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그림 Oct 18. 2020

잠시 드릴 말씀이 있습니다.

33번째 생일이 왔다.

초등학생 때 33살은 나이가 엄청 많게 느껴졌는데 막상 되니 그냥 이렇게 33살이 오는구나 싶다. '당신은 이제 어른입니다'라는 선고도 없었다. 난 좋은 어른이 되고 있나?


"대표님, 잠시 드릴 말씀이 있습니다."

33살에 n번째 이직을 한다. 소원을 빌 기회가 오면 항상 빼먹지 않고 있던 소원 중 하나가 이번 직장에서 자리 잡게 해 달라는 것이었는데 이런저런 이유로 다시 이직을 하게 되었다. 다음 소원은 또 '이번 직장은...'이라는 소원이 있겠지. 이직을 하면서 여전히 헤매고 있다는 자책감도 들었다. 이직한 덕분에 내 커리어는 풍부해졌다고 위안을 삼았다.

회사를 옮겼던 주된 원인은 미래에 대한 불안감이었다. 이 직업으로 미래에도 살아남을 수 있을까? 어정쩡한 나이에 회사를 그만두거나 잘려도 밥 먹고 살 수 있을까? 이직할 수 없어서 현 직장에 남아있는 무능력자가 되진 않을까? 퇴직 후 할 수 있는 게 없어서 (원해서가 아니라 어쩔 수 없어서) 치킨집의 한 사람이 되진 않을까? 이런 불안들. 결국 전문성에 대한 문제였다.

또 하나는 여성으로서 회사에 살아남는 것이다. 결혼 후 아이를 낳고 육아문제가 생길 때 맞벌이 부부 중 일을 그만두는 사람들의 대부분은 여성이다. 아이 돌보는 것까지 소홀히 하면서 '굳이' 일을 할 필요가 있냐는 엄마의 책임감을 물으면서 말이다. 그리고 공무원도 '여자로서' 다니기 좋은 직장이라고 한다. 왜 여자는 그런 '엄마로서, 여자로서 좋은' 수식어를 벗어버리고 일을 할 수는 없는 것일까. 하고 싶은 일은 내가 선택하고 싶었다.

인정을 받고 싶었다. 인정을 받으면 내 자존감은 높아졌다. 원하는 성과를 낼 수 있을까, '열심히'가 아니라 '잘' 할 수 있을까, 사람들과는 잘 지낼 수 있을까. 하는 부담감들이 나를 긴장시켰다.

이번 직장도 기대보다는 부담이 더 크지만 일적으로나 정신적으로나 성숙해지고 싶다. 좋은 태도가 좋은 결과, 그리고 좋은 어른으로 이어지길 바란다.

copyright 그림 All right reserved


작가의 이전글 외로움의 역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