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미재 Nov 08. 2023

'창'을 사랑한다는 것

에드워드 호퍼와 창문

에드워드 호퍼, 재봉틀 하는 소녀,  캔버스에 오일, 48 cm × 46 cm, 1921년, 티센보르네미사 미술관 소장


현재 스페인 마드리드의 티센보르네미사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는 에드워드 호퍼의  <재봉틀을 하는 소녀>입니다. 이 그림에는 부드러운 햇살을 받으며 재봉틀 앞에 앉아 있는 소녀의 모습이 담겨 있습니다. 창문을 통해 들어오는 햇빛은 화면에 따뜻함을 선사함과 동시에 홀로인 쓸쓸함으로 반짝입니다. 


 <재봉틀 하는 소녀>에 엮인 고독의 주제는 틀림없습니다. 창문에 붙은 노란 벽돌을 보면 그곳이 뉴욕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도시 생활의 고립감을 전달하는 데 능숙한 것으로 알려진 호퍼는 이 작품에서 일상의 조용하고 종종 눈에 띄지 않는 고독에 대해 말해 줍니다. 이는 인간의 마음속에 존재하는 보이지 않는 경계에 대한 성찰이며, 외부와의 연결 속에서도 우리를 고립시키는 외로움에 대해 말해줍니다.


소녀의 얼굴은 머리카락으로 반쯤 가려져 있고, 고개 숙인 그녀의 시선은 재봉틀 작업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의 관심을 끄는 것은 바느질 행위가 아닙니다. 오히려 그녀의 침묵 뒤에 숨겨진 이야기입니다. 관람자는 마치 외부 관찰자처럼 이 장면을 들여다보며 소녀의 내면세계를 알아보고 싶어 집니다. <재봉틀을 하는 소녀>는 무언의 내러티브, 해석의 여지가 있는 내러티브, 그리고 거기에 호퍼만의 독특한 시선의 순간을 담고 있는 그림입니다.


미국인이 가장 사랑하는 작가이자 사실주의의 대표주자로 평생 뉴욕에서 살았던 에드워드 호퍼(Edward Hopper, 1882~1967).  호퍼는 1882년 7월 22일 미국 허드슨강 인근 뉴욕 주 나이액(Nyack)에서 태어났습니다. 그는 미술에 일찍부터 관심을 보였으며 뉴욕미술대학 New York School of Art에서 윌리엄 메릿 체이스 (William Merritt Chase, 1849–1916)와 로버트 헨라이 (Robert Henri, 1865–1929)의 지도 아래 정규 미술 훈련을 시작했습니다. 


Hopper의 초기 작품은 도시 생활의 장면을 묘사하는 데 중점을 둔 예술가 그룹인 애쉬캔화파 Ashcan School의 영향을 받았습니다. "The Eight"라고도 알려진 이 예술가 그룹은 뉴욕 도시 생활의 거칠고 꾸밈없는 현실을 묘사하는 데 중점을 두었습니다. 그들은 공동주택 동네, 붐비는 거리, 노동계급 사람들의 삶 등 일상생활의 장면을 자주 묘사했습니다. 그들의 작품은 예술적 관습에 도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20세기 초 미국 사실주의의 길을 열었습니다.


호퍼의 경력은 1920년대와 1930년대에 인지도를 얻기 시작했으며, 그는 미국의 대표적인 사실주의 화가 중 한 사람이 되었습니다. 호퍼는 1924년에 예술가인 조세핀 니비슨(Josephine Nivison)과 결혼했고, 그녀는 그의 가장 가까운 동반자이자 그의 여러 작품의 모델이 되었습니다. 이들 부부는 인생의 대부분을 뉴욕 시에서 보냈지만 케이프 코드(Cape Cod)에 여름 별장도 있었는데, 이 곳은 호퍼의 풍경화에 깊은 영감을 주었습니다. 


호퍼의 빛과 그림자의 사용은 심리적, 감정적 주제에 대한 탐구와 함께 예술계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지요. <밤을 지새우는 사람들 Nighthawks> <오토맷 Automat> 및 <가스 Gas>와 같은 작품은 미국 문화의 상징적인 이미지가 되었으며, 대중문화, 영화 및 문학에서 널리 복제되고 인용되었습니다. 호퍼의 독특한 스타일과 작품의 감정적 깊이는 여러 세대의 예술가, 영화제작자, 사진작가들에게 영향을 미쳤습니다. 


그의 그림은 미국의 변화하는 도시 풍경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합니다. 도시 장면의 건축적 세부 사항에 대한 호퍼의 세심한 관심은 20세기 미국 건축의 역사적 기록을 제공합니다. 또 호퍼는 도시와 농촌 생활의 풍경을 묘사하며 그 시대의 분위기와 분위기를 포착했습니다. 그의 작품은 당시 사람들이 경험한 가치, 도전, 고립을 반영하는 시각적 기록의 역할을 합니다. 호퍼의 그림은 해석과 성찰의 여지를 남기면서 관객이 무대 뒤의 이야기를 숙고하도록 유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복잡한 감정과 대상의 심리적 상태를 전달하는 그의 능력은 미술사에서 자신만의 위치를 갖도록 했습니다.  


호퍼는 은둔적이고 내성적인 성격으로 유명했는데, 이는 그의 작품에서 분명히 드러나는 고독과 사색으로 종종 반영됩니다. 호퍼의 그림은 20세기 미국의 경험에 대한 독특하고 설득력 있는 관점을 제공합니다. 특히나 호퍼의 그림은 사회적으로 큰 변화가 있었던 시기에 많은 사람들의 심금을 울렸던 고립감, 소외감, 외로움을 전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호퍼의 작품의 분위기는 현대 세계의 불안과 불확실성을 반영했습니다. 이처럼 그의 작품은 20세기 초 모더니즘 운동에서 후기 포스트모더니즘 출현으로의 전환에서 독특한 위치를 제공합니다. 그는 사실주의와 연관되어 있지만 현대 세계의 본질을 포착하려는 그의 접근 방식은 시대의 변화하는 예술적 풍경을 보여줍니다.


"2014년 2월 7일, 에드워드 호퍼의 그림 두 점이 백악관 대통령 집무실에 걸렸다. 대통령과 가족들에겐 백악관을 꾸밀 작품의 선택권이 주어지는데, 버락 오바마 전 미 대통령은 에드워드 호퍼의 작품을 원했다.  호퍼 작품의 최대 소장관인 ‘휘트니 미술관(Whitney Museum)’은 고심 끝에 <콥의 헛간(Cobb's Barns, South Truro),1930-1933>과 <벌리 콥의 집(Burly Cobb’s House), 1930-1933>을 대여한다."


사우스 트루로(South Truro)의 고요한 시골을 배경으로 제작된 이 두 그림은 미국 풍경의 본질을 포착하는 호퍼의 능력을 보여주는 전형적인 예입니다. 강렬한 햇빛, 깊은 그림자, 드넓은 하늘, 그리고 푸른 평원을 배경으로 한 소박한 농가나 개척시대의 헛간창고들이 그려져 있습니다. 이러한 미국 풍경에 대한 호퍼의 묘사는 그 시대의 분위기와 분위기를 완벽하게 요약하고 있습니다. 그림 속 장면은 고립감, 평온함, 미국 시골의 독특한 특성을 전달합니다. 이는 20세기 초 미국 문화의 중요한 부분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것입니다.


버락 오바마가 백악관 장식을 위해 이 그림을 선택한 것은 호퍼의 예술성에 대한 감사와 이 작품이 진정한 미국 경험을 표현하는 능력에 대한 인식을 상징했습니다. 오바마 임기 내내 이 그림들은 미국의 본질을 구현하는 장소에 걸려 있었고, 미국의 역사와 문화에서 에드워드 호퍼가 포착한 미국적 풍경화의 지속적인 중요성과 매력을 강조한 예가 되었습니다. 


사실상 엄밀한 사실주의를 지향하기보다 내면의 세계를 재구성한 호퍼의 미국 풍경화는 우리의 내면의 풍경과 감정이 외부의 풍경만큼 중요하다는 것을 일깨워주고 있습니다. 호퍼의 그림은 우리가 내면을 들여다보고, 내면세계를 탐구하고, 독특한 관점을 표현하도록 격려합니다.


특히 에드워드 호퍼(Edward Hopper) 그림에서 각 프레임에 깊이와 의미를 부여하는"창문 모티브"는 중요한 상징적, 주제적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또한 관음증의 시선으로 구성 내에서 깊이감과 입체감을 만들어냅니다. 호퍼의 창문은 그의 그림에 모호함의 요소를 추가합니다. 에드워드 호퍼 그림에 나타나는 창 모티프는 고립, 관음증, 공과 사의 경계, 자기 성찰, 모호함, 시간의 흐름 등의 주제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요소이며, 이는 의미의 층위를 더하고 관객이 사색과 해석에 참여하도록 유도하여 호퍼의 작품을 감정적, 심리적 깊이로 풍부하게 만듭니다.


창문을 통해 우리는 개인들이 서로 떨어져 서 있고, 종종 생각에 잠겨 있으며, 유리창으로 서로 분리되어 있는 고독과 고립의 본질을 엿볼 수 있습니다. 도시의 중심부에서, 도시의 불협화음 속에서도 사람들은 감정적으로 멀어지고 단절될 수 있다는 가슴 아픈 진실을 속삭이고 있습니다. 그러나 바로 이 거리에서 우리는 등장인물의 내면세계를 묵상하고, 공감과 이해를 구하고, 인간관계의 힘을 감상하도록 초대받습니다.


호퍼의 창문 모티브는 관음증의 문을 열어 우리의 사생활을 엿볼 수 있게 해 줍니다. 우리의 호기심을 자극하고 묵상을 불러일으키며 그 안에 숨겨진 감정과 이야기에 대한 생각을 불러일으킵니다. 관찰자로서 우리는 참여자가 되어 호퍼의 등장인물의 경험을 함께 공유하고, 그렇게 함으로써 우리 자신의 성찰을 탐구하게 됩니다.


창은 공개와 비공개를 구분하는 경계를 나타냅니다. 그들은 외부 세계와 생각과 감정의 친밀함 사이의 대조를 강조합니다. 등장인물들은 내면에서 그리움을 바라보며 자유로워지고, 외부와 연결되고, 속박을 초월하고 싶어 합니다. 이는 우리 각자의 내면에 존재하는 이중성, 즉 우리의 외부 장면과 우리 마음과 정신의 내부 풍경 사이의 긴장을 상기시켜 줍니다.


또한 창은 자아를 반영하는 역할을 하며 우리 자신의 삶과 감정에 대해 성찰하도록 촉구합니다. 투명한 유리가 예술가의 내면세계를 비추는 거울인 것처럼, 우리는 내면을 들여다보고 광활한 내면 풍경을 탐험하며 자신의 희망, 꿈, 두려움과 연결되도록 안내합니다. 그러나 그것은 또한 모호함을 구현합니다. 왜냐하면 창은 단지 얼핏  드러내고, 밝혀지는 만큼 모호하게 하기 때문입니다. 호퍼의 창은 우리에게 알려지지 않은 이야기를 해석하고, 이야기를 하나로 엮고, 삶이 숨겨진 것과 드러난 것, 알려지거나 알려지지 않은 내면적 사건을 인식하도록 요청합니다.


호퍼의 창문을 통해 우리는 시간의 흐름, 끊임없이 변화하는 외부 세계의 본질을 목격합니다. 빛과 그림자의 유희는 왔다가 사라지는 순간, 전환과 변화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이는 삶은 연속체, 즉 우리 존재의 끊임없이 변화하는 풍경을 탐색하는 여정임을 상기시켜 줍니다. 창문은 공간상 그저 벽에 뚫린 구멍에 그치지 않고 심오한 감정과 성찰의 영역으로 들어가는 심리적 관문이 될 수 있습니다. 유리를 통해 우리는 공적인 것과 사적인 것, 알려진 것과 알려지지 않은 것, 관찰된 것과 관찰자 사이에 갇힌 한계 공간에 있는 우리 자신을 발견합니다. 


다시 호퍼의 <재봉틀 하는 소녀>를 바라봅니다. 이것은 호퍼의 많은 "창문 그림" 중 첫 번째 작품 중 하나입니다. 거울이 달린 화장대가 있는 작은 방의 창문 앞에 놓인 재봉틀 그리고 벽 위에는 자그마한 그림 한 점이 걸려있습니다. 호퍼의 그림에서 소녀에게 은은한 빛을 내며 태양이 쏟아지는 곳, 메리 리더(Mary Leader)의 동명의 시에서 '과하게 끓인 차의 색'으로 묘사된 따뜻하고 편안한 방은 바로 고독의 안식처입니다. 


삶의 경험, 욕망, 불안감을 지닌 호퍼의 그림 속 소녀는 자신만의 공간의 고요함 속에서 진정한 자아를 추구하고 위안을 찾는 현대인의 상징이기도 합니다. 호퍼의 홀로 재봉틀을 돌리며 실을 꿰고 옷을 짓는 소녀의 주체적 행위는 더 나아가 그림 속 소녀처럼 우리 각자의 삶도 진행 중인 예술 작품임을 일깨워주고 있습니다. 맑은 창을 바라보듯 내가 짓고 있는 삶의 풍경을 들여다 보며 오늘을 살아갈 시선의 힘을 얻습니다. 


호퍼의 창문은 세상이 거대한 캔버스이고, 각 프레임이 인간 영혼을 들여다보는 창이라는 점을 상기시켜 줍니다. 호퍼에게 창 모티브는 삶에 대해 명상하고 모든 복잡함 속에서 인간의 경험을 숙고하도록 하는 초대입니다. 투명하고 맑은 창을 바라보는 일은 연결하고, 공감하고, 감사하고, 성찰할 수 있는 기회가 됩니다. 


창을 사랑하는 것은,

태양을 사랑한다는 말보다

눈부시지 않아 좋다.

.

.

.

창을 맑고 깨끗이 지킴으로

눈들을 착하게 뜨는 버릇을 기르고,


맑은 눈은 우리들

내일을 기다리는

빛나는 마음이게....


      김현승, 「창」 中에서



작가의 이전글 걷는 사람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