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조상우 Dec 26. 2019

놀이터를 디자인하다

Mostrum. Denmark

ㅣ 들어가며 ㅣ


<북유럽 디자이너 토크>는 다양한 분야의 북유럽 디자이너들과 직접 마주 앉아 스칸디나비아 디자인의 철학에 대하여 이야기 나누는 토크 세션입니다. 북유럽의 인테리어 디자인을 비롯한 패션, 건축, 뮤지엄, 놀이터, 카페, 게임 디자인에 이르기까지 우리에게 아직 알려지지 않은 분야의 스칸디나비아 디자인 이야기를 전합니다.






북유럽의 놀이터는 어떤 모습일까? 막연한 궁금함에서 시작해 진행하게 된 토크 세션 내용을 소개한다. 전 세계 어느 나라보다 가족중심과 아이들에 대한 배려가 잘 되어있기에 ‘놀이터’라는 공간에 대한 막연한 기대감이 있었다. 이곳 놀이터는 이미 많은 부분에 있어서 브랜드화되있고, 아이들의 연령대별로 구획이 잘 나누어진 세심함을 보이며, 정부에서도 투자를 아끼지 않는다. 근처의 주거단지만 해도 햇빛이 잘 드는 양지바른 곳에 기획 초기부터 설계되며, 놀이터를 둘러싸는 형태로 주택 단지가 구성된다. 소위 말하는 단지내 노른자위 땅에 아이들의 공간이 마련되는 것을 본다. 이같은 설계를 통해 입주민들은 아이들이 노는 모습을 집에서도 쉽게 볼 수 있게 된다. 은행, 마트, 대중교통 시설 어디를 가든 아이들을 위한 공간이 별도로 마련되어 있고 어른들과 동등한 시선으로 배려해주는 것은 북유럽의 보편적인 문화이다. 요즘 우리 사회에 이슈가 되고 있는 노 키즈 존 (No-kids zone)은 상상도 할 수 없다.


이들이 이렇게 아이들을 위해 신경 쓰는 이유가 무엇일까 생각해 본다. 그 단편적인 이유로는 일단 아이들이 많다. 주변 동료들만 봐도 자녀가 3~4명인 가정이 대부분이다. 나라에서 보장받는 복지나 교육이 안정적이므로 아이를 키우는데 부담이 적은 편이다. 그리고 사회 전반에 깔려있는 아이들에 대한 배려의 문화는 놀이터라는 시설에 대한 투자로 자연스럽게 이어진다. 아이들이 나라의 미래임을 말뿐이 아닌 실천 사례들로 보여주는 예시인 것이다.


정밀하게 설계되고 과감한 상상력으로 디자인된 놀이터. 이러한 놀이터는 심지어 그 지역의 대표적인 랜드마크가 되기도 한다. 아이들이 뛰어노는 일상적인 놀이터라는 공간을 체험하기 위해 사람들이 찾아온다는 것이 도무지 상상이 가질 않았다. 하지만 아래 사진들을 확인하면 고개가 끄덕여질 것이다.

덴마크 항구 도시 오르후스에 제작된 놀이터. 지역의 랜드마크가 될 정도로 유니크한 디자인을 보여준다. © Monstrum
러시안 테마파크 VDNKh를 위해 디자인된 놀이터 - 우주로 떠나는 여행 시리즈의  제작 과정 © Monstrum

북유럽의 놀이터 중에는 보통 우리가 상상하는 테마파크 수준의 퀄리티, 아니 그 이상을 보여주는 곳이 많다. 물론 북유럽의 모든 놀이터가 그런 것은 아니지만, 이 특화된 놀이터로 인해 그 지역 자체가 랜드마크가 되어 많은 사람들의 발길을 붙잡기도 하고 실제로 지역경제에 도움을 주기도 한다.


바로 이 혁신적인 문화 선도의 중심에 놀이터를 디자인하는 기업 몬스트럼 (Monstrum)이 있다. 덴마크의 수도 코펜하겐 근교에 본사를 두고 있는 이 회사는 2003년 설립된 이래로 전 세계 수많은 놀이터의 기획과 디자인을 주도해오고 있다. ‘놀이터 디자인 (Play ground design)’이라는 특별하고 독창적인 분야에 있어서 독보적인 존재감을 드러내며 그들만의 디자인 이야기를 만들어 가고 있는 Monstrum.  회사의 창업자이자 크리에이티브 디렉터인 Ole Barslund Nielsen을 만났다. 토크세션은 몬스트럼의 덴마크 본사에서 진행되었다.

Mostrum사의 창립자 Ole Barslund Nielsen과 함께

Monstrum이라는 회사에 대해 소개를 부탁한다

덴마크 출신의 Ole와 Christian, 두 사람이 만나 2003년 창립된 회사로 어린이를 위한 놀이터를 설계, 디자인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해오고 있다. 당시 5살 된 아들에게 직접 놀이공간을 만들어주기 위해 이 일을 시작하게 되었고, 실제로 우리의 첫 프로젝트는 아들이 다니던 유치원을 위한 놀이터 디자인이었다.


놀이터 디자인 (Playground design)이란 정확히 어떤 일인지 설명을 부탁한다

우리들이 잘 알고 있는 공간, 즉 아이들이 자유롭게 뛰어노는 ‘놀이터 (playground)라는 공간을 디자인하고 설계하는 일이다. 단순히 미끄럼틀이나 그네를 예쁘게 만드는 것이 아니라 그 놀이터 전체의 이야기 (story)를 구성하려 한다. 가령 성(castle)을 모티브로 한 미끄럼틀과 그 성을 향해 날아가는 독수리 형상의 구조물을 함께 구성하여 아이들로 하여금 다양한 상상력과 이야기를 만들어 낼 수 있도록 공간을 만드는 식이다. 바로 이러한 구성을 통해 아이들은 그들만의 창의력과 이야기를 만들어 내는 곳으로 재창조하게 되는 것이다.


‘놀이터 디자인' 만이 가지고 있는 독창적이고 특별한 점은 무엇이라 생각하는가

첨단의 시대를 살아가는 아이들에게 순수한 상상력과 창의력의 지속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본다. 아이들 뿐만 아니라 어른들도 함께 상상의 나래를 펴고 이야기에 같이 동참할 수 있도록이 하는 것도 아주 즐겁고 가치 있는 일이다. 놀이터라는 공간이 갖고 있는 특별함을 통해 남녀노소 누구나에게 더 많은 영감을 주고 그들만의 흥미로운 이야기를 만들어가길 바란다.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주로 어떻게 디자인 영감을 얻는가

디자인 팀원들은 다양한 배경을 가지고 있으며 또 다양한 그들만의 방식으로 아이디어를 표현한다. 건축분야뿐만 아니라 애니메이션, 카툰 등 어디서든 아이디어는 나오게 되어 있고 믿는다.


지금까지 프로젝트 중 가장 인상 깊었던 기억에 남는 것을 소개한다면

모든 프로젝트가 소중하지만, 최근 끝마친 레고 하우스 (LEGO House)의 놀이터 프로젝트가 기억에 남는다. 덴마크 빌룬드에 신축된 레고 하우스의 8군데 테라스에 각기 다른 콘셉트의 놀이터를 디자인한 대형 프로젝트였다. 덴마크에 방문할 기회가 있다면 꼭 가보기를 추천한다.

덴마크 빌룬드 레고 하우스에 지어진 8 개의 놀이터 프로젝트와 아이디어 전개과정 © Monstrum

앞으로의 놀이터 디자인 혹은 놀이터 문화는 어떻게 예측하는가

가급적이면 클래식 (classic) , 그러니까 전통을 고수하는 게 맞다고 본다. 첨단의 장비들과 센서로 무장한 시스템이 놀이터라는 공간에도 미래의 언젠가는 들어오겠지만 그것들은 빠르게 가치를 잃어버리고 싫증 날 것이다. 아이들은 순수하게 뛰어놀고, 경험하는 전통방식을 통해 상상력과 창의력을 얻게 되는 것이 아닐까.


아시아 혹은 한국의 놀이터 문화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

구체적으로 언급하기 어렵겠지만, 공간을 구성함에 있어서 너무 조심스러워 (careful) 하는 것 같다. 놀이터에서 일어날 수 있는 자연스러운 상황들, 즉 아이들이 뛰고, 넘어지고, 다치고, 또 일어서고 이러한 행동들에 대해 좀 더 관대해질 필요가 있어 보인다. 아이들은 또한 이러한 과정들을 통해 성장하게 된다고 믿기 때문이다. 때문에 푹신한 고무매트를 깔기보다는 나무나 모래, 흙 같은 자연에서 가져온 재료로 구성하는 것이 맞다.

덴마크 오덴세 동물원 내의 놀이터 디자인 프로젝트와 아이디어 스케치 과정  © Monstrum


놀이터 디자이너 (Playground designer)라는 분야는 아직 우리에게 생소하다. 이 분야에 전문가가 되려면 어떤 것을 갖추어야 하는가

아주 사소한 것에도 관심을 기울이는 호기심 있는 자세가 필요하고, 자신이 무엇을 즐기는지 스스로 알고 있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항상 아이들을 위해 배려하는 디자인 작업이 될 것이므로 그에 따른 섬세한 디테일과 상상력이 요구될 것이다


몬스트럼의 비젼은 무엇인가

지금까지 해온 것처럼 전 세계의 놀이터에 상상력과 이야기를 심어주고 싶다. 우리 회사는 별도로 광고를 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소셜미디어나 다양한 매체들, 그리고 사람들의 입소문을 통해 지금의 자리까지 왔다. 단순히 예쁜 놀이터보다는 이야기가 있는 공간을 만들려고 한 것이 큰 역할을 했다고 믿으며, 앞으로의 프로젝트에도 가장 중요한 핵심이 될 것이다.

덴마크 본사 내에 있는 워크숍 플레이스(Workshop). 실제 놀이기구들이 제작되는 공간이다.



본질 (本質)을 이야기한다는 것


그렇다. 결국에는 ‘이야기 (story)’인 것이다. 비단 디자인 분야뿐만 아니라, 우리 주변의 모든 매개체들을 둘러봐도 어떤 이야기를 들려주느냐에 우리들은 공감하고 끌리게 된다. 단순히 재미있는 미끄럼틀이나 그네를 디자인하는 것이 아니라 그 놀이터 전체가 가진 이야기를 만들어 가는 것이 바로 그것이다. 놀이터라는 공간에서 아이들은 선장이 되기도 하고 해적이 되기도 한다. 때로는 공주가 되어 성에서 파티를 열기도 하고, 고래를 잡으러 바다로 나가기도 한다. 아이들의 상상력에 엔진을 달아주는 스토리 디자인 (story design)의 완벽한 사례인 것이다.


각종 컴퓨터 게임이나, SNS 등 첨단 시대가 낳은 부속물들이 놀이터의 경쟁 상대가 되는 시대이다. 아이들은 점점 집 밖으로 나오질 않으려 한다. 하지만 아이들의 상상력과 창의력은 변하지 않는다. 아니 사라지지 않는다. 영원히 지속되어야 할 그들만의 특권이기도 하다. 우리는 빠르게 격변하는 시대에 살고 있으며, 주변의 모든 것은 변화에 변화를 거듭하고 사라지고 다시 태어나기를 반복한다. 새로운 기술과 첨단의 테크놀로지가 마치 홍수처럼 계속 넘어 들어온다. 하지만 변치 말아야 할 것, 지속되어야 하는 요소들은 반드시 존재한다.


본질 (本質. Essence)을 유지하며 첨단의 시대 흐름에 맞춰 간다는 것은 상당한 난제이기도 하지만, 반드시 지켜내야만 하는 하나의 사명과도 같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다면 놀이터라는 공간을 설계하고 디자인하는 행위는 아이들만의 순수한 본질을 지켜주는 상당한 책임감이 따르는 중책이라 할 수 있을 것 같다.


꿈, 희망, 도전, 소망 … 본질을 유지하며 변치 말아야 할 것들은 생각보다 많다.



ㅣ END ㅣ





글쓴이 : 조상우

현재 북유럽 스웨덴에서 산업 디자이너로 일하고 있습니다. 글을 기고하는 저널리스트로, 사진을 기록하는 포토그래퍼로, 그림그리는 일러스트 작가로도 활동하고 있습니다. 북유럽으로 향한 한국인 디자이너의 이야기를 담은 책, <디자인 천국에 간 디자이너 / 시공사> 를 출간했습니다.

https://bit.ly/2t8FKnY


개인 홈페이지

https://www.sangwoocho.com/




이전 02화 북유럽 전방위적 디자인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