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수영의 삶과 역사를 함께 읽기
김수영 시를 떠올리면 모두들 어렵다, 난해하다는 생각부터 떠올릴 것입니다. 맞는 말이기도 하지만 한편으로는 김수영 시를 이해하기 위한 노력이라고 할까요, 공부라고 할까요, 이런 것들이 빠진 채로 말해진다는 느낌도 없지 않습니다. 물론 누구나 김수영 시를 이해하기 위해 고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말은 아닙니다. 독자들은 자신들이 좋아하고 선호하는 시인을 읽을 권리가 있지요.
그리고 자기 가슴에 좀처럼 다가오지 않는 시를 아무래도 멀리하게 되는 것도 자연스러운 일입니다. 여기서 꼭 말해야 할 것은, 시 자체가 원래 어렵다는 겁니다. 이 말은 단지 학교 교육이 시를 가르칠 때 문제 풀이 방식으로 접근하게 해서 벌어진 일이기 때문이 아니라, 시의 언어가 본래 함축적이고 종합적이고 또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어떤 세계를 향해 있기 때문입니다.
한편으로 시는, 우리가 인간인 한에서는 언제나 쉽습니다. 무슨 말인고 하면, 비유하자면 시는 인간의 삶 속에서 피어나는 꽃과 같다는 말입니다. 우리가 삶을 살아가는 한 시는 언제나 우리 안에서 꿈틀대는 무엇입니다. 의당 삶이라고 하면 생활을 떠올리는 사람들이 많은데 그게 그렇게 간단한 게 아닙니다. 우리는 생활을 통해 삶을 영위하지만 삶은 또 생활을 벗어나 다른 영토를 상상하는데, 이 상상의 에너지는 우리 ‘전체’에서 제공됩니다. 먼저 우리 몸이 있습니다.
몸은 나 하나의 개체를 가리키지 않고 몸과 몸이 만나는 장(場)까지 포함합니다, 그리고 이 장을 통해 공동체가 만들어지고 역사가 진행됩니다. 그런데 이런 과정이랄까 하는 것들은 순차적이지 않고 또 모든 것이 가시적인 것도 아닙니다. 우리의 제한된 감각으로는 느끼지 못하는 게 허다하죠. 그래서 우리는 이성을 통해 정신을 계발하고, 감성을 통해 상상하고 그리움을 갖기도 합니다. 제 생각으로 영혼은 이러한 모든 것을 일컬을 겁니다. 하지만 단순한 합은 아니죠. 이 모든 것이지만 그것들과 다른 것이라고만 말해두기로 하겠습니다.
따라서 시는 언어와 리듬으로 나타나기 전에 우리가 우리의 영혼을 망각하지 않는다면 누구나 쓰고 읽을 수가 있습니다. 그러니까 언제나 쉬운 거죠. 다만 우리 각자의 영혼이 다르듯이 시를 쓰는 이도 각자의 영혼으로 시를 쓰다 보니까 그 발현 형태가 천차만별이 됩니다.
더군다나 근대 사회는 시간이 지날수록 복잡해지고 혼란스럽습니다. 처음에는 세상 만물이 계측 가능하고, 예측할 수 있으며, 인간의 지성으로 심지어 조정/조작도 할 수 있다는 자신감으로 똘똘 뭉쳤지만, 이 계산과 조작이 중첩되면서 도리어 혼돈 상태가 되어버렸습니다.
상황이 이렇게 되면 우리의 영혼도 어지러울 수밖에 없고, 이 어지러운 영혼을 차라리 잊어버려야 삶이 가능하다는 ‘계산’이 본능적으로 섭니다. 이 와중에서 그나마 견디고 버티면서 시를 쓰다 보니 현대시가 어렵게 되거나 희한해지게 된 것입니다. 이제부터 읽게 될 김수영의 경우를 통해 느끼실 거지만, 그렇다고 어려운 시가 나쁘거나 쉬운 시가 좋은 것만은 아닙니다. 어려운 시와 쉬운 시, 그리고 좋은 시와 그렇지 못한 시는 범주가 다르다고 할까요. 그러니까 미리 겁먹을 필요는 없습니다.
김수영의 시가 어렵다고 여겨지는 이유는, 단적으로 말해 김수영 시인이 자신이 처한 혼란스러운 현실 속에서 영혼을 잃어버리지 않으려는 고투를 통해 시를 썼기 때문일 겁니다. 김수영은 시를 쓸 때 굳이 어려운 말을 골라 쓰지는 않았습니다. 우리가 모르는 단어가 있는 것은, 그 사이에 우리가 쓰는 언어에 변천이 있었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또 김수영의 시를 읽다 보면 우리가 지금 쓰지 않는 말이나 그 표기법이 지금과는 다른 말들이 다수 발견됩니다. 물론 김수영 전집의 가장 최근 판에서는 일부 현재 식으로 고쳐 놓기는 했지만 말입니다. 그런데 사실 김수영 시가 어렵게 느껴지는 것은, 그러한 언어의 변천에도 이유가 있지만 그것보다 더 근본적인 원인이 있는 것은 사실입니다.
예를 들면, 그가 포로수용소에서 석방되고 처음 발표한 「달나라의 장난」을 읽어봐도 오독을 할 여지는 이곳저곳에서 발견됩니다. 이 작품은 김수영이 1959년 시집을 낼 때 표제작으로 삼을 만큼 김수영 자신이 애착을 가진 것처럼 보입니다. 시인이 자신의 시집을 낼 때 삼는 제목은, 대체로 시인이 독자들에게 말하고자 하는 것이나 시집 전체를 종합해서 의미하는 나름 ‘대표작’을 앞세우기 마련입니다.
시인이 나름 앞세운 작품이라고 해서 그것이 누구나 동의하는 ‘대표작’이라고 말할 수는 없습니다만 시인 입장에서는 그렇다는 겁니다. 「달나라의 장난」은 김수영 시 전체에 있어서 ‘대표작’ 중 하나로 불러도 무방한 작품입니다. 이에 대해서는 다음 시간에 좀 더 자세히 말할 기회가 있을 겁니다. 그리고 왜 이 중요한 작품에 오독의 여지가 있는지도 그때 자세히 말씀드리기로 하지요.
(계속)
*김수영 문학관 바로 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