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태혁 Oct 15. 2023

[블루 자이언트] 무한 긍정은 무한 연습에서 나온다

    인생은 즉흥 연주가 많은 재즈일까, 철저히 악보와 지휘에 맞춰 연주하는 클래식일까? 쉽게 답하기 어려운 질문이다. 요즘 유행하는 MBTI에 따르면 J의 인생은 클래식이고 P의 삶은 재즈일지도 모른다. 한 가지 분명한 사실은 죽기 전까지 나의 목표와 계획과 의도를 100% 달성할 수는 없다는 것. 야구 만화 속 주인공과 같은 실력을 현실에서 뽐내던 오타니 쇼헤이도 FA 대박 계약을 코앞에 두고 팔 부상이 재발했다. 그의 계획은 틀어지고 말았다. 일이 잘 풀릴 때에는 우주의 기운이 나를 도와주는 것 같다. 얼른 산 정상에 올라 표지석 옆에서 기념사진을 찍을 생각에 들뜨지만 등산로에서 한 발짝만 잘못 내딛어도 낭떠러지로 추락할 수 있다. 인생은 그런 것이다. 그러니 무한 긍정의 마음가짐을 갖기란 얼마나 어려운 일인가?         

    영화 <블루 자이언트>의 주인공 '다이'는 강렬하고 뜨거운 재즈의 매력에 흠뻑 빠진다. 그는 "세계 최고의 재즈 플레이어가 되겠다!"는 목표를 세운다. 꿈을 이루기 위한 과정의 일환으로 고등학교 졸업 후 곧장 고향을 떠나 도쿄에 온 '다이'. 긍정적이고 낙관적인 다이가 '세계 최고의 재즈 플레이어'라는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는 확신과 자신감을 가질 수 있는 이유는 고향에서나 도쿄에서나 변함없이 매일매일 맹렬하게 색소폰을 연주하기 때문이다. 다이가 넘어서야 할 유일한 상대는 '어제의 나'인 셈이다. 그렇기 때문에 영화를 보는 내내 다이를 진심으로 응원하게 된다. 다이가 세계 최고의 무대에서 연주하는 장면이 영화에 등장하지는 않지만 중간중간 삽입된 주변 인물들의 인터뷰 영상은 다이가 세계 최고의 재즈 플레이어가 되었음을 알게 해 준다.         



    비교적 예상하기 쉬운 이야기와 달리 영화 <블루 자이언트>의 비주얼, 음악, 음향은 예상을 크게 벗어난다. 예상보다 훨씬 더 뛰어나고 압도적이다. 애니메이션만의 장점을 극대화해 실사 촬영에서는 구현하기 어려웠을 듯한 역동적인 카메라 워크와 화면 전환, 기발한 앵글과 미장센을 구현한다. 폭발하는 재즈 사운드의 박력을 실감하게 해주는 총천연색의 화면, 동명 원작 그래픽 노블의 매력을 십분 살린 화면의 질감, 실제 재즈 연주자의 동작을 생생하게 본뜬 영화 속 캐릭터들의 연주 자세가 압권이다. 적재적소에 들어간 스틸 이미지는 편집의 리듬감을 살린다. 지나치기 쉬운 장면이지만 고기 석쇠 밑에서 다이의 얼굴을 찍는 과감한 앙각 숏도 기억에 남는다. 유리컵에 맺힌 물방울들 위에 포개지는 '유키노리'의 식은땀도 인상적이었다. 

    다이가 테너 색소폰 연주를 시작하기 직전에는 오직 다이의 들숨소리만 들려서 이후 이어지는 연주에 더 온전히 몰입할 수 있다. 재즈 문외한이 들어도 바로 탁월함을 느낄 수 있는 연주는 실제로 재즈 연주자들의 라이브를 녹음했다고 한다. 특히 유명 재즈 피아니스트인 우에하라 히로미가 음악과 피아노 연주를 담당했고, 색소폰은 전 세계 연주자들을 대상으로 오디션을 거친 후 바바 토모아키가 만장일치로 채택되었고, 드럼은 우에하라가 이시와카 슌을 지명하여 그가 맡게 되었다고 한다. 영화 속 라이브 연주 장면들은 두고두고 회자될 것 같다. (단, 필자는 메가박스 코엑스 돌비관의 Dolby Vision과 Dolby Atmos로 관람했기 때문에 다른 일반 상영관보다 훨씬 더 감흥이 컸을 수도 있다.)  

    재즈 밴드의 연주는 "따로 또 같이"를 추구한다. 함께 연주할 때의 조화도 중요하지만 솔로 파트에서는 테너 색소폰, 피아노, 드럼 등 개별 연주자가 저마다 자신의 개성을 최대한으로 표출해야 한다. 솔로 파트의 문제는 다른 밴드 멤버들이 도와줄 수 없고 결국 스스로 혼자 해결해야만 한다. 인생의 많은 문제를 해결해 줄 유일한 사람은 결국 자기 자신이라는 것을 깨닫게 해주는 대목이다.  

    "재즈 밴드는 록 밴드와 달리 평생 함께하지 않는다."는 유키노리의 대사가 암시한 것처럼 주인공들이 가장 큰 공동 목표로 삼았던 'SoBlue'에서의 공연이 밴드 'JASS'의 마지막 공연이 된다. 이제 본격적으로 돈을 쓸어 담으면서 공연할 수 있을 텐데 해체하다니! 최고의 순간에 미련 없이 해산할 수 있었던 것은 다이, 유키노리, 타마다가 누구보다 열심히 연습했고 연주에 자신의 모든 것을 쏟아부었기 때문일 것이다. 스스로를 속이지 않고 진정으로 최선을 다한 사람은 후회가 없는 법이다. (끝) 



* 10월 11일 메가박스 코엑스에서 진행된 <블루 자이언트> 언론/배급 시사회에 씨네랩으로부터 초청받아 참석한 후 작성한 리뷰입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어느 멋진 아침] 쇠락하는 삶에도 사랑이 있다면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