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정말 Jul 08. 2024

행복한 겨울, 첫 산책

이천십삼 년 십일월의 이야기

늦은 가을비가 내리는 새벽, 우산을 꺼내 들고 연탄을 보러 간다. 떨어진 감잎들은 밟아도 소리가 없고 아직 연탄은 뜨겁다. 손님처럼 사라진 꿈을 더듬거리듯 조금 더 연탄을 태워야 할까. 아홉 구짜리 구멍이 내 눈동자에서 초점을 잡는다.   


기름보일러와 연동돼 돌아가는 연탄보일러는 난방비 절감을 위한 전 집주인의 묘안이었겠지만 나는 연탄을 가는 것이 싫다. 매캐한 일산화탄소가 폐까지 단숨에 중독시켜 버릴 것 같은 불안감에 항상 마스크를 쓰고 있음에도 나는 숨을 최대한 멈춘다.  


이웃에 혼자 사시는 어르신 집에도 불이 켜지고 연탄을 갈러 나오며 늘 그렇듯 마른 기침소리가 들린다. 가끔 처마 밑에 나와 울퉁불퉁한 마당을 따라 대문도 없는 골목길을 한참 동안 바라보는 어르신. 친구 분은 계신지, 자녀는 가까운 곳에 살고 있는지 궁금해 지는 아침이다.   


곧 한 겨울이 오면 감나무 잎을 다 떨구고 그 나무 옆에서 한 번씩 웅- 하며 돌아가는 보일러 소리 조차 따뜻하게 들리겠지. 언젠가 리모델링도 해야 할 것이고. 아니 새로 지어야 할 수도 있는데. 오늘도 계산기를 열심히 두드리며 하루를 시작한다.   



카톡 프로필 사진에 누리의 모습을 올리자 가족들과 지인 몇이 연락해 왔다. 그중 하나를 소개하면 이렇다. 

 “강아지 키워?”

 “응.”

 “여자야? 남자야?”

 “여자.”

 “나중에 새끼 낳으면 한 마리 분양해 줘.”  


분양? 이 세상에 공짜는 없으니 누리가 대여섯 마리만 낳아도 얼추 잡아…. 아니야 아니야. 무슨 생각을 하는 거냐고 이내 마음을 고쳐먹었지만 솔직히 고백하건대 이런 생각을 몇 번 한 적이 있다. 

  

노후 주택이라고 해도 모아둔 돈을 탈탈 털어 구입 자금을 대기에 턱없이 부족해 은행에서 최대한 대출을 받았더랬다. 매월 대출금의 상환 기일이 올 때마다 분양하라는 그 말은 초승에 뜨는 달만큼 때때로 마음을 솔깃하게 했다.  

  

혼자 벌어 세 식구 살기 빠듯한 형편에 강아지를 키우게 된 데다가 대출금, 큰아이의 대학 입학으로 인한 지출 등 투잡을 뛰고 있다고 해도 앞으로 지출은 더 많아질 것이 뻔했기에 누리에게 들어가는 모든 비용의 효율을 나도 모르게 따지고 있었다. 누리가 귀엽고 사랑스러웠지만 경제적인 부분과 연결되자 난 속좁고 지극히 현실적인 가장의 모습을 드러냈다. 

    

엄마의 마음이 그러거나 말거나 딸아이는 여전히 친구들을 집에 데리고 왔고, 누리를 가운데 두고 턱을 괴고 빙 둘러 엎드린 채, 마치 신기한 생명체라도 관찰하듯 눈동자를 꿈벅거려 가며 시간 가는 줄 몰랐다. 


달라진 게 하나 더 있었다. 어쩌다 곁눈질로 본 모습이었다. 처음에는 잘못 봤나 싶었다. 언제부터인가 딸아이는 자기 방에서 화장실까지 가는 그 짧은 거리에서, 혹은 거실을 지나 현관으로 향하는 그 중간쯤에서, 때로는 자기 방문을 열기 1초 전쯤, 흥칫흥칫 어깨에 리듬을 태우는 것이었다. 


나도 모르게 피식 웃음이 나왔다. 그래, 저렇게 좋아하는데 조금 더 절약하는 게 뭐 힘든 거라고. 지금까지 과소비하지 않고 산 덕분에 대출을 꼈지만 이사도 했고 월급도 조금씩이지만 오를 텐데. 염려마귀에 씐 사람처럼 석 달을 갓 넘긴 누리를 이용해 대출금 갚을 생각부터 했을까. 


늦가을 산들이 낙엽을 다 떨구고 산의 몸이 훤히 드러나 보일 때마다 산도 부끄러울까?라고 쓸데없는 호기심을 가졌었는데 이제 그 질문은 나를 향한다. 어떤 마음은 때로 입 밖으로 내뱉지 않아서, 들키지 않아서 얼마나 다행인지. 그래서 지켜지는 일상의 평화는 또 얼마나 소중한지.

           

초보 견주라고 해서 누구나 나 같은 생각을 하지는 않을 터인데 경제적 여유가 있었다면 돈 되는 일을 좀 덜 찾아 헤맸을까. 통장에 잔고가 두둑하지 않다고 해서 마음의 여유까지 잃어버리면 안 된다는, 누구나 한 번쯤은 자기 자신에게 했을 법한 말이 나에게 필요했음을. 그 말이 내 마음에서 잘 자라라고 톡톡 흙을 다지듯 다독거려 본다. 흔들림 없는 듬직한 나무의 씨앗이 되길 바라면서.

 

더군다나 오늘은 누리의 첫 산책날. 마음의 여유가 더 필요한 날이다. 목줄을 챙기고 배변봉투와 물병, 혹시 몰라 화장지와 간식까지 가방 칸칸이 넣어본다. 좁고 길쭉하거나 바삭하게 말라 끝이 말려 올라가거나 한 낙엽들 위로 조심스럽게 한 발 한 발 내딛던 누리는 한참씩 먼 곳을 응시했다. 그 시선은 큰 벚나무를 돌아, 금강정 처마 밑을 지나, 강줄기를 찬찬히 보고 돌아올 만큼 더디고 고요했다. 


코앞까지 도착한 바람의 맛을 보려는 것일까. 갓 쪄낸 송편에 기름칠한 듯 반질반질하고도 작은 코는 실룩거림을 멈추지 않는다. 푸르르 몸을 털기도 하고 잔디밭에서 뒹굴거리다 토끼처럼 깡충거리기도 한다. 그때 나는 보았다. 딸아이가 어깨춤을 추면서 짓던 미소가 누리에게도 있다는 것을. 


괜히 울걱해졌다. 저 작고 어린, 엄마의 품을 떠나온 따스한 생명에게 넓디넓은 세상을 소개했다는 자부심. 아니면 누리의 미소에서 딸을 닮은 미소가 오버랩되며 이제 정말 가족이 되었다는 실감에서 나온 책임감이었으려나. 내 발걸음이 사뿐하게 빨라진다.  


그런 나를 누리가 앞장선다. 좌우로 꼬리를 흔들면서. 우리의 집을 향하여.   

      



*금강정: 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봉래산 자락 밑에 있는 암자로 조선시대에 세워짐. 지금은 금강공원(에코공원)으로 새롭게 조성돼 주민들의 휴식처로 사랑받고 있다.    

매거진의 이전글 이런 순진 무지한 견주를 봤나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