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청운양반 Jan 18. 2018

현금대국 일본

한국 비현금결제 비율 세계 최고

[NHK NEWS WEB의 기사를 옮깁니다.]



캐쉬리스

현금대국 일본은 어디까지 왔나?


최근에 많이 듣는 "캐쉬리스".


신용카드, 체크카드, 전자머니 등 현금을 가지고 있지 않아도 물건을 살수 있는 여러가지 지급 방법이 등장하고 있다. NTT도코모는 스마트폰에 QR코드를 표시하여 구매가 가능한 서비스를 시작한다.

그런데, 이러한 캐쉬리스 일본은 어디까지 왔는가?


캐쉬리스는 여러가지 지급밥벙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지만, 내가 사용하는 것은 

전차를 탈때 사용하는 카드 정도인듯 해.












정말 그럴지도 몰라 인터넷 구매 결제는 신용카드 아니야? 편의점에서는?

그래도 확실히 일본은 캐쉬리스화가 진행되고 있지는 않은 듯.

세계각구의 '비현금결제거래'..요컨대 현금결제가 아닌 카드나 전자머니로 결제를 

하는 개인의 소비액 중에 어느정도 비율인지 조사한 데이타가

있지만 그것을 보아도 일본은 이미 늦은 듯 해.

일본은 세계유수의 [현근대국]이라고 하는 사람도 있다는 군.




왜?














스위스에 세계의 현금 흐름에 대한 데이타를 풍부하게 가지고 있는  BIS(국제결제은행)

이라는 조직이 있어. 23개국/지역의 실태를 모은 2016년 통계를 본다면,

일본의 현재를 잘 알 수 있어.

먼저 이런 나라들에서 지폐나 주화가 어느 정도 유통 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통계.

그 나라의 경제 규모=GDP의 몇 % 정도 현금으로 거래되는지를 보여주고,

일본은 19.96%로 단연 선두. 이웃은 한국은 5.94%, 

캐쉬래스화가 특히 진행되고 있다고 할 수 있는 북구의 스웨덴은 1.42%만이 현금으로 

거래되고 있어.

이렇게 일본은 [현금대국]이라는 것도 알수 있지.





확실히, 미국이나 유럽은 카드 사회이고, 중국도 [은련카드]라든가 QR카드를 

사용하는 [알리페이]의 스마트 결제가 굉장하다고 얘기하지.











그렇지.

같은 BIS통계로 1인당 1년간 카드 결제를 비교해 보면,

1위는 미국으로 1만8257달러, 그외에 영국, 호주, 카나다, 한국으로 이어지고,

일본은 14위인 3939달러(약43만7000엔)이야.

이 숫자를 볼더라도 캐쉬리스보다 현금 지불을 하고 있는 상황이지.


다만 BIS 통계로는, 일본이 선두의 항목인 것도 있어. 그것은 [전자머니[의 보급.

전철탈 때 사용한다는 [Suica],[PASMO]라는 전자머니의 이용은 세계 최고야.


한가지 더 이야기 한다면, 일본은 1인당 카드 보유장수(신용카드, 체크카드,전자머니)가 약 8장.싱가포르가 다음으로 2위로 많아.



QR카드를사용해서 스마크폰으로 지급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고 생각하면

일본은 캐쉬레스의 제도 자체는 충분히 준비되어 있는게 아닌가?










그렇지.

다만 현재는 지갑에 여러장의 카드가 들어가 있지만,

신용카드를 사용하는 것은 고액을 지불할 때만이다.

동전을 대신하여 스마트폼이나 전자머니를 사용하는 것도 있지만, 

매일의 구매에 지불하는 것은 기본은 현금.

그것이 일본의 캐쉬리스화의 현재의 모습이다.

정부는 2027년에는 현재 20%정도의 캐쉬리스의 결제비율을 40%정도까지

끌어올리는 것을 수치목표를 정하고 있지.




매거진의 이전글 일본 편의점의 진화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