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테크 토크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박예신 Feb 03. 2023

스테이블코인에 숨겨진 위험한 비밀 4가지

4 critical risks of stablecoins

스테이블코인(Stablecoin)은 적어도 그 이름만큼은 안정적이다. 그래서인지 가격이 널뛰는 가상자산 시장 속에서 스테이블코인의 존재감은 제법 큰 편이다. 특히 법정화폐 기반 스테이블코인 발행사들은 달러나 유로화 같은 주요 법정화폐와의 가치 연동을 통해 스테이블코인의 안정성을 담보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또 스테이블코인 환매 요청에 즉각 대응 가능한 수준의 준비금을 보유하고 있으며, 그 점을 회계법인을 통해 감사를 받았다는 사실을 대중에 공개하기도 한다.


그런데 이들이 말하는 안정성이란 구조적 입증이 가능한 것일까 아니면 정교한 스토리로 직조된 멋진 허구인 것일까. USDT, USDC, BUSD 등 주요 스테이블코인 발행사들은 법정화폐와의 연동, 규제당국과의 협력, 회계감사 등와 같은 전통적 신뢰 수단을 통해 자신들의 상품이 안전하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주장을 진심으로 믿는 고객들이 얼마나 될지는 알 수 없지만, 발행사들이 전통과 권위 그리고 중앙화된 방식에 기대어 스테이블코인의 안정성을 설파하는 전략은 꽤 잘 먹히고 있는 듯 하다. 법정화폐 기반 스테이블코인의 시가총액(수요)이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는 걸 보면 그렇다. 아마 발행사들의 이자 수익도 상당할 것이라 추정된다.


미드저니 AI로 생성한 이미지

스테이블코인의 가치가 안정적일 것이라는 대중의 믿음이 발행사들의 이익에 도움되는 이상, 발행사 관계자들은 그 믿음을 강화하기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 홍보할 것이다. CNBC 같은 경제금융방송 인터뷰나 미디어 PR 등을 통해 스테이블코인은 금융의 미래라며 열심히 전도할 것이다. 나아가 자신들에게 유리한 규제를 만들어줄 정당에게 은밀하게 정치 후원금을 기부함으로써 사업의 기반과 대외적 이미지도 만들어 나갈 것이다.


이러한 홍보와 로비 활동은 명확한 주체가 있어야 시도할 수 있다. 하지만 크립토나 알고리즘처럼 이색적인(unconventional) 수단을 기반으로 하는 스테이블코인들은 전통 금융과의 연결점이 없는데다가 재단/관리 주체가 불명확하기 때문에 PR이나 로비를 통해 자신들에게 유리한 기반을 만들기가 쉽지 않다.


그렇다면 법정화폐 기반 스테이블코인은 여타 스테이블코인보다 안정적일까? 발행사들은 그렇다고 답하겠지만, 스테이블코인의 구조를 면밀히 뜯어보면 그렇다고 말하기 어렵다. 발행사들이 말하는 안정성은 높은 확률로 허구일 가능성이 높다.


예컨대 시총 1위 USDT의 발행사인 테더 홀딩스의 지배 구조는 오너리스크가 우려될 정도로 폐쇄적이다. 최근 WSJ 기사에 따르면 테더 홀딩스의 지분 86%는 금융 경험이 적은 4명이 소유하고 있다. 테더 준비금의 자산 클래스 구성 과정이나, 준비금을 투자에 활용해 매출을 내는 등 경영 전반이 단 4명에 의해 좌우된다는 것은 매우 위험한 일이 아닐 수 없다. 그것도 시가 총액이 80조에 달하는 대형 스테이블코인이 말이다.


그러나 스테이블코인을 둘러싼 비밀들은 이따금 언론 보도를 통해서야 겨우 드러난다. 스테이블코인 발행사들이 IPO를 통해 상장 기업이 되지 않는 이상, 일반 고객이 이런 정보를 직접 알 방법은 없다. 고객은 정보의 비대칭 상황에 놓인 채로 이러한 법정화폐 기반 스테이블코인의 가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리라는 믿음을 갖는 수밖에 없는 것이다.


이번 칼럼에서는 스테이블코인에 숨겨진 리스크를 들여다봤다. 이 리스크들은 수년 전부터 지적돼 오던 것들이다. 최근 들어 미국이나 영국 규제 당국이 4가지 리스크를 관리하기 위한 법안과 방안들을 내놓고 있으나 실제적으로 적용되기까진 시간이 더 걸릴 것이다.


https://yozm.wishket.com/magazine/detail/1866/


매거진의 이전글 ChatGPT와 알짜 정보의 가치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