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규채 Jan 23. 2021

택시업계가 만든 '타다'?
아이엠 택시

서울 택시법인 9개社 와 IT기업 <(주)진모빌리티> 의 만남

'타다'가 사라지고, 택시를 더 안 타게 됐던 나였다.


    카카오 택시는 점점 비싸져 울며 겨자 먹기였고, 매캐한 담배냄새나 시끄럽고 레이싱을 즐기는 난폭운전을 하는 택시는 내가 굳이 돈을 내고 탈 필요가 없다고 생각이 들 정도였다.

(이 부분에 대해서 억울하게 생각하실 택시 기사분들이 많은 것도 알고 있지만, 상기 특징을 가진 택시기사분들을 피해서 사용할 수 없는 유저의 입장에서만 이야기하겠다.)


    그래서 차차, 파파 같은 택시를 대체할만한 많은 서비스들을 이용했었다. 하지만 타다를 처음 이용했을 때만큼이나 만족스러운 서비스를 찾지 못했다.


    그렇게 유야무야 2020년이 지나가고, 오늘은 하필 차도 없이 촬영장으로 가야 하는 스케줄이었다.

그래서 어쩔 수 없이 일반택시를 타려고 빈차를 기다리던 중

'택시인가?' 싶은 카니발이 내 앞에 멈췄다.



"일반 택시 맞나요?"

"네, 기본요금만 700원 비싸요"


    나는 냉큼 올라타 행선지로 이동했다 어디선가 경험해본 적이 있는 익숙한 느낌이었다.

자동으로 열리는 파워도어와 기사분의 젠틀함, 깔끔한 차량 내부, 조용한 운전까지

이것은 내가 찾던 '타다'의 서비스 경험이었다.


    촬영이 끝나고 바로 내가 탔던 택시를 검색했다.

서비스 이름은 (주)진 모빌리언스의 아이엠(i.M) 택시

로고는 옛날 엠넷 로고와 어디선가 본 듯한 i의 조합이 투박하기는 했지만 그게 문제겠는가!

그래서 다시 복귀할 때도 어플을 통해 서비스를 사용해봤다. 


(현재는 서울시 안전 지침 준수 차원에서 한시적으로 앱 호출 지역이 강남구, 서초구, 송파구로 한정되어있지만 목적지는 제한이 없다고 한다)


    첫 번째로 내가 경험했듯이 일반적인 승객 승차도 가능하고, 어플로도 배차가 가능해서 엄마 아빠 세대의 어른들도 사용하기 편하실 것 같다 (물론 700원이 더 비싸다고 하시면 안 타실 수도)


    단 하루만이었지만 첫인상도 깔끔했고, 두 번째 사용경험도 쾌적했다.

충전기나 무료 와이파이는 긴박한 상황일 때 심리적 안정이 되어주지 않을까?

(배터리 데이터 모두 모자라면 불안한 현대인...)


    그리고, 일반적인 택시법인에서 소속 기사들에게 요구했던 사납금이 없는 시스템이 특징인데 기존의 택시기사로 근무하셨던 분들의 고충이 최소한 하나 이상 개선된 구조로 기대된다.

(아! 사측에서 정해놓은 드라이버분들 명칭은 아이엠'지니'라고 한다)


    또한 4대 보험, 고정급여(및 인센티브)가 있다고 하니 기존의 택시기사분들보다 상대적으로 직업적 안정성을 찾는 분들에게도 좋은 근무처가 되어주길 바란다. 그래서인지 홍보영상에서도 전 마을버스 기사분, 전 택배기사분, 전 택시기사 분들이 장점들에 대해 설명해주시는데 (물론, 홍보영상이지만) 아마 유사 업종 근무 경험이 있는 분들의 전향을 사측에서 희망하는지도 모르겠다.





'타다' 이후 우후죽순으로 생긴 이러한 유사 서비스들은 각자의 특징이나 분별성을 가지고 있겠지만

사용하는 유저 입장에서는 큰 차이를 느끼지 못한다. 차의 외관에 붙어있는 서비스 컬러가 다르다는 것뿐


비주얼로도 시각적 차별성을 만들 수도 있고, 탑승했을 때 특별한 편의를 제공해서 차별성을 만들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결국은 눈이 높아진 유저들에 맞춘 지금의 컨디션을 얼마나 꾸준하고 지속적으로 유지하느냐가 남는 서비스와 사라지는 서비스의 차별성이 아닐까 싶다.


그러니 '타다'때처럼 꼭 [택시 vs IT기업]의 구도가 아닌 함께 발전함으로써, 소비자들이 더 나은 서비스를 받고 더 자주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는 교통수단이 되었으면 한다.



    마지막으로 걱정스러운 부분은 "난폭한 운전습관으로 수년 동안 택시를 운전해오신 기사분들이 과연 이러한 서비스로 전향하였을 때 이전 '택시'의 습관을 버리고 오실 수 있을까?"라는 부분이다. 


이 부분은 실효 있는 유저 피드백(일방적이어서 역갑질도 되면 안 되겠지만)과 사측의 현명한 운영을 희망해본다!


작가의 이전글 기기의 목적성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