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칠이칠 Feb 16. 2024

일단 해보려고 하니 모든 게 고민이더라

이게 맞을까 저게 맞을까, 이왕 하는 거 잘 되면 좋잖아

해보기로 한 유튜브에 어떤 영상을 올릴 건지는 후에 이야기하기로 하고.

우선 채널을 만들고 몇 가지 테스트 과정을 거쳐본 이야기를 먼저 해보자면

이왕 해보기로 한 결정을 하고 나니 하는 김에 이왕이면 잘 됐으면 하는 마음이 솟구쳤다.


비단 유튜브뿐만 아니라 블로그나 인스타그램 등등의 SNS가 꾸준함이 답이라지만

그 안에도 잘되는 것이 있고 안 되는 것이 있으니 잘되는 루트를 따라 나 또한 잘 되고 싶었다.


사실 꽤 초기부터 블로그를 운영하며 블로그에 대해선 나름의 노하우나 방법적인 지식은 많이 알고 있었고,

인스타그램은 한창 여행사진을 올리며 활발히 운영했던 경험과 마케터로서 여러 채널을 운영해 본 경험을 쌓고 지식을 갖고 있었지만, 막상 유튜브를 하려니 그간에 지식과 노하우는 큰 도움이 안 된다 싶었다.

물론 경험이 쌓여 자연스레 체득한 것들이 적용되어 나오는 것은 모르겠지만, 그것이 아닌 단순히 운영적 프로세스에서 궁금한 것들이 많았고 그것은 다른 채널 운영 경험으론 채워지지 않는 종류의 것들이었다.


첫 번째 궁금증은 '유튜브는 새롭게 만든 채널이 좋은가, 오래된 채널이 좋은가' 하는 궁금증.

여기서 말하는 새로운 채널이란 말 그대로 방금 스튜디오 만들기 버튼을 눌러 생성한 따끈따끈한 신상 채널을 말하는 것이고, 오래된 채널이란 채널 자체는 예전에 만들어 두었지만 영상을 올린 적은 없는 새하얀 스케치북 같은 채널을 말하는 것이다.

다른 SNS 채널의 경우, 신상 채널은 노출이 잘 안 된다, 몇 년도 이전 계정이 노출이 잘된다 같은 콘텐츠 노출의 유리함에 대해 이런저런 이야기가 떠돌곤 했는데, 그게 유튜브에도 동일한지가 궁금했다.

콘텐츠의 퀄리티에 대한 반응 알고 싶어도 우선은 노출 자체가 잘되어서 조회 수가 발생을 해야 알 수 있는 것이니 조회로 이어지지 않더라도 어떤 채널이 노출에 유리한 지를 알고 싶었다.


그래서 테스트를 해보았다.

나는 이전에 유튜브를 해보겠다는 생각으로 만들어 두었던 스튜디오 채널이 하나 있었다. 그곳에 몇 개의 숏츠 영상을 올려둔 것이 있어 완전한 빈 스케치북의 채널은 아니었지만 해봤자 몇 개 개수가 되지 않았기에 무시했고 내가 앞으로 올릴 영상의 주제와 그렇게 다르지 않았으니 그냥 사용하는 것을 생각했다.

그렇게 그 채널에 만든 영상을 올리기 시작했는데 노출 수치는 평균적으론 몇 천대가 나왔다, 몇 백에서 마무리되는 것도 있었긴 했지만. 그리고 그에 따른 조회 수는 30~40건 정도.

물론 처음부터 화려하게 등장! 몇 백개의 조회수를 기대하진 않았고 이 정도의 조회수가 나오는구나 했지만, 이게 처음치고 잘 나오는 것인지, 못 나오는 것인지가 궁금했다.


완전한 생짜 채널이 아니었으니 완전 처음 시작한 채널이면 더 잘 나오려나? 하는 궁금증.

여기저기 찾아봤을 때 유튜브는 신규 채널에 대해 콘텐츠를 노출시켜주려고 한다는 말이 있길래 더 궁금증이 들었다. 그래서 올려가던 영상을 싹 비공개로 돌렸다.


그리고 새로운 채널을 개설. 새롭게 영상을 올리기 시작했다.

다만, 영상은 조금 더 다듬어서 새로운 파일로 출력해서 업로드. 혹여나 유튜브에서 중복 파일로 인식할 수 있겠단 생각에 무조건 새롭게 올리는 파일은 새롭게 출력해서 올렸다.

그렇게 조금 다른 콘셉트로 새로운 채널에 영상을 올렸고 노출 수치는 평균 몇백 정도 그리고 조회수는 거의 한자리 정도.

콘텐츠의 제목이나 해시태그는 별반 다르지 않았고 다른 정도는 썸네일의 레이아웃과 콘셉트 정도였다.

하지만 이것들이 영상에 영향을 주느냐를 이해하고 분석하기에는 노출 수 자체가 적다 보니 상관관계를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결과적으로 첫 번째 궁금증은 '유튜브는 새롭게 만든 채널이 좋은가, 오래된 채널이 좋은가'에 대한 답은

만들자마자 생짜인 채널은 아무래도 노출에 조금은 불리한 측면이 있는 것 같다는 생각.

이게 명쾌한 정답은 아니지만 단순 비교로서는 그런 듯했다.

(오래된 채널이라고 해서 아예 기록이 없는 채널이라면 또 다를 수 있겠지만)


그리고 이 과정에서 찾아본 내용 중에 콘텐츠를 올린 적이 없는 채널이더라도 구독한 채널, 시청 기록 등으로 알고리즘이 그 채널을 파악하고 노출에 영향을 줄 수 있어 본격적인 콘텐츠 업로드 전 미리 관심사 채널들을 구독해 두고 시청기록을 쌓아도라는 말이 있던데 이 부분에 대해선 진짜인지 모르겠다.

(혹시나 관련해 테스트를 해보거나 아시는 분이 있다면 댓글 좀 달아주세요.)


그리고 다음 두 번째 궁금증에 대해선

다음 편에서..

작가의 이전글 유튜브를 해보기로 생각한 이유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