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결혼생활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허솔레미욤 Aug 22. 2023

둘째에 대한 나의 생각

아주 어릴 때부터, 아가를 낳는다면 둘은 낳아야 한다 생각 했다.

어릴적 엄마한테 “엄마, 왜 우리는 형제가 둘 뿐이야? 나도 언니나 오빠 한 명 더 있었음 좋겠어”라며, 위로 둘을 원했고, (동생은 별로였다 ㅋㅋ) 내 질문에 대한 엄마의 대답은 이러했다.

“엄마가 너네 낳을 때에는 둘 키우기도 벅찼어. 근데

어차피 벅찰 거 였다면 하나 더 낳을 걸 그랬다는 생각도 해”


이 이야기를 듣고였던 것 같다.

어차피 하나 키우나 둘 키우나 셋 키우나 벅찬 건 마찬가지니, 둘은 낳아 키워야 한다고.


때문에 둘째 고민은 낳을 때까지 할 것 같으며, 혹여 낳지 않는다는 결정을 하더라도 훗날 꾸준히 후회할 것도 같다.


후회 할거라면 낳아야 하지 않은가 생각 하겠지만, 그건 또 아니다.

둘째를 낳으면 두 배가 아닌 네 배 힘들다던데, 나는 그렇게 힘들 자신이 없다.

지금이 딱, 내가 행복하고 즐거운 정도의 이겨낼 수 있는 힘듦 같다. 여기에서 네 배라면 즐길 수 있을지 모르겠다.

내가 행복하고 즐거워야 아가도 그 마음을 온전히 느낄텐데, 네 배로 힘들면 즐기지 못하고 아가한테 짜증을 낼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너무 안 잔다고, 너무 자주 깬다고, 또는 너무 안 먹는다고, 짜증을 낼까봐 두렵다.

아가가 안 자고 안 먹고 안 놀고 우는 것은 본능이고 성질이고 성격이지, 아가의 잘못이 절대 아님을 아는데

이를 알 면서도 내가 너무 너무 힘들면, 이 모난 성격을 이기지 못하고 암것도 모르는 아가에게 짜증을 낼까봐 두렵다.


아주 육아에 적합한 성격의 친구들이 있는데, 난 아닌 것 같다.

지금도 아기가 새벽에 너무 자주 깨거나 너무 일찍 깨어 (내가) 잠을 못 자는 날이면 아주 예민해진다.

그리고 이를 아가가 모를 리가 없음에도 티를 낸다.

엄마 너무 힘들고 졸리니 빨리 자라며 설득하고 정말 못 자는 날은 짜증도 낸다.

아가도 잘 못자고 깨어 힘들어 우는 것인데, 엄마가 되어가지고 나도 힘들다며 투덜거린다.

그리고 그 시간이 지나면, 애한테 뭔 소리를 했나 후회하고 자책한다


이런 내가 둘째를 가져도 되는가. 내 행복과 그로 파생되는 가족들의 행복에 누를 끼치는 건 아닌가.

고민하고 또 고민하게 되는 요즘이다.

매거진의 이전글 어떻게 해야 할지 정말 모르겠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