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박인성 Nov 27. 2023

중국의 수해와 수자원 오염 현황

중국경제지리(6)

중국 수자원의 연간·연중 변화와 수해     

중국 국토 대부분의 지 계절풍의 영향을 받고 있으며 강수량이 주로 여름에 집중되어 있다. 이러한 계절성 집중호우는 농업에 유리하지만 강우량의 연간·연중 변화가 매우 크고, 이로 인해 하천의 연간·연중 유량 변화 또한 매우 크다. 강우량과 유량의 큰 변화는 용수 개발에 어려움을 줄 뿐 아니라 수해가 빈번하게 일어나는 원인이기도 하다.     



연간 변화


중국 연강수량 분포도

중국의 기후는 계절풍의 영향을 받아 연간 강우량의 변화가 매우 크며, 이로 인한 수자원의 시간적 분포 상태도 매우 불균형적이다. 즉, 넓은 국토의 어느 지구에서건 가뭄과 홍수로 인한 피해가 매년 끊이지 않는다.


강우량의 연간 변화는 일반적으로 연간 유량변화계수(Cv)를 사용해 표시하는데, 이 계수가 크면 강우량의 변화가 크고 계수가 작으면 강우량의 변화가 작다.

이 계수의 지역적 분포를 살펴보면, 장강, 화이하(淮河)의 구릉지대와 친링(秦岭)산맥 이남 지역은 0.5 이하이고 후난(湖南)과 후베이(湖北) 이남은 0.3~0.4, 화이하 유역은 0.6~0.8, 화북평원(华北平原)은 1.0을 넘는다. 동북의 산지는 일반적으로 0.5 이하이고, 쏭랴오평원(松遼平原)과 산장평원(三江平原)은 0.8 이상이며, 황하 유역은 0.6 이하, 내륙 지역은 0.2~0.3, 내륙 지역 중 몇 개 분지는 0.6~0.8, 네이멍구 고원 서부지구는 1.0 이상이고, 이 중 최고 높은 지역은 1.2에 달한다.


물 부족 상황은 수년간 연속해서 나타나기도 한다. 닝샤(宁夏) 지역의 경우 1956~1979년, 1969~1976년 기간 중 연속적으로 가뭄과 물 부족 현상이 나타났다. 황하의 섬현(陜县)은 1922~1933년 11년간 연이어 가뭄이 발생하기도 했다. 이 기간 동안에 그곳 농민과 주민들이 겪은 고통과 절망은 직접 겪어보지 않은 사람으로선 상상하기조차 힘들 것이다.  

                                       


홍수, 제방 붕괴

가뭄과 홍수

피해 손실 발생 지구와 업종 측면에서 보면 가뭄(干旱)의 주요 피해 대상은 광범위한 농촌과 농업이며, 홍수 피해의 대상은 주로 도시와 공업이다.

농업 가뭄은 강우량을 표준으로 하는 기상상태와 토양의 수분과 농작물의 생리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중국 서북부 사막지구

한편, 중국의 사막화 면적은 전체 국토 면적의 1/3에 달하며, 풍사(風沙)·침식 사막화의 위험으로 인해 전국의 1300만여㏊ 농경지가 생산 불안정 상태이고, 약 1억㏊의 초원이 풍사로 인한 피해에 심각하게 노출되어 있는 상태이다.            






칭하이성 차이다무(柴达木) 사막

모래 폭풍(沙尘暴) 발생 빈도도 급격히 증가했다. 2000년에는 총 13차례, 2001년에는 총 32차례의 모래 폭풍과 양사(揚沙)가 발생했다. 모래 폭풍의 피해가 심각한 지역은 북부 지역 특히 서북부 지역의 건조 지역인 신장성, 네이멍구 서부, 간쑤성 하서주랑(河西走廊), 칭하이성 차이다무(柴达木) 분지다.

이곳에는 사막 및 고비, 사화(沙化) 토지가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으며, 건조한 기후와 빈번한 강풍 발생 등으로 인해 모래 폭풍이 빈발하고 있다. 1990년대 이후에만 이미 20여 차례 모래 폭풍이 발생했고, 풍사의 영향으로 사막화되는 토지 면적이 매년 1200여㎢에 달한다. 2000년 기준 중국 내 빈곤 지역의 60% 이상이 풍사 피해 지역에 분포되어 있다.

칭하이성 차이다무(柴达木) 분지


가뭄지구

“가뭄(干旱)은 광대한 지역에, 침수는 하나의 거대한 선을 따라(旱是一大片, 澇是一條線)”라는 말이 있다. 1949년 중공 정권 출범 이래 출현한 가뭄 재해를 그 피해 면적으로 보면, 1957~1962년, 1972년, 1978~1982년, 1985~1989년, 1991~1995년, 1997년, 1999~2001년이 피해가 컸고, 연평균 가뭄 피해 면적은 3000만㏊ 이상이었다. 1950~1990년 41년 기간 동안 11회의 특대 가뭄(干旱)이 발생했고 발생 빈도는 27%였다.


가뭄지구

1991~2010년 기간에는 중대 가뭄(干旱)이 발생했고 발생 빈도는 45%였다. 2005년 이후에는 재해 면적이 다소 감소하긴 했으나 계절에 관계없이 발생하고 있고, 특히 남방지구의 연속되는 가뭄은 경제 발전 선진지구라는 대환경 조건 아래서 일상생활, 생산, 국민경제, 사회 안정 심리 등에 주는 영향이 매우 크다.


가뭄의 빈발 횟수도 매우 잦은데, 가뭄 피해가 심각한 지역으로는 쏭랴오(松辽)평원, 황화이하이(黄淮海)평원, 황토고원, 쓰촨(四川)분지의 동북부와 윈난(云南)고원 일대가 있고, 전국 가뭄 피해 면적의 70% 이상을 차지한다. 1990년대에 들어서 가뭄 피해를 받는 농지 면적은 4억 무(약 2667만㏊) 정도이다. 계절로 보면 전국적으로 봄 가뭄이 가장 심각하고, 지역상으로는 북방 지역의 봄·여름 가뭄이 심각하다. 장강 중하류와 주강 유역은 여름 가뭄 피해가 심각하고 그 다음이 가을 가뭄이다.


홍수, 침수된 시가지

중국에서 홍수 피해는 주로 동부지구에 집중되는 데, 이 지구는 중국 전국 국토 면적의 1/10, 5억의 인구, 3300만㏊의 농경지에 전국 농공업 생산의 70%를 차지하고 있고, 100여 개의 대·중도시가 분포해 있다.

중국의 홍수 피해는 주로 계절풍 기후와 독특한 지형 및 지질로부터 초래되었으나 근대 이래로는 인간활동 결과의 영향이 그 요인이 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홍수가 반드시 피해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다. 중국내의 몇몇의 하천은 홍수 발생이 자주 일어나지만 피해 손실은 그다지 크지 않다. 예를 들어 신장(新疆)위그루족자치구의 의 예얼장하(葉兒姜河)는 1961년 9월 4일 연평균 유량의 3배 이상인 6270㎥/초의 엄청난 유량이 발생했지만 그로 인한 피해는 그다지 크지 않았다. 중국 전체 평균 개념으로 보면, 홍수 피해의 손실은 총체적으로 전 성(省) 생산치의 1% 정도이고 가장 높은 안후이성(安徽省)이 3%를 차지한다.  

   

홍수, 2023년 여름, 허난성 정저우



중국의 수자원 오염 현황     

중국의 수자원 오염 상황은 총체적으로 매우 심각하다. 2000년에는 전국적으로 폐수의 배출량이 (1980년의 304억㎥에서) 911억㎥에 달하고, 고체 폐기물은 8억 톤에 달했다. 2004년 폐수 방출량은 482.4억 톤으로, 이 중 공업폐수 방출량이 221.1억 톤, 생활배수 방출량 261.3억 톤이다.

COD 방출량은 1339.2만 톤이고, 이 중 공업방출량이 509.7만 톤, 생활방출량이 829.5만 톤이다. 히스타딘 방출량은 133.0만 톤이고, 이 중 공업 방출량 42.2만 톤, 생활방출량 90.8만 톤이다.


2017년에는 중국 전국의 폐수 배출총량이 699.7만 톤에 달했다. 이 중 공업폐수 총량이 181.6억 톤, 생활폐수가 517.8억 톤이다.     


자연 상태에서 중국의 담수 수질은 전국 대부분의 지역에서 양호한 편이다. 즉, 담수의 광화도(礦化度)나 총경도(總硬度)가 비교적 낮다. 주요 하류 중 담수의 광화도와 총경도가 최대인 곳은 황하 주류로, 광도가 300~500mg/l이다. 총경도는 85~110mg/l로 중간 정도의 수준이다.

1000mg/l의 높은 광화도(礦化度)를 가지고 있는 담수 면적은 전국 총면적의 13%를 차지하며, 총경도가 200mg/l를 넘는 담수 면적은 전국 총면적의 12%를 차지한다. 높은 광화도와 총경도를 가지고 있는 지역은 중국에서 건조·반건조의 지역으로, 타리무 분지, 화이거얼 분지, 차이다무 분지, 네이멍구 고원의 서부 지역 및 황하 유역 중상류 지역의 황토고원이다. 단, 이들 지구는 하천 분포 면적이 매우 작고 유량 또한 적어 그 영향은 그다지 크지 않다.


수질오염지구, 장쑤성

그러나 도시의 생활 및 공업폐수로 인한 수질오염 상황이 날로 심각해지고 있다. 1993년 중국 전국 도시의 생활 및 공업폐수의 총배출량이 355.6억㎥이며, 이 중 공업폐수 배출량이 219.5억㎥이다. 2018년 도시 오수 배출량은 521.1억㎥로 전년 대비 28.7억㎥, 5.8% 증가했다. 매년 도시와 공장의 미처리된 하수가 전체 가용 수자원의 10% 이상을 오염시키고 있다.

또, 인구 급증에 따른 용수량 수요, 특히 도시 주민의 생활 용수량이 폭증했고 이에 따라서 도시 오수 처리량도 급증하고 있다. 이 외에도 농촌지구에서 잔류 가능성이 높은 농약 대량 사용으로 인한 강과 호수의 수질오염도 매우 심각한 상태이다.


쓰레기로 덮힌 하천

중국 전국의 532개 담수 지구에 대한 조사 결과에 의하면 436개의 강과 호수가 오염되어 있고, 중국의 7대 강 유역 도시중 15개의 주요 도시 지구 인근의 강이 심각히 오염되어 있다. 또한 담수 자원중 66%가 음용수의 기준에 미달했고, 11%의 수자원은 농업관개수의 기준에도 부합하지 못했고, 6%의 수자원은 유독 물질을 포함하고 있어 하수 배출량의 기준을 초과했으며, 그 오염 정도가 심각하고 검은 색과 악취를 풍기고 있다.

수질오염처리시설

중국의 수질은 5개 등급으로 구분한다. 음용수원(饮用水源)인 1, 2, 3급까지인데, 2016년 기준 중국은 4급, 5급 및 열(劣)5급 수질 물의 점유 비율이 하류 28.8%, 호수(湖泊) 33.9%, 저수지(水库) 32.9%, 성 경계 하천 및 지표수 32.3% 이상이다. 중국 수리부(水利部)가 전국 700여 개 하류(河流) 약 10만㎞의 수질에 대해 평가 작업을 한 결과, 46.5%의 하천이 오염 상태이고 수질은 4급과 5급수이고, 특히 10.6%는 오염이 더 심각해서 5급 수준보다 더 열악하다. 이 정도면 이미 용수로서 사용 가치를 상실한 상태이다.


중국에서 수질오염은 동부에서 서부로, 하천 지류(支流)에서 간류로, 도시에서 농촌으로, 지표에서 지하로, 구역(區域)에서 유역(流域)으로 확산되고 있다.   



강물 오염


2004년 중국의 환경 보호 기관이 7대 강 110여 개 지점의 수질을 분석한 결과, 1·2급수에 해당한 지역은 32%, 3급수는 29%, 4·5급수는 39%에 달했다. 이 중 하이하(海河)와 화이하(淮河) 유역, 랴오하(辽河) 유역이 제일 심각했다. 하이하 유역은 상류를 제외하고 거의 모든 지역이 5급수를 넘어섰다. 화이하 유역도 수질이 5급수 또는 그보다도 못한 지역이 대부분이다.

2019년 장강, 황하, 주강, 쏭화강, 화이하, 하이하, 랴오하 7대 수계 유역, 저장성과 푸젠성(浙闽) 지역 하천(河流), 서북지구와 서남지구의 하천을 감측한 결과, 1610개 수질 단면 중 1~3급이 79.1%, 열5급이 3.0%를 점했다. 주요 오염지표는 화학적 산소요구량(化学需氧量, COD), 과망간산염지수(高锰酸盐指数)와 암모니아질소(氨氮)다.                                                         

2019년 7대 유역과 저장-푸젠, 서북·서남지구 강의 수질 현황

서북지구의 하천, 저장성과 푸젠성 지역 하천, 서남지구의 하천, 그리고 장강 유역 수질이 가장 좋고, 주강 유역의 경우 양호, 황하, 쏭화강, 화이하, 랴오하 각 유역은 모두 상대적으로 낮은 경도(輕度) 오염 상태이다.


2019년에는 장강 유역 수질이 가장 좋았다. 509개 수질 단면 감측 결과, 1~3급이 91.7%, 열5급이 0.6%였다. 이 중 간류와 주요 지류 수질이 가장 좋았다.

황하 유역은 경도 오염이고, 주요 오염측정지표는 암모니아질소, 화학적산소요구량, 인(总磷)이었다. 감측한 137개 수질 단면 중 1~3급 수질 점유율이 73.0%, 열5급이 8.8%였고, 이 중 간류 수질이 가장 좋았고, 주요 지류는 경도 오염 상태였다.

2019년 주강 유역 수질은 양호 수준이었다. 감측한 165개 수질 단면 중 1~3급 86.1%, 열5급 3.0%를 점했다. 이 중 하이난다오(海南岛) 내 하류 수질이 가장 좋았고, 간류와 주요 지류 수질은 양호 수준이었다.


쏭화강(松花江)과 랴오하(辽河) 유역은 1·2급수 4%, 3급수 29%, 4·5급수 67%이며, 이 중 타이즈하(太子河) 유역의 오염이 가장 심각하다.

하이하 유역의 경우 1·2급수는 42%, 3급수는 17%, 4·5급수는 41%이고, 주요 오염물질지표는 암모니아질소, 과망간산염, 페놀, 화학적산소요구량 등이다.


2019년 쏭화강 유역은 경도 오염 수준이고, 주요 오염물질지표는 화학적산소요구량, 과망간산염지수, 암모니아질소다. 감측한 107개 수질 단면 중 1~3급 수질 수준이 66.4%, 열5급 수준이 2.8%를 점했다. 이 중 간류, 두만강(图们江) 수계와 쑤이펀하(绥芬河) 수질이 양호 수준이고, 주요 지류, 흑룡강 수계와 우수리강 수계는 경도 오염 수준이었다.


상술한 7대 강 유역 이외에 저장성 일대를 흐르는 첸탕강(钱唐江)과 쓰촨성(四川省) 일대를 흐르고 장강 지류 중 유수량이 가장 많은 민강의 수질은 비교적 좋고 오염이 덜하다. 즉, 1·2급수가 63%에 달하고 25%가 3급수, 12%가 4~5급수이다. 주요 오염 물질은 암모니아질소다.


중국 내륙의 강들은 총경도와 암모니아의 함유량이 비교적 높으나, 도시 인근 하류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지역에서 수질이 양호한 상태이다. 1~2급수는 61%, 3급수는 29%, 4·5급수는 10%이다.2019년 장강, 황하, 주강, 쏭화강, 화이하(淮河), 하이하(海河), 랴오하(辽河) 7대 하천 유역과 저장(浙江)과 푸젠(福建) 지역 하류(河流), 서북지구와 서남지구의 하천들을 대상으로 감측한 결과, 1610개 수질 단면 중 1~3급 수준의 수질 단면 점유율이 79.1%, 열5급 수준 수질 점유율이 3.0% 였다.

7대 하천 수계별 수질조사에서는 1~3등급 4~5등급, 5등급 이하 수질 면적의 점유율이 각각 70.0%, 25.5%, 4.5%로 나타났다.            


중국 전국의 수토 유실 토지 면적은 367만㎢에 달해 중국 국토 면적의 38%에 해당한다. 중앙정부가 매년 1억 2000만 위안을, 지방정부가 2억여 위안을 투자해 매년 3만㎢의 면적을 정비하고 있지만, 대부분 지역에서 정비 속도가 유실 속도를 따라잡지 못하고 있다.


수토 유실은 토양의 비옥도에 심각한 영향을 미쳐 토지의 생산력을 떨어뜨리고 있다. 매년 중국 전국의 유실 토양은 50억 톤에 달해 세계 수토 유실량(600억 톤)의 1/12에 해당한다. 매년 중국 전체 농경지에서 1㎜ 두께의 표토가 유실되고 있고 그 양은 33억 톤에 달한다.


토양의 유실은 강의 모래량을 증가시키는데, 중국 강의 모래 포함량은 세계 제일이다.

매년 전국의 강에 유입되는 점토와 모래량은 약 35억 톤에 달하며, 세계의 큰 강 중 황하와 장강은 점토와 모래의 포함량이 각각 16억 톤, 5억 톤으로 세계 1위와 4위를 차지한다.     



호수 오염

오염 물질은 호수에도 흘러들어 유명한 호수들을 오염시키고 있다. 이미 심각히 오염된 호수는 장쑤성과 저장성의 타이호(太湖), 윈난성 쿤밍시 뎬츠(滇池), 안후이성 허페이(合肥)시 차오호(巢湖) 등이다.

그 외에 호수의 부영양화도 수자원의 효율적 이용을 제약하고 있다.


타이호의 녹조

상하이에서 서쪽 방향으로 근접해 있는 장쑤성, 저장성에 걸쳐 있는 타이호는 중국에서 세 번째로 큰 호수이다. 호수 수면 면적이 2300km2, 우리나라 소양호의 약 50배나 된다. 호수 길이가 약 60km로 서울에서 평택까지의 거리와 비슷하고, 유역면적이 남한 면적의 약 1/3 정도이고 유역 인구는 약 6천만 명에 달한다. 호수와 연접하고 있는 우시(无锡), 쑤저우(苏州) 등의 도시와 상하이시를 가로지르는 황푸강(黄浦江)에 까지도 물을 공급하고 있다.  중국의 완만한 지형의 평원지대에는 분포되어 있는 많은 호수들은 대부분 수심이 매우 얕다. 타이호(太湖)도 최대 수심이 2.6m에 불과하여, 홍수와 가뭄에 따른 수위 변동이 심하다.


타이호의 녹조

타이호의 가장 큰 문제는 녹조로 인한 환경문제이다. 광대한 규모의 호수에 높은 밀도의 녹조류가 발생한 결과 이 호수와 연접한 대도시들의 음용수 오염 사태까지 야기되면서 그로 인한 사회적 영향이 매우 커지고 있다.

1980년대 초부터 타이호의 수질이 현저하게 악화되어, 전체 수질이 1급수에서 3급수로 떨어졌고, 부영양화의 정도도 심해서 큰 면적에 걸쳐 녹조 현상이 자주 발생한다.

1995년 7월에는 타이호변의 도시인 장쑤성 우시(无锡)시의 메이위안(梅园) 상수도원에 녹조 현상이 발생해 수도물 공급이 며칠 동안 중단되어서 시민 중 1/5이 수도물 공급을 받지 못했다. 원래 타이호의 어종은 60여 종에 달했고, 은어, 흰새우, 강달어를 타이호의 3개 보물(三寶)이라 부르며, 특히 은어는 장쑤성 수산품 중 일등품이었으나 지금은 거의 고갈되었다.


최근 들어 타이호(太湖)의 관광산업 발전이 빠르게 진행되었지만 이 중 많은 활동이 타이호의 생태환경을 심각히 파괴했다. 장쑤성(江苏省) 환경기관의 자료에 의하면 타이호변 지역 공업 지역의 폐수 방출량이 전체 타이호에 유입되는 폐수의 1/3을 점하고 있고, 부영양화를 야기하는 주요 오염 물질인 질소와 인은 공업 지역으로부터의 폐수가 각각 33%와 12%를 차지한다.

질소의 29%는 농경지와 생활폐수로부터, 인의 62%는 도시의 생활폐수로부터 온다.


2019년 타이호는 경도 오염 수준이고, 주요 오염지표는 인이었다. 이 중 동부연안지구 수질은 양호 수준, 북부연안지구와 호수중심지구(湖心区)는 경도 오염 수준, 서부연안지구는 중도(中度)오염 수준이다. 호수 전체는 경도 부영양 상태였다.

이 중 북부연안지구, 동부연안지구, 호수중심지구는 경도 부영양 상태이고, 서부연안지구는 중도(中度) 부영양 상태였다. 호수 주변 환호하류(环湖河流) 수질은 우수(优) 수준이었다. 감측한 55개 수질 단면 중 등급별 점유율은 2급 27.3%, 3급 63.6%, 4급 9.1%였다.


1980년대 이전에는 타이호(太湖)의 수질이 비교적 양호했고 녹조현상도 없었는데 이후 경제발전에 따라 하수 배출이 늘어 오염된 호수의 대명사가 되어 버렸다. 인구가 증가하고 공업이 발달하는 속도에 맞추어 생활하수 및 폐수처리 시설을 건설하지 못한 상태였다. 또한 농업 비료 사용량과 축산업과 어류양식장도 급속한 속도로 증가했다. 호수가 완만하고 수심이 얕으므로 논둑을 쌓듯이 둑을 만들면 간단히 양식장을 만들수 있어 호숫가 곳곳에 둑으로 구획한 양식장들을 볼 수 있다. 홍수 발생 시에는 유역이 침수되면서 토지의 오염물질이 유출되어 호수로 유입되므로 큰 홍수가 난 다음 해에는 호수에 녹조현상이 더욱 많이 발생한다.


타이호(太湖)의 녹조현상이 날로 심해지면서 중국 호수 수질오염의 대명사처럼 되었고, 특히 2007년 가뭄 때에는 녹조현상이 극심해져 수돗물에서 악취가 나고, 먹을 수 없게 되어 식수 부족 현상까지 발생하여 타이호와 연접한 우시(无锡)의 2백만 시민이 고통을 겪었다.


2007년 녹조현상 사태 이후에 타이호(太湖)의 수질오염에 대한 경각심이 크게 높아졌고 많은 수질개선사업이 시행되었다. 하수처리장 증설, 공장폐수 처리, 축산업 감축 등의 유역 오염원 저감을 위한 사업이 추진되었고, 인근 장강 등의 강물을 연간 약 20억 톤 이상씩 유입시켰다.

또한, 호수 바닥을 준설하고, 수변에 습지를 만들기도 하였다. 이 같은 노력의 결과 타이호(太湖)의 녹조현상이 줄기는 했으나 유역의 인구밀도가 높고 호수 바닥에 축적된 인의 양도 많고, 수심이 얕으므로 호수 바닥에 함유된 인이 쉽게 표출되어 녹조 발생의 원인이 된다.


중국내 다른 호수의 상황도 타이호(太湖)와 큰 차이가 없다. 전국 호수의 면적은 점차 감소하고 있다. 30여 년간 호수의 면적이 1㎢ 이상 감소된 호수가 543개에 달한다.

“천 개의 호수가 있는 성(千湖之省)”이라 불리는 후베이성(湖北省)은 1950년 1066개의 호수가 있었는데 2000년에는 325개로, 호수면적이 3/4 이상 감소했다.

후베이성 동팅호


안후이성 차오호(巢湖)

1995년 중국의 11개 호수에 대한 조사 이후 안후이성 수도 허페이(合肥)시의 남부에 위치한 차오호(巢湖)의 오염이 가장 심각했고, 주요 오염 물질은 질소와 인이었다.

3000여 개의 기업이 이 호수에 방출하는 공업폐수와 생활폐수의 총량이 하루 평균 53만 톤에 이른다.

차오호에는 폐수와 화학비료뿐 아니라 물에 의한 토양 유실로 인해 매년 260만 톤의 토사가 유입되고 있다.

차오호는 매년 수량이 줄고 얕아지고 있고, 이미 100여 종의 수중 조류가 번식하면서 물의 색도 변하고 이들이 부패하면서 악취까지 심해지고 있어서 배를 띄우기조차 곤란하다.


윈난성 뎬츠(滇池)
윈난성 뎬츠(滇池)

윈난성 쿤밍시에 있는 뎬츠(滇池)는 8개의 수질지표가 표준치를 초과했고, 질소와 인, 수은의 연평균치가 각각 표준치의 2.0배, 5.0배, 2.1배를 초과하고 있다.


차오호(巢湖)지구 종합정비 공정

2012년 11월, 차오호지구 종합정비 1기 공정이 시작되었고, 6개 단계로 나누어 실시되었다.

- 1기 공정은 홍수 방지(防洪)와 하천 정비(治河) 위주로, 홍수(洪涝) 재해 방지와 동시에 오염 정비(治污)의 기초를 구축했다.

- 2기 공정은 오염 정비와 오염 방지(防污) 위주였고, 중점은 오염 부하 규제 및 감소였다.

- 3기 공정은 용량 확대와 보호 위주였고, 물(水体) 용량을 확충하고 유동성을 증강시켜서 오염 정비 난점을 극복하는 실험 위주였다.

- 4기 공정은 소유역(小流域) 정비 및 호수 둘레(环湖) 주변 환경 승급 위주이고, 또한 1기 공정의 승급으로, 1기 공정 중의 13개 하류(河流) 정비를 하도(河道)에서 유역 정비로, 선(線)에서 면(面)으로 확대 진행했다.

- 5기, 6기 공정은 소유역(小流域) 정비를 움켜쥐고(抓手), 수질오염 정비를 돌출시키고, 소유역 오염물을 ‘무엇을, 어디를, 얼만큼, 어떻게 줄이고, 어떻게 관리 하느냐’ 하는 핵심 문제 해결에 중점을 두었다.            


2021년 3월, 안후이성 수도 허페이시(合肥市)의 환차오호 생태시범구 건설 지도팀(环巢湖生态示范区建设领导小组)가 ‘차오호종합정비 3대 공정(巢湖综合治理三大工程实施方案)’을 발표하고, 푸른물(碧水), 홍수방지(安澜), 부민(富民) 3대 공정 실시를 통해서 차오호의 수질 등급을 안정적으로 높여 나가고, 도시와 호수가 조화 공생하는 모범 도시로 조성하여 차오호(巢湖)를 허페이시의 상징으로 만들겠다는 구상을 밝혔다.

안후이성 차오호(巢湖)



지하수 오염

최근에는 지하수 오염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다. 중국 내 118개 도시에 대한 연속적 감측 결과에 의하면, 약 64%의 도시 지하수가 심각하게 오염된 상태이고, 33%의 지하수는 상대적으로 경미하게 오염되었고, 기본적으로 청결한 수질의 지하수는 3% 정도에 불과하다.

지하수 오염의 주범은 쓰레기 매립지의 침출수와 함께 각종 공장 폐수이다. 즉, 공장의 오·폐수를 임시 저장하는 구덩이에서 오염 물질이 땅속으로 스며들어 지하수를 오염시키고 있다.

지하수 오염


2012년 춘절 기간에 광시성(广西省) 롱장하(龙江河)의 한 기업이 석회석 종유동에 폐수를 버려 카드뮴 오염 사건이 발생했고, 2013년 초까지도 산시, 허베이, 허난 3성에서 연이어 악성 수질오염 사건이 발생했다(人民网, 2013.2.17).


중국정부는 다양한 수준의 지하수 환경조사와 평가 프로젝트를 실시했고, 55만㎢ 범위 내의 지하수 수질 현황, 오염 분포 범위와 오염 특징을 기본적으로 파악했다. 2015년부터 중국 국토자원부(현 자연자원부)는 중국 최초로 지하수 오염 현황 파악을 위한 조사평가사업을 진행했다.


2011년 10월에는 지하수 환경 보호와 오염 규제 업무 강도를 높이기 위해 환경보호부, 국토자원부(현 자연자원부), 그리고 수리부가 ‘전국 지하수 오염 방지정비계획(全国地下水污染防治规划: 2011~2020)’을 발표하고, 지하수 오염 위험 방범체계와 예보 및 경보 표준 데이터베이스(预警预报标准库) 건립 필요성을 제출했으며, 지하수 오염 예보, 응급 정보 공포와 종합정보 사회화 서비스 시스템 구축 작업을 시작했다.

주요 사업 내용은, 2020년을 목표 년도로, 지하수 감독·관리 체계 건립, 지하수 수질 악화 추세 초보적 억제를 통해 전형적인 지하수 오염원을 감독 규제하고, 중점지구 지하수 수질 개선을 추진했다.


2013년 2~3월에는 환경보호부가 화북평원 중점구역(지하수 수질이상지구와 군중 반응이 강렬한 구역)에 대해 베이징, 텐진, 허베이(河北), 산시(山西), 산동, 허난(河南)의 공업기업이 배출한 폐수의 방향과 오염물 방출 현황을 전수조사했다.

같은 해 4월에는 환경보호부, 국토자원부(현 자연자원부), 수리부, 주택 및 도농건설부 연합으로 ‘화북평원 지하수 오염 방지 정비 업무방안(华北平原地下水污染防治工作方案)’을 발표하고, 2015년에 화북평원 지하수 수질과 오염원 감측망을 초보 건립했다(자료: 地下水环境网, 2016.3.8).



                    

                    

작가의 이전글 시진핑의 "공동 부유"와 부동산 문턱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