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유비닷컴 Mar 10. 2021

결론부터 말하지 마


“아내가 우울증으로 힘들어합니다. 우리는 오랫동안 신앙생활을 해왔어요. 행복한 가정이라고 생각했어요. 그런데 어느 날부터 아내가 말을 걸어도 대답하지 않아요. 침대에 누워 일어날 생각을 안 합니다.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어요.” 


A는 마흔두 살, 결혼 9년 차 두 아이의 아빠이다. 아내와 교회 청년부에서 만났다. 그는 청년부 회장이었고, 아내는 청년부 임원이었다. 직업도 비슷했다. 그는 초등학교 신임 교사였고, 아내는 이름 있는 입시 학원 영어 강사였다. 아내가 첫아이를 임신했을 때, 그가 말했다.  


“나, 학교 그만두고 다른 일을 찾아보고 싶어.”  


그는 공교육이 잘못된 방향으로 가고 있다며, 삶이 불안정하더라도 올바른 길을 가고 싶다고 했다. 그것이 하나님 뜻이라는 말도 덧붙였다. 그가 선택한 일은 기독교 대안학교 교사였다. 공교육 교사보다 월급은 적었지만 의미 있는 일이었다.   


학교는 집에서 차로 30분 거리에 있었다. 일 년이 지났을 때, 예상하지 못한 일이 일어났다. 학교 이전 소식이었다. 학교 측은 아이들에게 더 좋은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학교를 지방으로 이전한다고 했다. 학교 설립 취지에 공감하는 재력가 한 사람이 땅을 기부해서 시작된 일이었다.  


그는 학교를 그만두고 싶지 않았다. 아내에게 시골에 내려가 살자고 부탁해 봤자 싫어할 것이 뻔했다. 집은 그녀의 친정과 어릴 때부터 다닌 교회와 가까웠다. 거주지를 옮기면 아내는  가족, 친구와 멀어진다. 그는 고민 끝에 주말 부부를 제안했다. 학교에서 선생님을 위한 숙소를 제공했기 때문이다. 아내가 둘째 아이를 임신했을 때부터 주말 부부로 살기 시작했다. 


그는 주말마다 집에 내려와 아내와 가족에게 최선을 다했다. 하지만 아내는 그의 노력을 알아주지 않았다. 주말마다 반복되는 그녀의 짜증과 불평에 지쳐갔다. 그는 아내가 하나님을 의지하지 않고, 남편을 의지하는 것이 근본적인 문제라고 생각했다. 아내가 불평할 때마다 감사하는 마음을 가지면 좋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아내의 짜증은 날로 심해졌고, 마침내 그녀는 입을 닫아버렸다.  


아내가 입을 닫은 날을 기억한다. 목사님이 심방을 오셨다. 그는 자신의 힘으로는 도저히 아내의 부정적인 생각을 바꿀 없을 것이라고 생각해서 심방을 요청했다. 아내에게 그 사실을 알렸다.  


아내는 무슨 짓이냐며 소리를 질렀다. 그는 이해할 수 없었다. 아내의 믿음이 사라져 버린 게 분명했다. 목사님은 감사하는 삶에 대해 설교했다. 남편이 미리 목사님께 상황을 알렸기 때문이다. 목사님이 가신 후에 아내는 침대에 누워 이불을 뒤집어쓰고 울기 시작했다. 


“저는 어떻게든 이 상황을 해결해보고 싶었어요. 교직을 유지했어야 했나, 이사를 갔어야 했나, 둘째를 늦게 가져야 했나…. 어디서부터 잘못되었는지 모르겠어요. 아내는 더 이상 제 말을 듣지 않아요. 같이 상담을 받자고 했지만 아내는 그럴 생각이 없었어요.” 



***



남편의 실수다. 과정 없는 ‘결론 제시’는 아내에게 상처가 된다. 남편은 가정을 위해 최선의 방법이 무엇인가를 고민했을 것이다. 그에게 무슨 일이 벌어진 것일까? 그의 머릿속은 복잡하다. 그것을 정리하지 않은 채 아내에게 전달하면 결론 없는 대화가 될 것이 뻔하다. 복잡한 생각이 단순하게 정리될 때까지 생각하고 또 생각한다.  


아내와 아이들과 자신에게 가장 좋은 것이 무엇인지 차례차례 생각한다. 복잡한 생각이 정리되고 윤곽이 잡히면 아내에게 통보한다.  


“나, 학교 그만두기로 했어.” 


또 말한다. 


“우리, 주말 부부하자.” 


아내는 받아들이지 않는다. 단번에 거절한다. 그녀는 남편이  이기적이고 무책임하다고 생각한다. 남편은 당황해서 설득하기  시작한다. 이건 이래서 그렇고, 저건 그래서 그렇다. 이 말을 하기까지 얼마나 힘들었는지 아느냐고 장황한 설명을 하다 그는 지친다. 아내는 실망한다. 그녀의 표정이 돌처럼 굳는다. 



남편이 묻는다. 


“그럼, 당신 생각은 뭔데?” 


아내가 대답한다. 


“몰라. 그런데, 그건 아니야.” 



남편은 대화가 안 되는 여자라고 생각한다. 두 번 다시 상의하지 않고 혼자 결정을 내리겠다고 결심한다. 이것이 반복된다. 남편은 생각 없는 여자와 살고, 아내는 이기적인 남자와 산다.  


상황을 바꾸려면 ‘결론 제시’가 아니라 ‘과정 공유’가 필요하다. 남편이 가족을 위해 무언가를 결정해야 한다면 복잡한 상황 그대로 아내와 공유해야 한다. 그가 혼자 내린 결정으로 아내를 설득해서는 안 된다.  


플랜 A, B, C, D, E … Z까지 말할 각오를 하자. 미리 겁먹을 필요는 없다. 실제로는 C, D에서 멈출 테니까. 과정을 있는 그대로 공유하다 보면 아내가 “걱정 그만하고, 당신이 알아서 해”라고 말할 것이다. 믿고 맡긴다는 뜻이다.  


고민하는 과정을 있는 그대로 말할 때, 아내는 남편이 가정을 얼마나 소중하게 생각하는지 다시 한 번 생각하게 된다. 자신보다 아내와 아이를 배려한다고 느끼면 그녀는 남편을 위해 희생하고 하고 싶은 마음이 생긴다. 그 역시 가족을 위해 삶의 한 부분을 포기하며 산다는 것을 알기 때문이다.  


또 과정을 공유하면 진심이 전해진다. ‘이 사람에게는 가족이 가장 중요하구나’라는 신뢰를 얻은 남편은 존경받는다. 그래서 “걱정 그만하고, 당신이 알아서 해”라는 말에 담긴 속뜻은 이렇다.  


“당신이 우리를 얼마나 걱정하는지 알아. 우리를 위해 가장 좋은 선택이 무엇인지 고민하는 것도 알고. 그러니 이제 걱정 그만해. 당신이 결정하면 따를게.” 


하지만 남편이 아내에게 과정을 공유하는 것은 어렵다. 아버지 세대가 보여주지 않았던 모습이기 때문이다. 한국에는 가부장적인 문화가 아직도 자리 잡고 있다. 아내에게 시시콜콜하게 일상을 말하는 남편은 수다쟁이로 취급 받는다. 그러나 걱정할 필요 없다. 나는 아직까지 아내와 대화를 많이 해서 아내에게 무시당하는 남편을 만나본 적이 없다. 오히려 그 반대 경우를 많이 보았다.  


번거롭더라도 최선을 다해 과정 자체를 아내와 공유하기 바란다. 아내를 위해 희생할 것은 희생하고, 포기할 것은 포기하려는 의지를 갖는다면 원하는 모든 것을 이루며 살 수 있다.   


정말로 그렇다.

  


치유의 고백

상처받은 사람들의 치유 이야기

에세이 구독하기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