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열정대마왕 Aug 06. 2020

부동산정책이 아니라 거주정책ing

부동산은 부채다.

  부동산 정책은 잘 모르지만, 5000조가 넘은 한국의 부동산 자산에서 세금환수를 해야한다고 생각한다. 한국의 가계자산의 80%가 부동산인것을 적용하면, 시중자금의 80%인 5000조가 부동산에 묶여있고, 20%인 1200조만이 실제 유통되고 20%의 유통자금에서만 세금이 원활하게 걷히고 있다고 볼 수 있지 않을까?


  코로나19로 그동안 시도하기 힘들었던 준 기본소득인 재난지원금이 지난 5월 전국민에게 지급되었다. 지속가능한 재난지원금, 그리고 재난지원금 히우 기본소득으로 넘어가기 위해서는 세수가 필요하고, 그 세수는 부동산에 발이 묶여있는 시중자금 80%인 5000조에서 점점 더 적극적인 세수확보를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기본소득을 해야하는 이유는? 단순히 돈을 주자는 것이 아니다. 복지가 아니다. 기본소득은 경제정책이다. 4차산업과 디지털산업이 미래의 산업으로 일컬어 지는 것은 누구나 반론할 수 없는 이야기 일 것이다. 하지만, 이 4차산업과 디지털산업은 고부가가치 기술과 AI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뭐, 암튼 정확하진 않지만, 어째든 효율성이 너무 좋다. 예전에 10명이 하던 일을 1명도 아닌 그냥 AI가 할 수도 있다.


  이로인해서 발생되는 문제는 기존 산업기반이 붕괴된다는 것이다. 사람들의 소득이 줄어들게되어 자연히 소비가 줄어들면, 소비에 의한 실물 공장들의 가동이 멈추면 다시 일자리가 줄어들고 사람들의 소득이 다시 줄어들게 되는 악순환의 반복이 돌아간다.


  이 급작스런 변화를 완충하여, 기존 산업 생산 시설들이 변화할 수 있는 시간을 벌고자 하는것이 기본소득이 해야 하는 역할이다. 그러면서, 온난화와 기후환경을 위한 소비패턴으로 변화해 나가야 된다고 생각하다.


  해야하는 게 너무 많다. 근데 개인적, 국가적, 인류적으로 엮여 있는데...흠. 긍정적인 미래영화처럼 인류가 살아남을 수 있을까? ㅎㅎㅎ


2020년 8월 6일

청년 국회의원 장경태의 피끓는 팩폭성토 "35억 아파트, 재산세 900만원이 민심 끓어오르는거냐"


2020년 8월 20일 | 부동산 정책이 아니라, 거주정책이다.

  그들이 이야기 하는 국민은 누구인가? 전국민의 50%이상이 임차인이다.

10억 이상 아파트 가지고 있지 않으면 걱정하지마라
5년간 보유세 2,549만원 내는 동안 아파트시세는 7억 오름...보유세 걱정은 집어치워라.
상위 10%가 토지의 91.4% 소유 - 보유세는 상위 10%가 내는 세금

  부동산 정책은 부동산을 자산으로 보고, 자산의 가치를 이야기할 때나 해야하는데. 지금 우리가 해야하는 것은거주정책이다.

연세대학교 정경대학원 한문도 교수님


부동산에 대한 조세를 어떻게 부과할 것이냐에 대해 고민하는 이재명 아쩌씨
매거진의 이전글 기후변화ing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