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소라 Aug 11. 2016

잠자는 사자의 비밀

“계속 잠만 자네? 백수의 왕이 아니라 그냥 백수 같아..”  사파리에서 사람들은 처음엔 사자를 코앞에서 본다는 사실에 감격하고 그다음에는 계속 누워만 있어서 실망한다.

세렝게티 트라이앵글존 @2016


사자 무리를 발견한 화요일 아침 8시. 사자들이 헉헉대고만 있다. 왜 저렇게 헉헉대지? 어디 아픈 걸까? 카메라 줌을 당겨 살펴봤지만 별다른 것을 발견하지 못했다. 연신 앞발을 혀로 핥고 헉헉, 또 다른 사자의 얼굴을 핥아주다가 헉헉. 이제 보니 동글동글한 배가 숨 쉴 때마다 크게 오르락내리락한다. 입 주변과 앞발에 덜 지워진 핏자국이 보이고 저쪽에 누우 뼈가 널려있다. 아, 배불러서 헉헉 댔구나.


11시쯤 드디어 사자가 일어났다. 느릿느릿 터벅터벅. 근처 웅덩이에서 커다란 고양이처럼 물을 마신다. 배는 더 빵빵해졌다. 해는 점점 올라가 정수리를 달구는데 사자의 고개는 점점 내려간다. 세 시간째 움직이는 건 사자의 꼬리뿐. 몰려드는 파리를 쫓아내느라 바쁘다. 가끔 등이 배기는지 이리 뒹굴고 저리 뒹굴고. 뭐라도 찍어야 할 텐데 어느새 해가 많이 기울었다. 덤불 근처를 두어 번 서성이던 사자들은 안전하다고 느꼈는지 몸을 포개 잘 준비를 시작했다. 오늘 한 게 물 마신 거밖에 없으면서 또 자려고 하다니. 오늘 하나도 못 찍었는데…


세렝게티 골 코피 @2016


이틀을 헤매고 저녁 무렵 사자 무리를 찾았다. 사자들은 약간 예민해 보였다. 바람이 살짝 세게 불었을 뿐인데 몸을 반쯤 일으키고, 카메라 위치를 바꾸느라 소리를 좀 냈더니 바로 쨰려본다. 평소엔 반응도 안 하던 애들이 뭔 일인가 싶었는데, 저 멀리 콩알만 해 보였던 누우 떼가 울음소리가 들리는 거리까지 왔다. 사냥을 하려나? 그래서 냄새 맡고 그랬나? 나도 모르게 마른침을 삼킨다. 누우 떼들은 점점 다가오고 사자들은 잠시 엎드리거나 누워있다가도 고개를 돌리고, 이방향 저 방향으로 귀를 쫑긋 거린다. 덤불 바로 뒤까지 온 누우 떼의 울음소리가 크게 울린다. 계속 스탠바이 하던 카메라 배터리 걱정을 하면서, 언제 뛰쳐나가려나 숨도 제대로 못 쉴 만큼 긴장상태다. 죽은 듯 기다리며 있다 보니 이게 웬일… 누우 떼의 긴 행렬 중 마지막 남은 한 마리가 덤불 옆을 무심한 듯 시크하게 지나가버렸다. 좋은 기회인데 왜 사냥을 안 했지? 배터리만 날리고 아무것도 못 찍었다. 아… 사자가 밉다.

 



찾기도 힘든데 움직이지도 않는 사자. 그 사연을 이해하게 된 것은 한 사자 무리를 한 달 넘게 쫓아다닌 후였다. 사자가 사냥에 성공할 확률은 열 번에 세 번 정도다. 50%도 안 되는 가능성에 승부를 걸어야 하는데, 얼룩말이 아무리 가까이 있다고 해서, 기린이 바로 뒤에 지나간다고 해서 무턱대고 뛸 수 없다. 오히려 어설픈 사냥에 상처를 입거나 배만 꺼지고, 또 사냥에 나서야 할 시기가 앞당겨진다. 카메라를 들고 있는 입장에서는 사자가 갈기를 마구 휘날리며 포효하고 암사자들이 떼로 달려들어 기린을 물어뜯고 버펄로를 잡으면 얼마나 좋겠냐만은. 야생의 초원에서 사냥은 기회조차 쉽게 오지 않는 걸 알고 나니, 아직 먹은 게 남아있어 볼록한 사자 배를 보면 이런 생각이 든다. ‘으휴, 어제 고생했구나. 오늘은 쉬어… 그치만 모레쯤엔 한번 뛰어 줘.'



커버이미지  : 세렝게티 트라이앵글존 @2016



매거진의 이전글 아프리카 초원 위에서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