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조이엄마 May 17. 2023

tl;dv: AI로 사용자 조사하기

AI 툴 소개, tl;dv 와의 인터뷰 기록

최근 AI 툴이 쏟아져나오고 있다.

널리 알려진 스크립트 기반의 생성형 AI Chat GPT, 미드저니 이외에도 응용된 버전의 다양한 AI tool이 발견되는데.. (어휴 따라가기 힘들다 허우적)


최근 논문 마무리(?)를 하며 온라인 회의, 사용자 인터뷰가 하루 일정의 주를 이루고 있는데

온라인 회의를 레코딩하고, 자동 스크립트를 만들어주고, 요약 highlight 기능을 텍스트와 클립으로 제공하는 것이 주요 기능인, tl;dv 사용 후기를 UX 리서쳐입장에서 써보고자 한다.


서비스를 한창 develop중인 시기인지 내가 사용한지 한달도 안되어서 사용자 인터뷰 요청이 와서 용기있게 오늘 짧게 인터뷰도 했는데, 2주 뒤 있을 업데이트 방향이 기대가 되어서 그 내용도 공유한다. 

(영어는 언제나 어려워.. 인터뷰 리워드로 유료 버전 제공을 살짝 기대했는데 그런말은 없었,,)


참, 유료와 무료 버전이 나누어져 있지만 (부지런히 사용하면) 무료 버전도 꽤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 언제 유료화될지 조금 걱정이다.. 그전에 얼렁 논문 끝내야지 ^^;;




https://tldv.io/ko/

여기서 서비스 소개를 볼 수 있다. 사용자 조사에 특화된 형태의 AI meeting recorder 라고 볼 수 있다.


사용법 (주의사항..?)

나말고 다른 사람들은 한번에 잘 쓸것 같지만.. 초반에 살짝 헷갈리는 부분이 있었다.

사용상 유의사항: 줌, 구글밋을 켜고 tl;dv 레코딩도 따로 켜서 참여자에 tl;dv가 들어와있는지 확인해야한다.

tl;dv를 설치하면 mac 기준 상단 우측에 저런 세미콜론 형태의 버튼이 생긴다. 

줌이나 구글밋을 켜면 자동으로 tl;dv 레코딩 버튼이 좌측 하단에 나타나고, 이 버튼을 누르고 조금 기다리면 참석자에 tl;dv가 추가된다. 여기까지 해둬야 작업물이 기록되므로 주의! (난 몇번 날렸음 ;;;) ㅎㅎㅎ



차별화된 장점



나의 경우 프라이버시에 관련된 태도와 인터페이스 연구를 진행하다 보니.. 상대방에게 설명할 것도 많고 질문도 복잡해서 1시간 가량의 인터뷰를 주로 하게되었다.

나의 기록들.. 레코딩이 끝나고 나면 알아서 정리되어있다. (썸네일은 마음에 안들어도 바꿀수없다 따흑)


1. 타임라인 요약 기능

짧은 인터뷰는 괜찮지만.. 아무래도 인터뷰를 길게 하고나면 정리가 유독 막막하다 (ㅠㅠ) 

대충 중요한건 따로 메모해둔다지만.. 사용자의 actual한 인용구도 한번 더 확인해야하고.. 

또 인터뷰를 하고 짧은 시간안에 간단하게 요약해서라도 교수님 (혹은 관리자)에게 보여드려야 할 상황이 많은데, 그럴때 참 유용한 타임라인 별 대화 주제 요약 기능! (wow)

이런식으로 takeaways가 타임라인 별로 띄워진다.

물론 AI가 추측한거라 내가 생각한 포인트가 없을 수도 있긴하다. 하지만 10분단위로 2-3번의 분석을 줘서 그런지 제법.. 도움이 된다. 대화의 흐름은 파악되기 때문에 필요한 대화 내용을 다시 찾기에도 용이하다.


네이버 클로바도 인터뷰때 잘 활용하고 있긴 했지만, 이런식으로 타임라인 스탬프로 요약되진 않고

키워드가 나열되다 보니 키워드 파악만 하고 사용자의 언어를 다시 보는건 번거로웠다. 


따로 add timestamp를 할 수도 있다.

다만 무료 버전은 3일까지만 화면 레코딩과 스크립트를 제공하므로 그 안에 호다닥 정리를...^^

(takeaways는 계속 있음)


2. 저장된 기록 내의 highlight summarize 기능

챗 GPT의 역할과 비슷한 듯하지만, 제법 흥미로웠던 기능.

비슷한 주제로 사용자 조사를 하다보면 결국 몇가지 키워드를 통해서 분석을 하게된다.

나의 경우 '프라이버시'와 '도메인', '디자인' 대한 이야기가 핵심이라 보는데 tl;dv AI search 화면으로 가서 특정 키워드를 검색하면, 나의 회의 기록에서 나왔던 대화들을 기반으로 insight를 넘버링해서 정의해준다!

(헉..!!!!)

편의를 위해 한국어로 변환, 이런식으로 검색어에 대한 관련 대화와 요약을 하는 과정이 나오고

Chat GPT는 제너럴한 결과에 대한 분석을 해준다면, tldv는 내 조사 내용을 기반으로 정의해주는 것이 매력이다. 결과를 공유하자면.


디자인의 경우

이런식으로 정리된다. 흠 근데 디자인 얘기는 대놓고 나온적이 좀 없어서 그런지 너무 일반적인 내용이(????) 나왔다. 하지만 도메인, 프라이버시에 대한 이야기는 대화중 꽤 화두가 된적이 많았는데 그 경우엔


내 연구를 요약해줘서 고마워 따봉tldv

보는 사람에 따라 이것도 너무 제너럴한 얘기 아니냐(????) 싶지만 사실 내 연구에서 가장 많이 지적받은 부분만 summary로 보여줘서 나는 쵸큼 놀랐다는.. (ㅋㅋㅋ)


나의 경우 Chat GPT를 번역 외에 유용하게 쓰고 있지는 않은데.. 그 이유는 나에 맞춤화 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 서비스를 유료로 쓰면 더 상세하게 나올지도 궁금했다. 난 개인적인 사용자 조사 분석으로 쓰고 있지만 회의록 이었으면 보면서 action item 정하기에도 좋을것 같다.



도메인을 검색한 경우에는 더욱 상세하게 요약되어 있어서 놀랐다. 궁예지만.. 이 서비스 자체가 영어 중심의 AI Tool이다 보니, 왠지 한국어로 말해도 더 잘들리는 단어였던 domain을 더 잘 분석한 느낌,,


이 외에도 영상에서 하이라이트 클립 잘라서 만들어주기, notion이나 slack에 타임라인 이동해주기 등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지만 무료 버전에서는 아쉬운 점이 많아서 패스한다. (다운로드는 죄다 유료이므로..!)


내가 연결한것은 Zoom뿐이지만 다양한 office platform과의 호환에도 신경쓰는 모습을 보인다. 

팀단위로 일할 수록 유용할 것같음.


그렇다면 단점은?


오늘 tldv 관계자(?)와의 인터뷰에서도 말했지만, 한국어를 지원해주긴하지만 비교적 정확하지는 않다

오늘 했던 영어 인터뷰 스크립트와 비교하면 더더욱 차이가 난다 ㅠ_ㅠ


(왼) 영어 인터뷰 (오) 한국어 회의록

잉 지금 보니 영어 인터뷰는 심지어 발화자도 명확하게 구분되어있다 ㅠㅠ..

한국어 버전도 여기까지 오면 참- 좋겠지만. 뭐 사실 이정도도 난 감지덕지. 보이는 것처럼 한국어 script는 묘하게 조잡해져있다. 이부분은 인터뷰에서 말했다.. 한국어 사용자도 잘쓰게 해달라고 ㅋㅋ


키워드 단위가 아니라 문장 단위로 정리된다는 점?


사실 큰 키워드를 파악하고 관련된 인사이트를 나열하면서 구체화하는 것이 효율적인데, 일단 문장 단위로 요약해주다보니 다 읽고 다시 파악해야한다는 점이다. 장점이자 단점.. ㅎㅎ

서비스를 적극적으로 디벨롭 하는 시기인지 사용자 조사를 하길래 간만에 사용자 조사를 당한것도 재미있었다 ㅋㅋ 서비스를 실제로 런칭하고 받는 유저 보이스와 나처럼 연구로 하는건 참 다르겠지.. 


사실 이 서비스는 회의록의 기능에 더 충실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사용자 조사'에 특화된 서비스를 지향하고 있었는지 (앗.. 제품 설명엔 그렇게 되어있네요 ^^.. 언제나 유저는 설명을 절대 읽지 않는다!!!)

2주 뒤에 업데이트 될 버전은 User research 관점에서 painpoint, motivation 등의 자동 태깅이 들어갈 것이라 한다. (오우+ㅁ+) 대략이라도 분류된다면 리서처들의 작업을 더 줄여주지 않을까.. ㅎㅎ


<- 동시에 기준이 궁금하기도 하다.. 대화맥락에서 이게 pain point일지 value일지 해석이 자동으로 되려나 ;ㅁ; 


덧붙여서 결국 AI가 일반적인 분류를 잘해주더라도, 해당 연구에 맞춘 분류의 방식이나 기준을 세우는 것은 연구자의 몫이자 핵심 능력이다. 더 나아가 해석하고 구체화하는 방법 역시도 결국 사람이 할 몫이기 때문에.. 이 정도 정리는 raw data를 효과적으로 정리해주는 든든하고 똘똘한 동료라 생각된다.


어짜피 지금은 무료 버전을 제공하고 적극적인 업데이트를 지원하는 중이니, 지금 시점에서 한번 슬쩍 써보는 것도 괜찮을 것 같다. (아이고 공부할것 너무많다~)


작가의 이전글 1. 퐁피두 센터의 Writing Narrative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