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의 건축가들에게
건축을 한다는 것은 끊임없이 ‘사람과 사회현상을 바라보는 일’이다. 그 안에서 결핍을 찾아내고 그 해결을 건축이라는 메디엄 medium을 통해 해답을 제시하는 일이다. 건축학과에 다니면서 건축이 이렇게 사회를 들여다보는 학문이었나? 했을 것이다. 보통 ‘건축’이라고 하면 예쁜 집 짓고, 아름다운 공간을 만드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건축학과는 그것을 배우는 곳이라고 지원했을 것이다. 나 역시 다르지 않았다. 그러나 지나온 건축설계스튜디오 시간을 돌아보면 단순히 미적인 형태를 만드는 시간보다 구축의 원리, 인간의 행태와 심리, 사회적 현상, 공간의 본질, 미래의 세상을 고민하는 시간이 더 많았음을 기억할 것이다.
건축은 ‘물리적 실체를 만드는 일’이다. 분명 그 본질은 시간이 지나도 달라지지 않을 것이다. 그러함에 건축의 재료와 구축, 구조와 기술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이것은 정보와 지식의 축적, 교육으로 전달이 가능한 영역이다. 이 부분만으로 건축 기술 전문가는 될 수 있다. 그러나 건축의 구축적 기술을 이용해 인간에게 꼭 필요한 공간화하는 작업은 다른 차원이다. 고도의 학습과 숙련, 더불어 다른 차원의 특별한 시선을 필요로 한다. 그 이유는 보이지 않은 영역을 다루기 때문이다. 건축학과의 수업이 건축의 재료, 구조, 기술을 습득하는 과정만으로 머물지 않는 이유이기도 하다. 특히 건축설계스튜디오에서 사람들의 욕망과 활동, 변화하는 사회현상, 제도, 경제적 흐름, 심리적 반응 등에 주목하여 진보된 미래를 위해 건축이 할 수 있는 해안을 찾는데 많은 시간을 할애하는 이유이다. 그 정점의 시간이 5학년 졸업설계스튜디오와 졸업논문의 시간이 아닌가 한다.
건축가는 ‘먼저 가보는 자’이다.
건축작업을 ‘프로젝트 project’라 하는 것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project의 뜻에는 ‘투사하다. 예측하다’ 있다. 프로젝션 projection을 생각해 보면 좀 더 이해가 쉬울 것이다. 건축가의 작업은 말이나 글로 전달하는 ‘계획’에서 끝나지 않는다. 미래를 ‘가시화된 세계로 투사해서 보여주는 것’이다. 즉, 미래를 눈으로 상상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이다. 타자를 상상할 수 있게 해 주려면 건축가가 먼저 ‘제대로 상상’ 할 수 있어야 한다. 건축적 상상은 건축이 물리적인 실체로써 사람들을 담고 시간을 견디며 존재하여야 하기에 소설가가 그리는 상상과는 차원이 달라야 한다. 건축가에게는 사람들의 삶의 영위를 책임지는 예견자로서의 역할이 분명히 존재한다. 사회적 책임이 따르는 ‘제대로 된 상상’을 하기 위해 건축가는 건축의 구축술과 공간의 적합성 그리고 자신이 투사하는 미래를 뒷받침하는 논거를 끊임없이 찾고 연구해야 하는 것이다.
건축은 ‘건축가의 의식 속의 건축‘과 ‘실체로서 건축‘이 있다. 건축가의 의식은 계속 흐른다. 건축가로 사는 일은 자신의 뇌를 과거, 현재, 미래가 공존하는 세계에 놓는 일이기도 하다. 의뢰가 들어오면 건축가는 현재가 아닌 미래를 그린다. 건축가의 현재는 이미 미래에 가 있게 된다. 그 프로젝트가 건축물의 실체로 만들어지면 비로소 의뢰자의 현재(현실)가 된다. 프로젝트 project 에서 작품 works으로 바뀌는 순간이다. 건축이 세상에 현존하는 방식이 바뀌는 순간인 것이다. 건축가의 머릿속에 있던 건축이 완공된 건축물로 세상에 실체를 드러낼 때, 이 순간은 건축가만이 느낄 수 짜릿한 순간이기도 하다. 이와 동시에 건축가에게 건축의 현거 the present life는 과거가 된다. 이것은 동시대에 과거를 실체로 보는 경험이다. 건축가에게 ‘현재로서의 건축‘은 자신의 머릿속에 그리는 이미지이며 도면으로 존재한다. 세상에 건축물로 현존하기 이전에, 사유하고 그려내고 검증하고 품고 있는 시간들이다. 건축가에게는 건축이 실체로서 현존하는 시간은 생각보다 짧다고 본다. 건축가의 숙명은 이미 또 다른 미래를 그리고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2024년 11월 미래의 건축가들에게.
*이 글은 2024년 성균관대 건축학과 졸업예비생들의 졸업논문지의 글에 실릴 글입니다.
#건축학과 #미래의건축가들에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