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트리밍 시대의 음악 감상 방법
마트에서, 잼 시식회를 열었습니다. 이 잼들은 보통 마트에서 자주 볼 수 없는 고급 잼이었습니다. 두 개의 각기 다른 상황을 연출하여, 실험을 진행하였습니다. 한마트에서는 진열대에 6가지 종류의 잼을 진열하고 시식회를 진행하였고, 다른 마트에서는 24가지 종류의 잼을 진열하고 시식회를 진행하였습니다. 어느 시식 가판대의 잼이 더 많이 팔렸을까요? 6개의 잼을 진열했던 가판대에서는 30%의 판매율을 보였고, 24개의 옵션을 내놓은 가판대에서는 3%의 판매율을 보였습니다. 하지만 역설적이게도, 소비자들의 가판대 선호도 자체는 24개의 잼이 진열되었던, 다양한 옵션이 있던 시식대가 60%로 높았습니다.
"A playlist is an arbitrary sequence of songs meant to be listened to as a group and that fit a certain theme or purpose either for individual reproduction or sharing."
사용자에게 특정한 노래에 대한 그 사람의 선호가 어떠한지를 7점 척도(아주 좋다 7점~보통 4점~아주 안 좋다 1점)로 평가하게 합니다. 이렇게 사용자의 프로필을 만들고 나면 이제 그것을 바탕으로 개인 간의 취향 유사도를 계산합니다. 예를 들어 A라는 사용자의 취향이 {소녀시대 : 7점, EXO : 6점, 비틀스 : 1점}이라면 이 사용자의 취향은 {소녀시대: 2점, EXO : 3점, 비틀스 : 7점}인 B보다 {소녀시대 : 5점, EXO: 5점, 비틀스 : 2점}인 C와 더 유사하게 판단되는 것입니다. 이렇게 A와 C가 유사하게 판단되면, 이제 C가 높게 평가한 것 중에 아직 A가 평가하지 않은 것(즉, 들어보지 못한 것)을 추천해 주는 것입니다. 요컨대 A와 C의 취향이 비슷하므로 C가 좋아하는 것은 A도 좋아할 것이라는 가정에 입각한 것입니다.
참고자료
한국 콘텐츠 진흥원, <2018 음악산업백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