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보고싶다 똥깡아지들

엄마의가출일기


음악의 도시답게 여기저기서 익숙한 리듬이 들려오고, 지나가던 이들의 발걸음을 멈추게 한다. 고개를 까딱거리거나 손으로 함께 리듬을 타며 분위기를 즐기는 이들이 많다. 그 중에는 신나는 연주가들 앞에 더 흥이 난 꼬마 아가씨도 있다. 그 아이를 보고 있자니 음악만 나오면 비트에 몸을 싣는 내딸가빈이가 생각난다. 우리 딸은 별명이 참 많다. 캐릭터가 다양한 친구인데, 남들이 보기에 재미있고 사랑스러운면이 많은 만큼 키우는 엄마는 허허허 헛웃음이 나오며 힘이드는 것도 사실이다. 


딸 아이의 첫번째 별명은 ‘브로콜리 가빈’이다. 두돌이 다 되어 갈 즈음 창원 막내 고모와 뽀글뽀글 파마머리를 한 이후에 얻은 닉네임이다. 어린 아이에게 무슨 ‘빠마’냐 싶지만, 머리에 착 달라붙는 생머리로는 영~ 스타일이 살지 않아서 파격적인 선택을 했다. 사실 아이 아빠는 싱글시절 본인이 미래에 딸을 낳으면 ‘상두야 학교 가자’ 드라마 주인공 차상두의 딸, 차보리 머리를 꼭 해주고 싶었단다. 그래서 돌이 갓 지났을 때부터 미용실에 데리고가자 노래를 불렀다. 나도 더 이상은 그녀의 촌쓰러운 스타일이 감당이 안 되어 변신을 시켜주기로 결심했다. 졸지에 서울 아이 가빈이는 경남 창원 스타일의 빠마머리를 하게 되었다. 고모 손을 잡고 머리를 하러 갔다 3시간 뒤쯤 돌아 온 딸의 모습은 배꼽 빠지게 큰 웃음을 안겨주었다. 동네 아주머니 할머니들 10명 중 8명은 하고 있다는 그 머리였다. 그 날 이후로 딸의 별명은 브로콜리가 되었고, 별명을 유지하기 위해 할머니 제사가 돌아오면 고모와 머리하러 가는 것이 관례가 되었다. 




그녀의 또 다른 별명은 ‘흥부자 까비니’이다. 누구나 자기 자식이 하는 행동은 다 특별하고, 이 세상의 유일무이한 존재인 것 같다고 느낀다. 두돌 전의 아이 엄마들은 자기 자식이 천재인 것은 아닌지 한번쯤은 의심을 하기도 한다. 나도 그랬다. 돌도 안 된 아이가 어쩜 이렇게 비트를 잘 타는지, 예술과는 1도 상관없는 우리 부부 사이에서 보아를 뛰어넘는 천재 아티스트가 태어난 줄 알았다. 아기상어는 물론이고, 지나가는 길 핸드폰 대리점 앞에서 신나게 흘러나오는 가요에도 반응했다. 최고 젊은이 답게 굽혔다 폈다 무릎은 격한 바운스를 타 댔고, 두손을 짝짝 맞추는 손뼉의 리듬은 찰지게 맞았다. 고개를 까 딱 까딱하는 그녀의 제스쳐는 GD 저리가라했다. 


이 세상 엄마와 다를바 없는 나도 딸아이의 흥을 찍어대느라 바빴고, 인스타에 올려 팔로워들의 반응을 살피는 쏠쏠한 재미를 느꼈다. 그녀를 한번 만나본 사람들은 그 흥에 다들 놀랬다. 그 덕에 우리 회사 송년회 행사의 댄스 퀴즈 문제에 섭외 되기도 했다. 아기상어 노래를 배경으로 춤추는 모습을 보고 곡명을 맞추는 것인데, ‘쏘리쏘리’와 ‘노바디’의 포인트 안무를 해내는 딸의 모습을 영상으로 담아야 했다. 나는 그 순간 을 포착하기 위해 1시간 동안 딸 앞에서 춤을 췄는데, 졸지에 엄마가 재롱잔치를 한 셈이다. 우여곡절 끝에 촬영을 끝냈고, 행사 당일 현장 반응은 (내가 생각했을 때) 뜨거웠다. ‘지식의 저주’처럼 알고 보면 쉽지만, 전혀 어떤 노래인지 모르고 보면 맞추기 어려울 것 같았는데 한번에 맞춘 것이 그저 신기했다. 


나중에 크면 아이돌이나 시켜야지 했던 딸아이의 춤실력은 두 돌에서 끝이 났다. 4살이 된 그녀의 댄스는 익살스럽다 못해 못춘다. 저스트, 흥만 실려있다. 그래, 추는 사람이 신나면 됐 지싶지만 미래의 보아를 꿈꾼 엄마는 힘이 살짝 빠졌다. 될 성 부른 나무는 떡잎부터 다르다고 하지 않는가, 영재발굴단 초등 댄스 신동편을 보고 그 꿈을 확실히 접기로 했다. 1살 동생 앞에서 누나처럼 발레를 해 보라며 ‘나나~~나나나~~~’ 입으로 소리를 내며 손짓발짓 하는 그녀의 모습은, 발레리나가 아니라 태권소녀였다. 매일 밤 동화책을 읽고 난 뒤 동화와 관련된 노래를 듣고 있는데, 그 노래에 맞춰 표현하는 춤도 미안하지만 웃음이 먼저 나온다. 아이돌하기는 그른 것 같고, 가사에 대한 표현력은 훌륭한 것 같으니 배우가 차라리 낫겠다. 


그리고 대표 별명이 또 하나 더 있다. ‘입큰 가빈이’. 엄마를 빼닮아 큼직큼직하게 생긴 딸은 그 중에서도 입이 제일 크다. 사진첩을 들여다 보고 있으면, 열에 아홉은 턱이 빠질 정도로 크게 벌리고 있다. 그 덕에 또래에 비해 음식을 잘게 자르지 않아도 한 입에 다 먹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반면에 울때는 서너배는 더 시끄럽다. 온 힘을 모아 입을 크게 벌리고 목 놓아 우는데, 비주얼 때문에 소리가 더 크게 느껴진다. 가능한 울리지 않는게 상책이다. 


캐릭터를 확실하게 굳힌 딸과는 달리, 이제 고작 세상 빛을 본 지 3개월 된 아들은 개성을 찾아가고 있는 중이다. 중력을 무 시한채 축 처진 두눈은 보호본능을 자극한다. 누나가 아무리 밟고 꼬집어도 울지 않고 그윽하게 바라보는 눈빛은 동정심을 유발하기 딱 좋다. 장담하건대, 나중에 여자들의 마음을 꽤나 애닳게 만들 것 같다. 쓰고보니 너무 사심가득한 발언 같다.


아무튼 그 눈빛 덕에 아들의 첫번째 별명은 ‘아련건우’이다. 비슷한 시기에 둘째 아들을 낳은 친구 준영이가 집에 놀러와 건우를 보고 ‘왜 이렇게 아련터지냐’에서 나온 별명이다. 건우의 또 다른 이름은 ‘순딩이’이다. 엄마들 사이에서는 금지어이 기도 한데, ‘순딩이’라고 말하는 순간 아이들이 돌변하기 때문이다. 어찌됐건 아직까지는 순한 아기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신생아때부터 백일이 다 된 지금까지 눈 뜬 시간보다는 눈 감은 시간이 많으며, 분유만 먹고 나면 있는 듯 없는 듯 한 존 재이다. 매주 목요일마다 신기한 한글나라 선생님이 오셔서 딸과 이삼십분 정도 수업을 해주고 계신데, 가실 때마다 이 집에 아기가 있는지 없는지 모르겠다며 거저 키운다 하신다. 이대로 만 자라다오, 건우야! 


그나저나 떨어진지 얼마나 됐다고 똥깡아지들이 보고 싶은 걸까. 볼에 뽀뽀를 마구마구 해대고 싶다. 물론 집으로 돌아가 육아 전쟁터에 다시 뛰어들게 되면 당장 집 밖으로 나가 혼자 있고 싶다 소리칠 테지만 말이다. 



왜때문에 아빠는 바이올린을 올려두었을까?




6살이 된 가빈이는 엄마 머리 위에서 조근조근 할 말을 다 하는 멋진 누나가 되었고

3살이 된 건우는 아련건우, 순딩이 별명 따위는 모두 던지고 자기가 카봇인줄 알고, 안 되는 행동인 줄 알면서 끝까지 일을 저질러 놓고 '휙~' 던져버리고 도망가기 선수인 개구장이가 되었다. 그래도 여전히 눈이 쳐져서 여심을 자극하기는 한다. 

매거진의 이전글 프라하의 밤하늘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