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주영 Jun 25. 2024

고양이

김주영

차로 아이들 학교 데려다주는 길, 마을 길 중앙에 새끼 고양이가 서 있다. 다가가니 옥수수밭 쪽으로 천천히 걸어 들어간다. 정말 어린 아기 새끼 고양이다. 막내는 귀엽다고 연실 말하고 첫째는 엄마가 없나 일찍 독립했다고 한마디 한다. 고양이... 고양이는 늘 우리 곁에 있던 존재였다.

아내와 연애했을 때 아내는 작은 오피스텔에서 고양이 두 마리와 함께 살고 있었다. 검은고양이 나영이와 누런고양이 따꾸, 나영이는 여자, 따꾸는 남자다. 혼자 살면 더 외로웠을 텐데 아내는 이 둘에게 알게 모르게 의지를 많이 했을 것 같다. 지금은 집에서 고양이 키우는 사람들이 많지만 아내가 처음 키웠을 때만 해도 거의 없었던 시기였다고 한다. 둘 다 중성화 수술을 받았고 몸속에 인식칩을 하였고 목걸이를 하고 있었다. 아내와 결혼을 하게 되면서 내가 그들 관계 속으로 들어갔다. 아내는 고양이를 새끼 때부터 키웠다. 짐승이었지만 아내에 의해 잘 길들어져 있었다. 고양이 발톱을 사람이 깎아줄 정도였으니 얼마나 잘 길들어졌는지 알 수 있다. 나는 어렸을 때 개를 키운 적이 있어 개는 익숙했지만 고양이는 낯설었다. 고양이와 함께 지내면서 고양이의 참 매력을 많이 알게 되었다. 누군가 나에게 개 키울래? 고양이 키울래? 묻는다면 단연코 고양이라고 대답할 수 있다. 신혼집에서 키울 때 고양이들은 밤마다 “우다다”라고 이쪽 끝에서 저쪽 끝까지 전속력으로 뛰었다. 가만히 있다가 마치 뭔가 발견했다는 듯한 표정을 하며, “우다다” 내달렸다. 아내가 소파에 누워있을 때면 나영이가 “꾹꾹이”라고 아내의 배를 앞발로 계속 꾹꾹 눌렀다. 그르릉 소리를 내며 침을 흘리며 정신없이 계속 눌렀다. 기분이 좋으면 발톱도 신나게 긁는데 적당한 곳에 스크래쳐를 달아놓았다. 따꾸는 엉덩이와 꼬리 사이를 툭툭툭 세게 치면 더욱 기분이 좋아 벌러덩 드러눕고 사람 손에 머리를 세게 비벼대었다. 캣닢(허브처럼 마른 잎)을 조금씩 주면 좋아했다. 고양이 변기는 화장실에 놓았는데 알아서 볼일을 잘 봤다. 모래 대신 신문지를 찢어 수북하게 만들어주면 흙을 덮는 습관대로 신문지들을 앞발로 툭툭 건드렸다. 택배로 고양이 사료를 주문하고 가끔 통조림도 생기면 줬다. 고양이들은 따뜻한 곳을 어찌나 좋아하는지 고양이가 있는 곳은 확실히 따뜻한 자리이다.

괴산 시골집으로 이사하고도 고양이들을 집 안에서 키웠다. 첫째가 태어날 때도 고양이들은 곁에 있었다. 아이들이 자라면서 마당에서 키우게 되었다. 고양이 털이 아무래도 아기에게는 안 좋을 것 같아서였다. 추운 겨울에는 박스에 방석을 넣어 보온을 해주었다. 둘이 붙어 웅크리고 잠을 잤다. 집에서 키워서 그런지 어디 멀리 가지도 않았다. 동네에 모르는 고양이가 나타나면 서열정리를 잘해 고양이 세계를 정리해 주었다. 고양이 나이로 치면 거의 100살을 살았던 우리 고양이들, 막내가 태어나기 전에 나영이가 먼저 저세상으로 갔다. 막내는 따꾸 등에 올라타기도 하고 안기도 했다. 노쇠한 따꾸도 어느 날 우리 곁을 떠났다. 둘 다 집 뒤꼍에 묻어주었다.

얼마 전 아내와 정원 일을 하고 있었다. 고양이 한 마리가 어슬렁거리면 딱일 그런 순간이었다. 그렇게 고양이는 우리 곁에 늘 있던 존재였다.

작가의 이전글 술과 나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