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시지프 Sep 28. 2023

「무시, 경멸, 분노」

자기-속-물음표

 타인에 대한 무시는 곧 자기(自己)-속-물음표에 대한 무시이다. 타인에 대한 경멸은 곧 자기(自己)-속-물음표에 대한 경멸이다. 타인에 대한 분노는 곧 자기(自己)-속-물음표에 대한 분노이다. 인간은 타인 속에서 자기의 모습을 포착하지만, 세인(世人)의 시선으로 이를 은폐하고 본디-자기의 심경과는 다른 양태로 심경을 드러낸다. 

 이에 대하여, ‘인간 쓰레기를 경멸하는 게 어떻게 자기-속-물음표에 대한 경멸이라고 볼 수 있겠는가?’라는 반론이 있을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답하겠다. 인간-존재의 심경은 자기만이 온전히 체험할 수 있다는 점에서 고유함을 지닌다(인간-존재의 일의성). 심경에는 세계의 흔적을 반영되여 고유한 심경의 반응 양태가 형성된다. 범죄자는 법을 어긴 사람이다. 법은 자기를 구속하는 세계의 방식 중 하나라고 ‘교육’되었다. 교육의 근원이 설득이 아닌 명령이라는 사실은 자명하다(‘너는 이거야. 내가 한 말을 기억해’). 

 명령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명령하는 인간-존재는 타인의 복종을 끌어내기 위해 타인의 심경을 조작한다. 대표적으로 심경에 작용하는, 쾌락과 고통과 같은 유용성의 관념을 조작함으로써 복종을 얻어내는 방법이 있다(‘나는 이거라고 말하면 밥을 먹을 수 있구나, 그럼 나는 이거야!). 법 또한 같은 방식으로 작용한다. 이 법을 지키면, 나는 법규가 허용하는 한에서 자유를 누릴 수 있다. 

 명령-복종 기제는 본디 ‘찜찜함’의 느낌을 낳는다. 인간-존재는 세인(世人)의 시선이 의식에 존재하게 됨으로써 어떤 느낌표를 가지게 된다. 이 느낌표는 세인의 시선으로서 의식을 따라다닌다. 이로써 본디의 심경, ‘?-존재’가 가지는 ‘찜찜함’이 남게 된다(‘왜 나는 이거지? 왜 네가 한 말을 기억해야 하는 거지?’). 물음표는 느낌표에 균열을 만든다. 무시, 경멸, 분노의 심경으로 은폐는 강화된다(‘너는 이거잖아! 대답해! 기억을 못 하는 너는 바보야! 등’). 하지만 은폐가 강화될수록, 본디-자기가 가진 물음표는 반대 방향으로 더 뻗어나가며, 느낌표가 금기시하는 것에의 욕망이 강해진다. 

 ‘느낌표가 금기시하는 것에의 욕망’은 물음표의 형태로 나타난다(‘왜 저거이면 안 되는데?’ 나는 기억하기 싫은데?). 물음표의 누적은 느낌표의 폭발(명령자에 대한 무시와 경멸, 분노)로 이어지게 되지만, 이것이 본디 물음표에 기인했다는 사실은 다시 은폐된다(나는 이거라고! 나는 기억하기 싫다고!). ‘인간 쓰레기’와 비슷한 욕망이 인간-존재의 의식에 상재(常在)함은 자명하다. 누구도 절대적으로 깨끗하지도, 누구도 절대적으로 더럽지도 않다. 물음표와 함께 존재하는 ‘인간 쓰레기’적 욕망은 수많은 명령들에 의해 은폐된다. 어떤 타인-존재가 그 욕망을 행했음이 밝혀져 ‘더불어 존재하는 인간들’에 의해 ‘인간 쓰레기’라는 칭호가 붙여졌을 때, 인간-존재 속 물음표는 여러 은폐-기제와 섞여 하나의 심경으로 표출된다(쟤는 쓰레기네!).

 의식이 희미해질 때, 은폐성이 줄어들 때, 자기-속-물음표는 조금이나마 자유를 획득한다. 느낌표가 강하다고 생각되는 사람이, 술을 마시고 자신의 물음표와 대면하며 ‘찜찜함’을 해소하려는 광경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은폐는 인간-존재의 생존 방식이지만 물음표-심경을 누르는 방식이기도 하다. 물음표 존재를 개봉하는 것이 좋은 삶의 양식이라고 말하려는 의도는 없다. 하지만, 우리가 은폐하고 있는 어떤 존재의 정체는 인지해야 하지 않을까?

작가의 이전글 「기대와 실망」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