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최성수 Jan 13. 2024

4,160주

우리나라가 합계 출산율 0.7명의 저출산 국가가 되었다는 뉴스 기사가 무색하게도, 요즈음 내 주변에는 셀 수 없이 많은 아가들이 새로 태어난다. 생각해 보면 몇 해 전 시도 때도 없이 결혼식에 불려 다녔으니, 몇 해가 지나 아이 소식이 우수수 쏟아지는 것은 당연한 수순이기도 하다. 우습게도 4-5년 전쯤에는 쏟아지는 주변의 죽음들 앞에서 삶이라는 건 꽤나 하릴없구나하고 생각하곤 했는데, 지금은 그와 반대로 삶이라는 건 이렇게 별일 아닌 듯 시작되는 거구나 하는 깨달음을 얻는다. 내 존재도 그들의 부모와 별반 다르지 않은 고민과 노력의 결과로 생겨난 거겠지.


삶이라는 게 하릴없고 별 게 아니라고 해서 하루하루의 삶에 대해 무기력함을 느끼는 것은 아니다. 지독한 냄새에도 금세 무뎌지는 코처럼, 삶은 이미 그렇게 주어진 지 수십 년이 지났고 그 사실을 잘 알게 된 지도 수어 년은 되었기에 삶의 별거 없음은 더 이상 내게 큰 고민거리가 아니다. 죽을 게 아니라면 어찌 됐든 한주 한주를 살아가야 하는 게 삶의 주인으로서 내 책무이므로 이왕이면 그 한주 한주를 어떻게 알차게 채워갈지 고민하는 시간이 지속된다.


우리가 태어나기 이전을 기억하지 못하듯, 죽음 이후 또한 기억하지 못할 것이라는 말을 듣고 나니 종교나 사후 세계와 같은 POST-LIFE에는 큰 관심이 사라져 버렸고, 월급쟁이로서의 사회적 성공이 생각보다는 드라마틱한 삶의 변화를 가져오지 못한다는 것을 깨달은 이후로는 회사 생활에도 야심 찬 계획 따위는 사라졌다. 결국 죽음 이후의 원미래에도 사회인으로서의 근미래에도 관심이 사라졌으니, 먼저 보이는 건 지금 당장 보이는 찰나의 기쁨뿐이다. 순간의 기쁨을 택한다고 말은 했지만, 내가 어디 가서 약을 할 것도 아니니 결국 길고 긴 소거법 후에 남는 것들은 사람을 만나는 소셜라이프, 운동, 콘텐츠, 게임, 여행 정도 일 듯하다.


이런저런 계산을 해가며 계획적으로 하루하루의 일정을 잡아나가는 건 아닌데, 결국 지금의 내 일상은 그렇게 소거되고 남은 것들로만 가득 채워져 있다. 한 주에 두어 번 사람들을 만나 술을 마시고, 틈을 내 러닝을 하며, 유튜브를 보다 게임 한판하고 잠드는 일상. 그러다가 몇 달에 한 번쯤은 짬을 내어 해외 찍고 오고. 근 몇 년간의 일상이 큰 틀에서 한 줄로 요약되는 순간이다. 사실 큰 문제의식을 느끼진 않는다. 미래를 소진할 만큼 무모한 일상도 아닐뿐더러 지금 이대로의 삶에서 꽤 많은 행복을 느낀걸.


다만 요즈음은 이 일상이 계속될 수 있을까 하는 의문을 품는다. 시간이 흐르고 나이를 더 먹으면 지금 내가 보내고 있는 이 일상이 자연스레 사라져 버리진 않을까 하는 두려움이 있다. 수많은 친구들은 유부의 세계로 떠나 모임이 점점 뜸해지는 상황이고, 여행은 더 풍족해졌지만, 여행이 주는 감흥은 점차 줄어들고 있다. 더더욱 나이가 들면 운동도 게임도 지금처럼 즐기기 힘든 상황이 다가올 수도 있다. 한편으로는 내 시대에는 또 다른 모습의 중년의 삶이 있지 않을까 하고 희망하기도 하지만, 지나친 기대일 듯 해 마음을 내려놓는다.


그래서일까? 또 다른 삶에 대한 고민이 깊어진다. 아마도 가장 유력한 답안지는 누군가를 만나 가정을 만들고 아이와 함께 그 안에서 늙어가는 일일듯하다. 수많은 사람이 긴 소거 과정 끝에 그 답에 다다랐듯 나도 결국은 돌고 돌아 같은 답에 도달하지는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한다. 어릴 적 나이에 구애받지 않고 뻔하지 않게 사는 게 삶의 큰 목표였었는데, 우습게도 나도 뻔하게 변해가는 모습을 보니 내심 분한 마음도 있다. 그렇지만 뻔하면 어떠한가. 어차피 우리는 저어기 우주 한구석 덩어리에 붙어있는 뻔한 먼지인 것을 알게 되었는데.

작가의 이전글 Downsizing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