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David Yoon Sep 30. 2016

명문 "금수저" 집안.


좋은 가문을 명문이라고 하 듯이, 좋은 부자를 명부(名富)라고 한다. 이 세대에 우리는 이러한 명부 하면 누가 생각이 됩니까? 빌 게이츠와 같은 인물일까요? 우리에게도 자랑스러운 명부(名富)는 조선 시대에 있었다. 한국의 5백 년 내력의 명문가의 이야기에 대해 책을 쓴 조 용헌 교수의 연구에 의하면 그 집이 바로 경주에 있는 최(崔) 부잣집이다. 요샛말로 하면 금수저 집안이다. 


최 부잣집 은 아홉 대 동안 진사를 지내고 십이 대 동안 만석을 한 집안으로서 조선 팔도에 널리 알려진 집이었다. 만석꾼이야 찾아보면 많지만 십이 대를 연이어 만석을 한 집안은 아마도 조선 팔도에 이 집뿐일 것이다. 삼대도 어려운데 어떻게 십이 대를 이어갔단 말인가? 그럴 수 있게 하였던 경륜과 철학이 반드시 있었을 텐데 그것이 과연 무엇인가? 명문이 될 수 있었던 철학과 가훈이 내려왔고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원칙이 있었다.

 
첫째, “진사(進士) 이상은 하지 마라.”라는 원칙이다. 한마디로 정쟁(政爭)에 휘말리지 않기 위해서 이다. 조선 시대 진사라는 신분은 초시(初試) 합격자를 가리키는데, 진사라고 하는 것은 벼슬이라기보다는 양반 신분을 유지하기 위한 최소 한도의 자격 요건에 해당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최 씨 집안은 진사를 넘어서는 벼슬은 문제가 있다고 보았다. 조선 시대는 당쟁이 심한 사회였으므로 벼슬이 높아질수록 자의 반 타의 반으로 당쟁에 휩쓸리기 쉬웠다. 요즈음 같이 돈과 권력을 다 거머쥐길 원하는 사람들은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한자리할 기회가 있다면 얼씨구나 좋다 하면서 우선 당장 하고 보는 것이 대부분인데, 이 집안은 그렇게 하지 않았다. 권력의 종착역이 과연 어디까지인가를 끝까지 꿰뚫어 본 데서 나온 지혜로움을 볼 수 있다.


둘째, “만석 이상을 모으지 마라.”라는 원칙이다. 만석은 쌀 1만 가마니에 해당하는 재산인데, 이 이상은 더 재산을 늘리지 말라는 이야기이다. 돈이라는 것은 가속도가 붙는 성질이 있다. 처음 어느 궤도에 오르기까지가 어렵지 그 궤도를 넘어서는 재산을 모으면 그다음부터는 돈이 돈을 벌어들이는 상황에 돌입한다. 그런데 최 부잣집은 만석 이상 불가의 원칙을 따라 그 이상의 재산을 사회에 환원하였다. 환원 방식은 소작료를 낮추는 방법이었다. 그러니 주변 소작인들은 앞을 다투어 최 부잣집의 논이 늘어나기를 원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었다. “저 사람이 죽어야 내가 사는 것이 아니라”, “저 사람이 살아야 내가 산다”는 상생(相生)과 공생의 원리를 생각핟게 한다. 오늘날 우리가 사는 사회에도 이런 부의 미덕이 있다면 얼마나 살 맛이 나겠는가?


셋째, “흉년에는 논을 사지 마라.”라는 원칙이다. 조선 시대의 경우 흉년이 들어서 아사 직전의 상황에 직면하던 때에는 쌀 한말에 논 한 마지기를 헐값에 넘기기도 하였다. 우선 당장 먹어야 목숨을 부지할 수 있으니까 논 값을 제대로 따질 겨를이 있을 수 없기에, 쌀을 많이 가지고 있었던 부자는 바로 이러한 기아 상태의 흉년이야말로 없는 사람들의 논을 헐값으로 사들여서 재산을 늘릴 수 있는 절호의 기회였다. 네가 죽어야 내가 산다는 상극(相剋)의 방정식인 게다. 그러나 최 부자는 이러한 상극의 방정식을 금했다. 이는 양반이 할 처신이 아니요, 가진 사람이 해서는 안될 행동으로 보았던 것이다. 이것은 신사도(gentlemen ship)이며, 스포츠에서 넘어진 선수에게 공격을 하기보다는 일으켜 세워주는 페어플레이 정신이다.


넷째, 과객(過客)을 후하게 대접하라. 과객은 길 가던 손님을 말한다. 최 부잣집의 일 년 소작 수입이 쌀 삼천 석 정도였는데, 이 가운데 일천 석은 가게용으로 쓰고, 일천 석은 과객 접대하는 데 사용하였고, 나머지 일천 석은 주변 지역의 어려운 사람들을 도와주는데 썼다고 한다. 일 년에 일천 석이면 당시의 경제 규모로 환산해 보면 엄청난 액수가 아닐 수 없다. 최 부잣집에 과객이 많이 머무를 때는 그 숫자가 백여 명이 넘을 정도였다고 한다. 그 이상을 넘어설 때는 최 부잣집 주변에 살고 있던 초가(노비들이 사는 집)로 과객들을 분산 수용하였는데. 이때 과객들을 접대하는 대가로 최 부잣집 주변에 사는 노비들은 소작료를 면제받았다고 한다. 
이처럼 우리 사회에도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실천한 증인들이 많이 있다. 최 부잣집은 그러한 명문가 중의 하나로서 돈이 있으되 사람들에게 존경받고, 여유는 있으되 그러한 여유를 남에게 나눌 줄도 아는 마음이 있기에 진정한 명문가로 인정받는 것이다. 여러분께서도 부자가 되십시오, 그리고 최 부자와 같은 존경받는 인물이 되십시오.    <여러분이 부자가 될 때까지..>

글쓴이; 윤덕규

매거진의 이전글 돈맹에게는 미래가 없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