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원식의 대답
모든 행위에는 그 행위를 촉발하는 동기/이유가 있다. 뜻없이 '그냥'한 행동이라도 최소한 신경생리학적 동기는 있다. '그냥'이라고 설명될 그 신경상태. 명예욕, 재물욕, 갈증, 배고픔, 혹은 자기 자신조차 설명할 수 없는 어떤 형이상학적 열망이었든 '그 무엇'의 동기가 없다면 인간의 행동은 가능하지 않을 것이다. 그렇다면 한강의 소설을 가능케하는 것은 무엇인가. 그것은 한강의 삶을 추동하는 힘에 대한 질문이라고 해도 좋다. 그 자신의 말에 따르면 그것은 일련의 물음이었다. 유년시절에 시작되었던 물음.
우리는 왜 태어났는지. 왜 고통과 사랑이 존재하는지, 우리가 이 세계에 잠시 머무는 의미는 무엇인지, 이 세계에서 우리가 끝끝내 인간으로 남는다는 건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
유년시절의 한강을 사로 잡은 우주와 인간에 대한 이 존재론적, 형이상학적 질문은 인간이 제기할 수 있는 가장 근원적인 질문이 아닐까 싶다. 감히 말하자면 칸트가 던졌던 질문이, 주자朱子가 던졌던 질문이 여기에 정확히 포개진다고 나는 생각한다. 이 우주에 편만한 물리법칙과 인간에게 강림한 도덕법칙의 근원은 무엇인가. 왜 인간은 동물이면서 동물로 그치지 않는가. 한조각 치즈케익 앞에서 무너지는 다이어트 결심은 '인간은 합리적 동물'이라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주장을 간단히 비웃는다. 인간은 무엇에 지배받는가. 물리법칙인가 도덕법칙인가.
한강의 문학을 추동케하는 이 근원적 질문은 결국 인간의 삶에 대한 질문으로 모아지고 더 핵심적으로는 생명에 대한 사유로 모아진다. 그는 선언한다. 문학을 읽고 쓰는 일은 생명을 파괴하는 행위들의 반대편에 서 있는 것이라고. 이러한 사유는 필연적으로 인간에게 내장된, 그리고 인간에게 가해지는 폭력에 대한 사유로 이어진다. 폭력의 다른 이름은 바로 생명을 파괴하는 행위들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지점에서 한강의 사유는 이율배반적인 분열을 겪는다.
세계는 왜 이토록 폭력적이고 고통스러운가? 동시에 세계는 어떻게 이렇게 아름다운가?
한강의 문학을 지배하는 이 이율배반적인 질문은 이 세계와 인간종에 내재한 근원적인 부조리와 근원적인 아름다움이 서로 섞일 수도 없고 분리될 수도 없는(不相雜 不相離) 하나의 신비와도 가깝다. 이 '섞일 수도 없고 분리될 수도 없는' 테제를 두고 율곡과 퇴계가 나누어지고 기호畿湖와 영남嶺南이 나누어진다. 그것은 하나의 신비이자 모순이고 역설이다. 인간은 동물이다.(A=P) 인간은 동물이 아니다.(A=~P) 인간은 동물이면서 동물이 아니다.(A=P&~P) 하지만 여기서 한강은 논리학의 언어가 아닌 문학의 언어로 나아갔다.
문학을 읽고 쓰는 일은 생명을 파괴하는 행위들의 반대편에 서 있는 것
내 모든 질문들의 가장 깊은 겹은 언제나 사랑을 향하고 있었던 것이 아닐까? 그것이 내 삶의 가장 오래고 근원적인 배음이었던 것은 아닐까?
문학을 읽고 쓰는 것은, 그러니까 생명을 파괴하는 행위들의 반대편에 선다는 것은 결국 '생명에 대한 사랑'에 다름 아니며 그것이 자기 문학의 배음背音이라고 한강은 말한다. 그는 또 말했다. 1980년의 광주가 2024년의 서울에게 말하는 것 또한 바로 그 '생명에 대한 사랑'이며 과거가 현재를 돕고, 죽은 자가 산 자를 구할 길도 오직 생명에 대한 사랑 뿐이라는 사실을.
사랑의 반대말은 증오나 미움이 아니다. 사랑의 반대말은 폭력이다. 증오나 미움은 폭력의 사소한 한 형태일 뿐이며 죽음은 그런 폭력의 극단적 경우이다. 그래서 예수는 죽음 앞에서 분노했다. 그것은 사랑의 멸절에 대한 가장 극단적 형태이기에. 한강에 의하면 사랑은 생명을 살리는 것이고 따스한 것이다. 놀랍게도 이는 공자의 사상을 형이상학적으로 설명하는 주자의 사유와 일치한다.
천지는 생명을 낳고 살리는 것을 마음으로 여기며 인간의 마음은 그런 천지의 마음을 닮았고 그것이 바로 인仁이다.
天地以生物為心者也, 而人物之生, 又各得夫天地之心以為心者也 ...然一言以蔽之, 則曰仁而已矣.
한강에 의하면, 그리고 주자에 의하면 사랑은 낳고, 살리고, 따스한 것이다. 그래서 오행五行에서 인仁은 봄(春)으로도 비유된다. 봄에는 생명이 탄생하고 따스한 바람이 분다.
한강이 스웨덴 국왕의 면전에서 이런 심오한 질문과 대답을 스스로 주고받을 때, 그의 조국은 믿기지 않는 폭력과 야만에 휩싸였다. 그의 질문은 여전히 진행형이었고 세계인들은 그 답을 듣기 위해 대한민국의 수도 서울을 바라보았다. 그리고 군홧발과 총칼의 폭력 한가운데서 우원식은 대답했다. 확신에 찬 그의 어조는 천둥같았다.
"희망은 힘이 쎄다"
1980년의 광주가 2024년의 서울을 힘껏 도왔다. 광주의 영령英靈들이 서울의 청년들을 구했다. 모든 폭력을 반대하는 생명을 살리는 힘들이 이 나라를 도왔다. 살리는 힘이 사랑이고 그 힘이 곧 희망이다. 그래서 다시,
"희망은 힘이 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