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식 사다리 타기
1982년 공직의 회식에 4급 부서장이 30분 늦게 도착했다. 먼저 자리한 30명 직원들의 불만이 일기 시작하더니 7급 중간쯤 되는 선임들이 몰래 반찬을 먹기 시작했다.
요즘 부서장이라면 자신이 늦으니 먼저 식사를 시작하라 연락을 하겠지만 당시의 공직 상층부 어르신들은 그런 배려를 하면 안 되는 줄 알았다. 그래서 몰래 시작된 접시빼기는 한동안 진행되었고 결국 상다리 아래에는 10개가 넘는 빈 접시가 쌓였다.
1985년 회식 중반에 술을 강권하는 간부를 조력(?)하면서 또 문제의 그 7급 선배들이 건네준 사이다가 든 소주병을 서빙하다가 혼자서 다 뒤집어 쓰고 벌주를 하사(!)받았다. 그날 회식은 음식 먹은 기억은 없고 벌주로 마신 소주의 진한 진향만 생각난다.
25도 톡 쏘는 소주의 송진 맛을 당시 젊은이들은 진맛이라 했다. 8급까지는 당하는 줄 알면서 피하지 못했던 회식의 아픈 기억이 참으로 많기도 하다.
2015년경 세월이 흘러가니 이제는 회식을 주관하는 입장이 되었다. 그래서 일찍 도착해서 동료들을 기다렸다. 참석 인원만큼 사다리를 그려서 자리를 정했다.
복불복으로 결정되는 자리이니 방석 배정에 대한 불만이 없고 옆자리, 앞자리에 누가 앉는가는 그날의 운이다. 그래서 후임 젊은이들의 환영을 받았다.
가운데 과장, 양쪽과 맞은편에 계장, 그다음에 7급이 앉고 가장자리를 9급 8급이 차지하는 전통적인 자리 배치가 아니라 뽑힌 번호대로 앉으니 그 그림이 매번 틀리고 다양하다. 대화의 주제와 소재 또한 넓어진다.
인구에 膾炙(회자)된다는 말이 있다. 膾(회)는 날음식이고 炙(자)는 익힌 음식이다. 사전을 보면 회자란 회와 구운 고기라는 뜻으로 칭찬을 받으며 사람의 입에 자주 오르내림을 이르는 말이다.
탕이든 물회든 마음 맞는 사람들이 함께 식사하면 결속을 다지고 서로를 이해하고 조직과 부서의 발전을 도모하게 된다. 그런 소중한 자리가 고전적인 서열중심 배석이라면 안타까운 일이다.
혁신적일 것까지는 아니어도 변화를 주는 유연한 사다리타기 방식의 좌석배치가 필요하다. 그리고 코로나19를 이겨내고 회식모임이 하루빨리 재개되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