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석우 Sep 03. 2017

19살의 가해자 (1)

새는 알을 깨고 나온다

여전히 페미니즘이라는 간판을 붙이고 말하기엔 내게 깡이 없다. 스스로를 페미니스트로 정체화하여 내 삶의 근간을 흔드는 것도 두렵다. 내가 살아온 방식과 말해온 언어를 바꿔야 하는 것을 안다. 여전히 누군가에게 '나는 페미니스트야'라는 말을 하려 할 때마다 머리와 언어의 거리를 통감한다. 하지만, 스스로를 페미니스트라 말하기 위해 노력하지도 않았다.


이젠 말해보려 한다.

섣부르게 말하는 것을 넘어 글로서 이야기해보려 하는 것은 그래서다.


나는 페미니스트가 되어야 하니까




첫번째 이야기 : 운이 좋았던 시작


여성혐오의 '여' 자도 모르는 상태로 강남역 살인사건을 여성혐오 사건으로 정의하는 것에 대해 상당한 불만을 토로하고 다니던 나였다. 하지만 말 다행히도 나는 이 입시민국에서 학업이라는 것 자체를 머릿속에서 완전히 삭제한 18살이었고 공부가 하기 싫어 어떻게든 다른 일들을 찾으려 했다. 마을 공유지 파지사유에서 진행된 페미니즘 캠프 '아웃사이다'에 참여하게 된 것도 그 몸부림 중 하나였다. 그리고 이 우연이 내 고등학교 인생의 전환점이 된 건 당시의 나조차 알 수 없었던 것이었다.


메갈이라면 치를 떠는 남성들이 주장한다. '착한 언어의 페미니즘'이 필요하다고. 그리고 난 그 '착한 언어의 페미니즘'을 경험한 사람이었다.


페미니즘 세미나 아웃사이다는 발제자들이 가져온 다양한 사례를 중심으로 여성혐오를 이해하고 그와 관련된 스스로의 경험을 이야기하는 공간이었다. 다양한 이야기들을 나눴고 나 또한 그 공간에서 대화하려 노력했다. 물론 거부감도 있었다. 친구들과 히죽거리던 주제부터 일상 그 자체가 되어버린 단어까지 내 삶이 곧 여성혐오였다는 것을 인정하기는 쉽지 않았다. 퀴어에 대한 이야기도 낯설었다. "너 게이냐??"라는 물음이 하나의 유희였기에 그 유희를 포기하는 것도, 또 그것이 누군가를 상처 준다는 것을 깨닫고 싶지 않았다.


여성혐오를 배우는 것은 새로웠다. 몰랐던 것을 안다는 희열과 함께 '선각자'로서 페미니즘을 내세울 수 있다는 것 또한 말하는 걸 좋아하는 내게 꽤 매력적이었다.


누군가에게 십 수년간 폭력을 휘두르던 사람이 있었다. 설렁 그 사람이 법을 공부한다 한들, 그의 죄는 사라지지 않는다. 그렇게 나는 페미니즘이라는 법 속에 숨어 스스로의 폭력을 숨기려 했다.


가해자였던 날, 인정할 수 없었다.


마음이 아닌 머리로서 이해한 페미니즘을 전부라고 믿었다. 물론 그것이 흔들리기 전까지 그리 오랜 시간이 걸리지는 않았다.


(계속)

'페미니즘'이라는 민감한 주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부적절한 부분이 있거나 궁금한 점이 있으시다면 댓글로 알려주세요 :)

매거진의 이전글 누군가 내게 대학을 물었다 (3)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