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야물딱진 박똥글 Dec 10. 2021

내가 이다지도 수동적인 사람이었다니

더 가치 있는 삶을 위한 퇴사 그 후의 행보

 1. 퇴사를 한 지 한 달이 지났다.

 퇴사 후 자가격리보다 더 격렬하게 집 밖(더 정확히는 침대 밖)을 벗어나지 않고 하루 종일 책 읽다가 자다가 뒹굴 거렸다.

 퇴사 전 세워 두었던 계획은 아주 완벽했다.

첫 번째는 블로그 방향성을 정해두고 매일 글을 발행해서 1차 브랜딩을 다져놓는 것이었다.

두 번째는 그 당시 유행이었던 스마트 스토어 위탁판매를 시작해 보는 것이었다.

 무엇을 해야 할 지도 명확했다. 꾸준히 글을 올리고 키워드를 찾아 상품을 올리는 것이었다. 하지만 난 일단 ‘시작 전 먼저 공부를 하는 거야’하고 누워서 책이나 유튜브를 보는 등 가장 소극적인 노력만을 기울일 뿐이었다.

 많은 사람들이 무언가를 할 때 먼저 공부부터 시작한다고 한다. 그게 가장 쉬운 노력의 방법이기 때문이다. 공부도 중요하지만 실행하지 않으면 아무것도 아니다. 고민은 3일이면 충분했다. 하지만 난 거의 2~3주를 그렇게 허비하고 있었다.


2. 이다지도 수동적인 사람이었다니.

 회사 생활을 하면서 틀에 박힌 반복적인 일을 해야 한다는 것과 누군가에 의해해야 하는 일이 싫었다.  조직생활이 힘들었고 수직관계가 너무 불편했다. 그래서 늘 생각했다. 내가 하고 싶고 좋아하는 일을 하는 주체적인 삶을 살고 싶어!

 하지만 실제로 시간도 주어지고 모든 것을 다 내가 계획하고 실현해야 하는 상황이 오니깐 깨달았다. 나 진짜 수동적인 인간이었구나..

  시간을 쓰는 것도, 일을 하는 것도 강제성이 없어지니 스트레스를 이겨낼 동기가 없었다. 그래서 가장 쉬운 것만 찾는 것이었다. 그렇게 게으르게 공부만 한 달 내내 했다.


3. 작은 강제성이라도 있어야 움직인다.

 결국 생활 패턴도 망가져 버렸다. 안 되겠다 싶어 일찍 일어날 요량으로 오전 알바를 구했다. 어찌 되었든 강제성이 부여되어야만 했다. 그렇게라도 움직이니 조금은 생각이 돌아가는 것 같았다. 왜 침대 속에선 아무 생각이 없다가 남의 일 해줄 때만 머리가 돌아가는지,, 참 수동적인 인간이 맞다. 그래도 누군가 태엽을 한 바퀴만 돌려도 오랫동안 연주되는 오르골처럼 작은 강제성으로도 효과는 컸다. 그렇게 오전에 알바를 하고 바로 카페에 가서 일을 했다. 그때 처음 시작한 일이 바로 스마트 스토어 셀러였다.




매거진의 이전글 퇴사 시그널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