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오스카 Feb 09. 2021

화장품 품질의 기준과 지표는 무엇일까요?

화장품에 있어서 품질은 존재할까

제품의 품질은 브랜드 구축(브랜딩)과 직결된다고 합니다.

화장품에 있어서 품질은 무엇일까요.

사용감?

발림성?

패키지?

디자인?


그렇다면, 이 품질을 어떻게 수치화해서 개선할 수 있을까요?

개선해야 제품의 품질이 개선되고,

제품의 품질이 개선돼야, 브랜드 구축을 할 수 있을 테니깐요.





소비자가 인식할 수 있는 품질


브랜드 입장에서는,

패키지를 고급스럽게 디자인한 것

고급스러운 또는 우리만의 향을 추가해서 가치를 높인 것

비싼 용기와 패키지를 사용해서 비싸 보이게 만든 것

OEM이 아닌 자체 공장에서 생산제 조한 제품



위에 나열한 것들이 다 품질 항목이 될 수 있습니다.

반면에 품질 항목이 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이 항목의 품질을 높이면 우리 소비자는 인식할까?"

위 질문에 따라 품질 항목이 될 수도, 안될 수도 있을 것입니다.



아기용 화장품 브랜드 입장에서

고급스러운 향과

고습스러운 용기와 패키지

가 품질 항목이 될 수 있을까요?



백화점에 판매하는 명품 화장품 입장에서

EGW그린 등급이

다른 브랜드 제품에 비해 합리적인 가격

이 품질 항목이 될 수 있을까요?

품질이라는 것은 어디까지나 상대적인 개념인 듯합니다.

품질의 기준은 우리 브랜드가 어떤 브랜드이며, 어떤 브랜드로 소비자들에게 인식되기를 바라는지에 따라 달라집니다.





경쟁사와의 품질 비교


우리 소비자들이 인식할 수 있는 품질 항목을

우리 소비자들이 잘 인식할 수 있도록 전달하는 것이 브랜드 마케팅, 이라고 정의하고 싶습니다.



우리는 지금도 고민하고 생각합니다.

'어떻게 하면 우리 브랜드를 소비자들에게 잘 인식시킬 수 있을까?'

이를 위해서 모델을 사용하기도 하고, 특정 유통 채널을 가져가기도 하고, 영상을 잘 만들어서 광고를 하기도 합니다. 



우리 브랜드는 경쟁사 브랜드에 비해 어떤 부분에서 우수한 품질을 가졌는가?

그리고 그 품질의 내용을 잘 전달했는가?

이 품질의 기준은 무엇이며, 수치화해서 개선해 나갈 수 있는가?

품질의 어느 정도 수준이 돼야, 소비자들이 만족할 수 있을까?

마지막으로,

나는 혹은 우리는 매출을 원하는가? 브랜드를 원하는가?






고민해야 봐야 할 질문입니다.

브랜드 구축, 브랜딩은 결코 쉽지 않습니다.

화장품의 경우도, 가장 유명한 설화수가 브랜드의 개념이 도입된 지 20년 남짓입니다.

(*72년 진생삼미 브랜드 런칭, 97년 설화수 브랜드로 재탄생)

그 전만 하더라도, 브랜드 만들어서 잘 되면 계속 투자하고

그렇지 않으면 없애고 새로운 브랜드를 또 만드는 시스템이었습니다.



어려운 것이지만, 해내는 경우도 있고, 다양한 사례들도 있습니다.

위 질문들을 생각할 때 우리 브랜드만 바라보고 고민하고 생각하는 것보다는

국내에, 해외에 다양한 브랜드 사례를 찾아보면서 케이스 스터디할 수 있는 브랜드의 지난 과정을 보면서

품질과 기준을 잡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런 말들도 사장님들이 고민하는 질문에 답이 될 수는 없겠지만,

이렇게라도 함께 고민해보면 어떨까 하는 생각에 글을 적어 봅니다.

사로 파트너 되어주기, 라는 타이틀처럼 이 글로 인해서 서로 파트너가 되어서 함께 고민해 볼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왜, 백화점 1층에는 OEM화장품 브랜드가 없는걸까요?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