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스웰몰츠식 성공체험; 자아를 깨워라
미국샤핑
티파니의 아침 ( Breakfast at Tiffny's)은 1961년도에 미국의 로맨틱 영화이다. 오드리 헵번의 묶어 올린 헤어 스타일이 인상적이였다. 그 영화는 소박한 서민인 오드리 헵번이 상류층을 동경하는 걸 그린 영화이다. 한 장면이 오드리 헵번이 베이글을 한 입에 물고 그 보석상 앞에서 커피를 마시는 얘긴데, 뉴욕의 상류사회에 진입을 갈망하면서 실제 하류층일 수밖에 없었던 자신의 삶을 갈등 있게 인간적으로 묘사했다 해서 그 당시 5개 아카데미상을 휩쓸언던 영화이다. 난 옛날 생각이 나서 근자에 다시 DVD로 돌려 보았는데, 이런 영화가 지금 나온다면 에미상이 아니라 그 흔한 글로벌상도 못 받을 거란 생각 했다. 아마 사회가 불안정한 급성장이 되면 졸부들이 우후죽순으로 생기고 서민으로 자란 미모의 오드리 헵번이라면 한 번쯤은 고위층의 꿈을 꿀만한 일을 묘사했다. 그런데 사회가 안정적 성장이 계속되면 돈이 대한 가치기준이 달라진다. 예를들어 여기 돈이 없어서 평생 벤츠 한번 타진 못했고 그 박봉에의 평생 교직 생활한 꽁생원 선생님이 있다고 가정하자. 우리 형의 이야기다. 그는 지금은 은퇴 연금 나오고 늙은 70세까지 자식 농사 잘 시키고, 자기 건강도 잘 지키고, 근자엔 손자 녀석들 키우는 재미로 산다. 근데 돈 많던 그 떵떵거리는 친구들은 지금 지병으로, 인기 많은 어떤 이는 음독자살에, 명에 많은 어떤 인, 아~하루아침에 별 볼 일이 없게 되어 버렸다. 그러니 누가 봐도 꽁생원 선생님의 인생 제일 낫다고 해석할 수밖에 없다. 지금 미국이 그렇다. 유명 브랜드를 쫓질 않는다. 자기 몸보다 커다란 한 잡표를 입고 어디든지 자신 있게 활보를 한다. 나도 인터뷰할 때만 정장을 입었고, 대개 경우엔 평상복차림을 한다. 그러니 결혼 전에 입었던 정장이 아직도 옷 장에 걸려있고 약간 몸에 불긴 했지만 그런대로 조상님 덕분에 아직도 그 옷들이 입을 만하다.
내가 제일 싫어하는 게 상사에게 불러 가, 그 평평의 의자에서 꾸지람 듣고 있을 때와 쇼핑할 때다. 정작 샤핑을 하는 맘은 바쁘고 뭘 살 것인가? 어떤 모양새를 정할 것인가? 머릿속에 정신없이 바빠야 한다. 이런 부질없는 일에 따라간 미국 남편들은 그냥 우둑히 서 있기만 하다가, 이걸 사야 하는 건지 저걸 사야 하는지 감도도 못 잡는다. 마지못해서 카아트( Cart) 옆에게 줄로 묶여 놓은 강아지처럼 그냥 서있는 미국 남편들을 보면서 이게 아니다란 생각이 든다. 그냥 돈 만 주면 부인이 알아서 사 오는 거다. 또 그리고 사온 넥타이가 맘에 안 들어 불평하면
"이게 더 멋있어"
라고 해주면 아내 말에 뿅 가서 그런가 보다 하고 또 닳아질 때까지 메고 다니는 거다. 그런 사핑에 대해서 독특한 철학을 가지고 있는 내가 혼자 쇼핑할 때, 사뭇 그 양상이 남들과 다르다. 나는 사냥하듯이 샤핑을 한다. 샤핑 입구 들어서기 전에 품목만 정해 놓고 가장 이 협소하고 남들이 잘 안 다니는 루트( Route)를 사용해서 어떡하면 짧은 시간 안에 끝내고 빨리 나오는가? 에 관심이다. 다시 말해 그 샤핑효율을 들어간 시간과 나온 시간으로 측정한다. 그리고 짧은 시간에 끝낸 후에 나머지 시간을 백화점 길 건너 아이스크림집에 앞에서 마치 백화점만 한 공룡을 쓰러뜨린 것 사냥꾼처럼 그 백화점을 쳐다보면 팝빙수를 먹고 있는 나라야 직성이 풀린다. 그럼 팥빙술 먹는 그 시간하고 샤핑하는 시간 하고 뭐가 그리 다른 걸까? 쉽게 풀이하면 샤핑에 그 의미를 전혀 두지 않는 거다. 그러니 그 많은 시간을 소진해 가면서 흥정까지 다해서 가격까지 깎아놓고 그냥 돌아서는 사람들을 볼 땐 정말 이해가 안 간다.
이미 얘기했던 것과 같이 미국 사람들은 브랜들 쫓지 않는다. 그러던 미국 사람들도 무섭게 샤핑몰로 튀어 나는 날이 있는데, 그게 블랙 프라이데이( Black Friday; 추수 감사절 다음날)이다. 이 블랙 프라이데이 아우트레트( Outlet; 이곳은 명품 매장들이 군집해 있는 샤핑몰)이 무려 이 블랙 플라이데이랑 크리스머스 샤핑이 미국의 연초에 세일에 60~70퍼센트를 팔아 치워 버린다. 그리고 보통 미국 사람의 4인 가정이 6에서 7만 불 정도 수입인데 이날 그들 년수입에 20%을 지출한다. 미국은 소비국이고 소비해야 나라의 경제가 유지되는 구조이다. 그렇다면 블랙 프라이데이는 미국 전체가 샤핑으로 미쳐 날 뛰어야 되는 날이다. 그동안 군소 소, 도매업자들은 못 팔아서 방치했던 재고를 한방에 없애는 날이 되었다. 무진장의 세일을 해댄다. 우리는 항상 뉴저지 가든 스테이트 팍에 아웃렛을 가보면 지평선이 보이는 그 큰 넓은 주장장에 주차할 자리가 없다. 미국에 그리도 오래 살아봤자만 인산인해는 이날 밖엔 없다. 우리 작은 애도 그날 샤핑을 위해 돈은 절약했다가 그날 일 년 입을 옷을 산다. 각 가계마다 특정 브랜드를 말도 안 되는 싼 가격에 구입을 한다. 아예 사람들은 천막을 치고 그 스토어 앞에서 그날밤 전에 잠을 잔다. 그리곤 정확히 7시 정각으로 문을 열면 고객들이 쳐 밀고 들어간다. 발에 밟히면서도 품목을 먼저 짚는 사람이 그날의 주인이 된다. 이걸 비숫한 걸 하는 데 풋볼 경기가 있을 때 주차장 바베큐 파틸 한다. 자기가 좋아하는 팀을 응원하려고 일찍 가서 거기서 템트치고 잠을 자든가 아님은 그 주차장에서 파티도 하고 한잔한다. 그러니 스토아 주차장에서 이러는 건 이들로선 익숙한 거다.
정말 재미있는 건 대개 미국 사람이 그리 명품을 쫒진 않지만 그래도 아직도 쫒은 두 귀족부류가 있다. 하난 어차피 잘 사는 고위층이고, 또 하나는 사춘기 여학생들이다. 여자아이들은 브랜드가 없으면 친구조차 만들기도 힘들다. 그 나이또래 애들은 명품을 무척이나 좋아한다. 어느 날 맨해튼 42가에 차를 몰고 들어가다가, 잠시 신호등 때문에 차를 세우고 다음 신호를 기다리고 있었다. 우측에 산티아고란 이탈리안 레스토랑 간판이 눈에 들어왔다. 이 레스토랑은 메트로 폴리탄에서 그래도 유명한 레스토랑이다. 그 레스토랑은 유럽식이여서 보도까지 울타릴 쳐서 밖에서도 음식을 먹을 수 있게 했다. 한 가족이 모짜리나 스틱하고 팬케이크를 먹고 있었다. 우리 작은 아이가 내 운전수 옆좌석에 앉아 있었는데 한 가족이 입고 있는 모든 브랜드 이름과 가격을 중얼거리면 계산하길 시작하는 거다
엄마 윗도린 "돌체", 허리띠 "구바나", 치마 "발레리"
남편은 모자 "구사치",
남자아인 "프라다"
여자아인 "바렌티노", "크리스천 디올"
치마 "알마니", 그 애 신발은 "뮤뮤"
500
400
750
-----
50,000
엄마부터 품질과 가격을 계산하는 하더니 가족 총 50,000불이란 계산을 하는 거다
애들 수학을 가르쳐주었더니 이 어려운 수학을 여기에 사용하고 있었다 그 신호등 기다리는 그 짧은 그 시간에 이런 생각을 하고 있었다니 정말 놀라운 일이었고 그 계산의 정확도와 스피드는 과히 최상의 브랜드 이상이었다. 빌딩 사이에 찡겨 있어서 보일까? 말까? 한 작은 레스토랑에서 100불짜리 팬케익을 먹고 있는 이가족은 이렇게 숫자로 평가되고 있었고, 이 아이는 먹던 음식, 팬케이크만 바라보던 나랑은 전혀 다른 세상에 살고 있었다. 추가로 아빠 코트는 바렌티노 브랜드로 10,900불이 정도 될 거란다. 내가 혀를 찼다.
숫자 하면 티파니의 아침이다. 이 티파니의 아침이란 영화는 지금도 듣고 싶은 영화음악으로 아직 일위다. 그 주제 음악이 "강물 위에 달"( Moon River)이다. 한 대목이 "당신이 어딜 가시든, 저도 당신 길을 갈 거예요( Wherever you're goin' I'm , gon' your way) 이런 자본세계가 만든 물질주위를 이유 없이 나쁘다고 비판만 할 수도 없지만 우리도 혹여 그리 쉽게 숫자로 평가될까 봐 은근히 걱정도 된다. 이전에도 미국에서 살면서 음악 콘서트에 가서 우연히 내랑 비숫한 한 친구들 사귀게 되었는데, 근데 유명 음악가들과 유대가 돈독한 이 친구들은 사람을 숫자로만 보는 경향들이 있어서 그런 이들은 조금 멀리 하게 되었다. 이런 사람과 함께 있으면, 내가 쉴 자리가 없다. 어쨌거나 내 딸이 그 숫자만 보고 누굴 쫓아다니며 그 귀한 인생을 허비하지 안 했으면 하는 바람이다. 돈은 있다가 없어지면 없이도 살 수 있다지만, 있던 사랑이 없어지면 숨쉬기가 힘들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