, 삼림가공, 방직, 제지, 제당 등을 보조로 하는 비교적 완비된 공업 체계를 형성했다.             


<표> 만주지구의 주요 경제지표(2018)

주: 2차산업은 건설업 포함된 수치임.

자료: 中国统计出版社(2018: 56, 69).



야금 공업     

철강공업은 만주지구 공업의 기초이며, 랴오닝성 안산철강(鞍钢)이 핵심이다. 안산철강은 내부 구조가 비효율적이고, 설비가 낙후되어 있었으며, 심하게 파괴된 적이 있었지만, 구(旧)중국의 철강공업 중 규모가 가장 크고, 설비 부문이 가장 잘 갖추어진 곳이었다. 안산(鞍山)의 철광석 광산은 매장량 1억 톤 이상으로 현재 중국에서 가장 규모가 크다. 안산은 지리상 연료와 각종 보조원료 산지와 인접해 있고, 상당 부분의 연료는 푸순과 번시에서 공급받고, 부족한 부분은 헤이롱장의 치타이산(七臺山), 솽야산(双鸭山) 및 화북의 허베이, 산시, 네이멍구 각지에서 보충하고 있다. 

동시에 안산은 션양(沈阳)과 따롄(大连) 등과 같은 철강 소비 대도시와 인접해 있다. 안산철강에서 생산된 철강은 동북 3성에서 2/3 가량 소비되고 있다. 안산철강은 일찍이 대량의 직원, 기술 및 관리 간부를 선발해 각 성의 철강산업을 지원한 바 있다. 

번시(本溪)는 동북 제2의 철강 생산지이고, 이 밖에도 따롄, 푸순(抚顺), 통화(通化), 링위안(凌源), 시린(西林), 지린 등이 있다. 2004년 6월에는 ‘동북진흥’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외국과의 합자를 통한 철강 생산 증대를 위해 번시철강이 포스코와 손잡고 번시철강포항냉연박판(本钢浦项冷延薄板)유한책임공사를 설립했다.      



기계제조 공업     

션양, 장춘, 하얼빈, 치치하얼, 푸순 5개 도시는 만주 최대 기계제조 공업기지이다. 주요 생산품은 철강기계, 운수기계, 동력기계, 선반과 공작기계, 경공업, 화학 공업, 농업기계 등이다. 

션양, 푸순, 치치하얼은 만주지구의 최고 중요한 중형기계 제조 중심지이고, 션양과 푸순은 주로 광산기계와 야금(冶金) 설비를, 치치하얼은 대형 야금설비, 압출설비, 각종 대형 주형(鑄型) 설비를 생산한다. 

또한 운송기계 제조도 매우 발달했다. 따롄은 해양 조선과 기계 차량, 창춘은 자동차와 객차, 하얼빈은 운하 선박 등을 생산하고 있다.      


에너지공업     

제1차 5개년 계획 시기에 만주지구의 전력·석탄·석유 생산량은 중국 전국의 수위를 차지했으며, 제2차 5개년 계획(1958~1962) 이후에는 석탄 생산량이 감소해 전국에서 2위를 차지했다. 

따칭(大庆)유전 개발 이후에는 만주지구의 석유 생산량이 지속적으로 전국에서 수위를 차지했다. 만주지구는 원래 기본적으로 석탄, 전력, 석유를 자급자족하는 지역이었으나, 현재는 석탄과 전력은 부족한 반면, 석유는 중국 내 타 지역으로 수출하고 있다.

2003년 만주지구는 중국 전국 원유 생산량의 41.1%, 목재의 27.8%, 철강의 13.0%, 석탄의 9.4%를 공급했다. 석탄자원 매장량은 약 723억 톤이며, 이 중 네이멍구 동부가 약 60%, 헤이롱장이 27%, 랴오닝이 13%를 점하고 있다. 

랴오닝과 지린 2개 성의 푸순(抚顺), 푸신(阜新), 랴오위안(辽源), 통화, 잉청(营城) 등의 오래된 광산 지역의 생산량은 감소하고, 헤이롱장 동부와 네이멍구 동부의 생산량은 증가하고 있다. 또한, 원유 매장량은 중국 전체의 38.1%를 차지하고 있다.


따칭(大庆)유전의 개발에 이어서 랴오하(辽河)유전과 지린(吉林)유전이 연이어 개발된 후 만주지구의 석유 생산량은 7497억 톤에 달했고, 중국 전국 석유생산량의 약 50%를 점했다. 따칭유전에서 생산된 석유는 중국 내 타 지역으로 수출하고 있다. 

이외에도 파이프라인을 통해 만주지구 내에 연료와 석유화공의 원료로 공급되고 있고, 랴오하유전은 랴오닝성의 산업구조 변화와 공업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지린유전은 동북에서 유일하게 생산량이 증가하는 유전으로, 2009년 천연가스 생산량이 750만 톤에 달했다. 쏭랴오(松辽) 평원에서 발해에 이르는 지역은 험한 산지로 이 지역에 풍부한 원유가 매장되어 있음이 증명되었고, 그 매장량이 70억 톤이 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목재 및 건자재 공업     

만주지구는 중국의 주요 목재 공급 지역으로 대·소 싱안령과 장백산 지역은 중국 최고의 원시림 지역이다. 만주지구의 목재 총축적량은 32.5억㎥이며, 이는 중국 전국 축적량의 33%를 차지한다. 

삼림 벌채업은 따씽안령(大兴安岭), 샤오싱안령(小兴安岭), 완다산(完达山), 장백산 지역에 집중되어 있다. 자무쓰, 무단장, 하얼빈, 지린, 투먼(图们), 통화(通化) 등의 인접도시에 목재와 관련된 삼림벌채 공업이 발전했다. 

헤이롱장과 지린의 2개 성에서 생산된 목재는 이 지역에서 60% 정도가 소비되고, 나머지는 다른 성에 공급한다. 

하지만 만주 지역 목재 생산량의 전국 점유율 추이를 보면, 2008년 1151만㎥로 중국 전체 8108만㎥의 14.2%를 차지했으나, 2018년에는 407만㎥로 급감해 전국 목재 생산량(8810만㎥) 대비 점유율이 4.6%에 불과하다. 이는 삼림의 과도한 벌채에 의해 이 지역의 목재 축적량이 크게 감소했고, 생태환경도 악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만주지구의 건자재공업 또한 상당한 규모이며, 특히 시멘트공업이 중요 부분이다. 대형의 시멘트 공장이 따롄, 안산, 푸순, 번시, 차이툰(彩屯), 샤오툰(小屯), 하얼빈, 무단장, 지린 등지에 있다.      



만주의 농업     

만주지구의 경작지

만주의 농업자원과 기초     

만주지구는 넓고 풍부한 토지자원을 소유하고 있어 농업 발전에 유리한 기반을 보유하고 있으며, 황무지와 초지가 대량 존재한다. 

1인당 경지 면적은 만주지구 내에서도, 특히 북부 지역이 더욱 높다. 이 지역에서 중·저 생산면적이 총경지면적의 72%에 달해 농지 개량을 통한 생산력 증대 잠재력이 매우 크다. 또한 이미 독특한 농업경제 체제와 농업의 지역 간 분업 체계를 갖추고 있다. 

이 지구의 경작지는 토지 면적 규모가 상대적으로 크고, 생장 기간이 짧으며, 토지경영이 조방적이고, 단위면적당 생산량이 적다. 

만주지구의 개간 가능 황무지는 1억 무로, 주로 헤이롱장성 일대에 분포한다. 


삼림 면적은 약 8억 무로 만주지구 총면적의 42%를 차지해 임업 발전의 잠재력이 크다. 이 중 초지 면적이 6.17억 무로 33%를 점하며, 커얼친(科儿沁) 초원과 후룬베이얼 초원은 전국적으로도 유명하다. 그러나 과도한 농지 개간 및 방목에 의한 초원의 퇴화와 그로 인한 사막화 현상이 심각하다. 내륙 수면은 500만여 무이며, 또한 넓은 해양을 보유하고 있어 담수어업과 해양어업의 조건도 양호하다.


만주지구의 기후는 한대와 온대, 건조와 습윤 등의 기후 차별이 매우 심하고, 생장 기한 또한 짧다. 하지만 일조량이 충분하고, 여름은 고온이 유지되고 강우량 또한 풍부해 일 년 일모작에는 충분한 조건을 가지고 있다. 북부의 헤이허는 봄밀과 벼농사가 가능하며, 랴오닝의 서쪽과 남쪽은 겨울밀과 온대 과일이 월동할 수 있다. 


     

상품식량 기지와 사탕무 기지     

만주지구는 본래 건조작물 재배를 위주로 한 지역이었으나, 사회생산 조건의 변화로 인해 작물 종류가 다양화되었다. 과거에는 ‘만주 들판은 모두 수수나 콩’이라고 했지만, 현재는 수수가 옥수수로 대체되었다. 

콩은 두 번째로 많이 재배되는 농작물이지만 생산량의 전국 점유 비중은 감소 추세이다. 식량작물 중에서 생산량 비중이 감소 추세에 있는 것은 수수와 조로, 이 둘의 생산량 합의 지구 내 비중은 40%에서 20%로 하락했다. 반면에 옥수수, 벼, 밀 생산량은 지역 내 비중이 35%에서 65%로 상승했다. 


벼와 밀은 만주지구의 양대 식량작물이다. 이 지구에는 원래 벼농사가 없었으나 청조와 조선조 말엽 한반도에서 조선족이 만주로 이주해 온 후에 이 지역에 벼농사 기법을 전파했다. 이는 당시로서는 주요 식량생산기술 혁신의 한반도에서 만주지구로의 전파였다. 벼농사 면적은 1949년 이전에는 겨우 2%에 지나지 않았으나, 수리시설의 확충 등을 통해 8%까지 증가했다. 벼농사가 가장 많은 곳은 조선족이 거주하고 있는 동만주 지역과 랴오하, 쏭화강 등 수리관개시설 수준이 양호한 지역이다. 


만주지구는 전국에서 가장 중요한 봄밀 생산 지역으로, 밀의 경작 면적이 식량작물 경지 면적의 22.6%이고, 벼농사 경작 면적의 1.7배에 달한다. 봄밀은 생장 기간이 비교적 짧은 북만주 지역에 주로 분포하는데, 헤이롱장 지역이 만주지구 밀 총생산량의 90%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벼와 밀의 총생산량은 다른 작물의 생산량보다 많지 않지만, 상품성이 비교적 높아 발전 잠재력이 크다. 벼는 안정적이고 높은 생산을 유지하는 중요한 작물이고, 밀은 기계화와 황무지 개간에 적합한 주요 작물이다,


만주지구의 3대 잡곡인 옥수수, 조, 수수는 경작 면적과 생산량이 각각 70%에 달한다. 

옥수수 생산은 20세기 초에는 식량작물의 10%를 차지했지만, 1950~1960년대에는 20%, 1970년대에는 40%로 증가했고, 작물 분포도 동부, 서부, 산악지대와 초원, 습지를 막론하고 가장 널리 퍼져 있다. 이중 가장 밀집된 지역은 ‘중국의 옥수수 지대’라고 불리고 있는 쏭랴오평원이다. 조의 재배 면적은 잡곡 가운데 두 번째이나 생산량은 수수에 이어 세 번째다. 

콩은 남부보다는 북부에서 그리고 평원 지역에서 더 많이 재배되고, 총생산량 중 헤이롱장성 65%, 지린성과 랴오닝성이 각각 15%, 네이멍구 동부 5%를 차지하고 있다. 콩의 생산은 만주지구의 농업 가운데 특수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 역사상 만주지구는 세계적으로도 유명한 상품 콩 작물 재배지역으로, 75~80% 정도가 상품화되고 50% 이상을 수출했다. 하지만 1949년 이후 식용유와 공업유의 증가로 인해 식량으로서의 역할이 제한되었고 경지 면적 또한 축소되었다. 그 결과 생산량과 상품화율, 수출률이 감소해 오늘날에는 지역 내 소비에만 충당되고 있다. 콩은 다른 잡곡과 잘 배합할 수 있으며, 일반 소비용 및 공업용, 수출용 수요도 크다. 


만주지구는 전통적으로 비교적 안정된 상품식량 생산기지이다. 랴오닝성은 거의 자급자족하고, 네이멍구 동부는 자급자족하고도 남으며, 헤이롱장성과 지린성은 식량의 상품화율이 각각 60%, 80%이다, 헤이롱장성과 지린성은 토지자원이 풍부하나 식량의 단위생산량은 상대적으로 낮다. 

만주지구의 상품식량작물의 분포는 일조량과 수분, 토양 등의 차이에 따라 다르다. 개괄하면, 수수는 남부, 밀은 북부, 벼농사는 동부, 조는 서부, 콩은 중부, 옥수수는 전 지역에 걸쳐 분포하고 있다.     



목축업·임업·어업 기지     

만주벌판의 초원과 구릉지

만주지구는 농작물 재배와 관련된 사육 위주의 목축업과 방목 위주의 목축업이 병존하고 있다. 

사육하는 품종은 주로 돼지, 소, 말이며, 당나귀와 노새도 사육한다. 방목은 양, 소, 말을 위주로 한다. 

말은 그 수가 전국에서 가장 많으며, 남만주보다는 북만주에 더 많다. 헤이롱장은 가축 중에 말이 54%를 차지하고 있다. 

소는 만주지구의 가축 중 두 번째로 많고, 네이멍구 동부지구에 가장 많다. 

네이멍구 동부와 랴오닝성에서 사육하는 노새와 당나귀 총수가 만주지구 전체의 약 2/3를 차지한다. 만주 중부 농업지구에서는 주로 돼지를 사육하고 있고, 서부의 목축지구에서는 양 사육이 많다. 개괄하면, 소는 만주 전 지구에, 말은 북부에, 노새는 남부에, 돼지는 동부에, 양은 서부에 많다.


만주지구의 전체 삼림 면적은 8억 무에 달한다. 삼림에는 풍부한 목재자원뿐 아니라 야생 동식물이 존재하고 있으므로, 임업지구 농민들은 채집, 수렵, 식량 재배, 약재와 보양식품 제조·가공 등에 종사하고 있다. 요동반도와 랴오닝성 서부 구릉지는 과수원 재배 면적 증가 속도가 매우 빠르며 온대과일인 사과와 배가 유명하다. 누에실(蠶絲)은 랴오닝성 동부와 지린성 남부지구에서 주로 생산되는 중요한 방직업 재료이며 수출품으로 전국 생산량의 3/4을 점한다.


만주지구는 남쪽으로 황해와 발해 바다를 접하고 있어 해양어업을 발전시킬 수 있는 유리한 조건을 보유하고 있다. 연해에는 수많은 어항이 있고, 이 중에 따롄이 어업 가공의 중심지이다. 

랴오닝성의 해양수산품은 중국 전국의 1/7을 차지하고, 연해지구 성 중 5위를 차지한다. 주요 수산품은 청어, 대하, 황조기, 해삼, 조류, 바닷조개 등이다. 한편, 헤이롱강, 쏭화강, 넌강, 우수리강 등의 담수어업 발전 조건도 양호하다.     



중국정부의 만주지구 농업정책 방향     

중국정부는 13차 5개년 계획(2016~2020)에서 만주지구의 발전 목표를, 농업 발전 방식을 빠르게 변화시키고, 공급 측면의 농업 구조 개혁 추진, 현대화된 농업 생산 체계, 산업 체계, 경영 체계의 구축, 농업 효율과 경쟁력 제고, 현대화 대규모 농업 체계와 농촌을 건설하고, 중국의 중요한 현대 농업 생산기지로 발전시킨다고 제시했다. 

이러한 목표 달성을 위한 수단 및 하위 목표로 식량 생산배치 개선, 식량 창고지구 정책적 육성, 과학기술 강화 등을 설정했다. 또한 농촌산업의 융합 발전을 촉진하기 위해 종자 양식 생산구조의 고도화, 농업 산업클러스터 확장을 통한 1차, 2차, 3차 농업의 융합 발전, 사물인터넷, 클라우드, 빅데이터를 활용한 신농업의 대폭 발전, 농부식품 안전 확보 등을 제시했다.

 

#중국경제지리 #만주의_경제와_산업 #만주의_공업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