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기구쟁이 초보를 위한 기구설계 꿀팁

12. IP 등급(방진, 방수)

요즘 스마트기기는 기본 방수등급이 높아졌습니다. 이 정도 물은 걱정 없죠.

 지금까지는 어떻게 부품을 만들까? 에 대해서 고민해 보았습니다. 그런데 이 부품들이 결국에는 하나의 제품으로 완성이 돼서 원하는 기능을 구현해야 의미가 있는데요. 기구적인 입장에서 보았을 때에는 아래와 같은 과제들이 남았습니다.


방진, 방수

내진동, 내충격


이번에는 우선 방진, 방수 등급에 대해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요즘 스마트기기는 기본 방수방진 등급이 많이 높아졌습니다.

 요즘 스마트기기나 액션캠을 보면 IP67이다 IP68이다 하면서 '저희 제품은 물속에 넣어도 잘 작동합니다. 안심하고 수영도 하세요!'라는 식의 광고를 보셨을 겁니다. 이때 IPXX라고 표시하는 것이 방진, 방수 등급을 의미하는데요. 영어 알파벳 IP 다음에 나오는 첫 번째 숫자가 방진등급을, 두 번째 숫자가 방수등급을 의미합니다. 

 이 IP등급은 국제보호등급(International Protection Marking)으로 전자제품의 외관이 외부의 먼지나 수분을 얼마나 잘 막아주는지 등급을 나눈 것입니다. IP등급은 전자제품의 제품인증 중 Safety 항목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규격(IEC 60529)에서 정해놓은 조건과 장비로 테스트를 진행하게 됩니다.


각 등급의 의미는 아래와 같습니다.


방진

0등급: 보호 없음

1등급: 손으로부터 보호

2등급: 손가락으로부터 보호

3등급: 공구의 선단 등으로부터 보호

4등급: wire 등으로부터 보호

5등급: 분진으로부터 보호

6등급: 분진으로부터 완벽히 보호


방수

0등급: 보호 없음

1등급: 낙수에 대한 보호

2등급: 낙수에 대한 보호

3등급: 비가 오는 환경에 대한 보호

4등급: 물튀김에 대한 보호

5등급: 소나기에 대한 보호

6등급: 폭풍우나 해일에 대한 보호

7등급: 일시적인 침수에 대한 보호

8등급: 연속 침수에 대한 보호


그리고 각 등급의 상세한 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


방진등급(왼쪽)과 방수등급(오른쪽). 판정기준은 시험소 환경에 따라 약간 다를 수 있습니다.

 

 보통은 IP00, IP12, IP5, IP54, IP55, IP66, IP67, IP68 등 주로 사용되는 조합으로 인증을 받습니다. 방수방진은 Safety 인증 절차에서 필수는 아니며 제조사에서 등급을 선택하여 진행하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방수만 인증받는 경우도 있습니다. 예를 들면 IPX3으로 표기된 제품이 있다면 해당 제품은 방수등급만 3등급을 인증받았다는 의미입니다. 방수등급은 보통 4등급 이상이 생활방수, 7등급 이상은 완전방수로 봅니다.

작가의 이전글 기구쟁이 초보를 위한 기구설계 꿀팁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