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모시나비 Mar 19. 2020

몬트리올의 겨울, 낭만적 ep.11

영혼을 달래줄  까페를 찾아서 

커피 없는 삶이란... 점박이 없는 무당벌레 같달까?


빡빡하게 올린 우유 거품 아래 쓴맛과 단맛, 신맛이 4:3:3으로 어우러진 진한 커피를 만나면 영혼이 위로받는 느낌이다. 채식을 지향하기로 마음먹은 이후에 두유 거품에 적응하는 중이지만 여전히 'a cup of capuccino'는 소확행 거리로 일 순위에 오른다. 


몬트리올에서도 커피 사랑은 계속된다. 일주일 100불(약 9만 원)로 하루 두 끼와 교통비, 통신비까지 해결하려면 어떤 때는 3~4불 하는 커피 한 잔도 사치처럼 느껴지곤 한다. 그러니 더더욱 신중하게 까페를 골라야 한다. 


내가 까페를 고르는 기준은 이렇다. 


1. 두 말하면 잔소리, 일단 커피가 맛있어야 한다. 

2. 바리스타의 자부심이 느껴져야 한다. 자부심은 곧 자신감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으니까.

3. 까페 분위기가 군더더기 없이 깔끔하고 인테리어에 일관성이 있어야 한다. 

4. 곁들여 먹을 간단한 베이커리 종류나 수프를 갖추었다면 금상첨화 

5. 손님에게 눈치를 주지 말아야 한다. 기본 2~3시간은 맘 편하게 작업해야 하므로. 


유럽 분위기가 진하게 풍기는 몬트리올에는 자연스럽게 프랑스의 냄새가 비어져 나온다. 퀘베꾸아를 구사하는 주인장도 있지만 정통 불어로 손님을 맞이하는 바리스타들도 적잖이 많다. 흡사에 빠리에 온 느낌이랄까? 차이점이 있다면 빠리의 까페보다 훨씬 나이스 하다.   


한 달 반 남짓 지내면서 다녀본 까페들 중에 Top 3을 꼽아보자면 이렇다. 


1. Cafe Xavier

매일 다니는 어학원 1층에 자리하고 있다. 텀블러를 가져가면 소이라떼를 주문하면 기쁜 표정으로 아구까지 꽉 채워준다. 지난번에는 백발이 성성한 중년의 사장님이 직접 커피를 내린 후  'I like it' 그러면서 텀블러를 건네주었다. 얼마 전에 금발에 파란 눈의 젊은 청년이 새로 왔는데 귀여운 미소를 장착하고 주문받을 때마다 발사해서 엔돌핀 수치를 올려준다. 커피도 꽤 수준이 높지만, 아무래도 Cafe Xavier의 메인 메뉴는 수프다. 매일 바뀌는 수프는 주로 두 종류다. 채소 수프와 고기 수프. 

당근, 토마토, 호박, 심지어 대파까지. 각종 수프를 동원해 진득하고 영양가 높은 수프를 만들어 낸다. 채소에 보리나 퀴노아 등 곡물을 넣어 한 대접 뜨근하게 먹으면 속이 든든하다.  


2. Kouing-Amann 

서점과 빈티지샵, 벽화가 어우러져  한껏 예술적인 분위기를 자아내는 몽후아얄 거리에 위치해 있다. <Le Port de Tete(머리의 항구?)> 서점으로 올라가다 보면 왼쪽에 보일 듯 말 듯, 문이 약간 안으로 들어가 있어 지나치기 쉽다. 한인식당에 김치찌개 먹으러 갔다가 내려오는 길에 우연히 발견하고는, 창문 너머 크루아상과 키슈의 화려한 자태에 현혹되어 들어갔더랬다. 

베이커리가 중심이라 테이블이 불과 세 개 밖에 없다. 4인용, 2인용, 2인용. 운 좋게도 창가 쪽 2인석에 앉았던 할머니가 일어서는 바람에 자리를 잡고 앉았다. 다음 날 먹을 오리지널 크루아상 2개, 키슈 하나, 그리고 카페에서 책 보며 마실 라떼 작은 걸로 한잔. 메뉴판에 카푸치노가 없길래 라떼로 대신 주문. 이렇게 네 가지에 고작 9.3불(약 8,300원). 은혜로운 가격이었다.  

제빵사용 흰 가운에 흰 모자를 쓴 초로의 할아버지가 어찌나 친절하던지. 한쪽 눈을 살짝 찡긋하며 귀엽게 주문을 받는 바람에 기분이가 1.2배 좋아졌다.  


3. Larue & fils 

Jarry역 근처, 유기농샵 <LOCO> 맞은편이 자리 잡고 있다.  까페 오른쪽 넓은 자리에도, 창가에도 긴 탁자를 놓아 혼자 와서 작업하거나 책 읽는 사람들에게 적합하다. 헤드폰을 끼고 노트북을 뚫어져라 쳐다보며 작업하는 사람들이 여기저기 포진해 있어, '음, 작업용 카페군' 쉽게 짐작한다. 

모던한 분위기에 주인장으로 보이는 아저씨는 서부 영화에 나올 것 같은 터프한 비주얼에 적당히 친절하다. 'You deserve my coffee'라고 쓰인 티셔츠라도 입은 듯, 자신감이 뿜뿜 뿜어져 나온다. 역시나 카푸치노가 실망 없는 맛이다. 

간단한 파이와 쿠키도 구비하고 있어 허기를 달래며 공부하거나 일할 수 있다. 


한국에서도 이름 난 프랜차이즈 까페는 가급적 피하는 편이다. 주인장이 오너십과 애정을 가지고 한잔 한잔 정성을 쏟는 까페를 일부러 찾아다닌다. 직접 로스팅한 원두에 빡빡하게 거품을 올린 카푸치노를 마시면 별일 없이 행복감이 올라가니까. 


* 몬트리올은 코로나가 이제 시작이다. 이번 주부터  모든 학교가 3월 말까지 2주간 휴교에 들어갔다. 내가 다니는 어학원도 예외 없이 그 기간 동안 쉰다. 에효 ㅜ 까페 탐방도 잠시 접어야 한다.  4월에 더 심도 있게 진행하는 걸로. 


까페 자비에의 베이커리 컬렉션. 아침마다 키친에서 바로 구워 대령한다. 

영혼을 적셔줄 의문의 대파 수프. 초록색 괴물체 같지만 꿀맛이다. 그릴드치즈 샌드위치랑 먹으면 머리 속까지 든든해지는 느낌. 

몽후아얄 거리의 베이커리-까페 Kouing-Amann. 몇 가지 안 되는 빵이지만 모두 다 군침 돌게 맛나 보인다.  

잡기 힘든 창가 자리. 벽돌벽과 파란색 낡은 의자가 찰떡 같이 어울린다.  

크루와상 몇 종류, 키슈 몇 가지가 끝. 자신 있는 빵만 구워낸다는 소리렸다.  

Jarry역 근처의 쿨한 카페 Larue &fils(직역하면 '그 거리와 아들'). 주인장의 성이 '그 거리'인가 보다. 

 

아키 시마자키의 책 다섯 권째, <Tsubame(일본어로 '제비'라는 뜻)>. 문장이 짧고 단단하다. 이야기는 묘하게도 대하소설+아침드라마. 




작가의 이전글 몬트리올의 겨울, 낭만적 ep.10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