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제이쉬 코치 Aug 27. 2023

생각도 모르면서 무슨 인생을 바꿔


"내 생각은 어떻게 내 생각이 되었을까요?"


이 질문에 명확히 대답할 수 있는 분은 

이 글을 읽지 않으셔도 괜찮습니다.


지금의 생각을 하게 된 과정과 

그 이유를 알면 [생각]으로부터 자유해질 겁니다.




우선 생각이 무엇인지부터 알아봅시다. 생각은 사실 굉장히 포괄적이고 중의적인 개념이죠. 생각이란 말 자체가 많은 뜻을 내포하고 있단 말이에요. 우리는 기억을 생각이라 부르기도 하고, 발상을 생각이라 부르기도 하고, 상상을 생각이라 부르기도 하고, 심지어 기분을 생각이라 부르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볼까요?


“(기억) 나 예전에 제주도로 여행갔던 생각이 났어.”

“(발상) 갑자기 좋은 생각이 떠올랐어.”

“(상상) 우리가 전원주택에 살게 되는 생각을 해봤어.”

“(느낌) 설레는 생각이야.”


이런 생각들이 문제가 되는 이유는 이 생각들이 곧 ‘나'라고 여기기 때문이죠. 하지만 이 모든 형태의 생각들이 ‘나'라고 할 수는 없어요. ‘나'는 생각보다 훨씬 광대한 무엇이거든요.


‘나’는 생각을 인식하는 존재예요. 그래서 ‘생각'을 곧 ‘나'라고 할 수 없는 거죠. 좋은 생각이 들었다고 해서 ‘좋은 생각'이 곧 ‘나'이지 않아요. 반대로, 나쁜 생각이 들었다고 해서 ‘나쁜 생각'이 곧 ‘나'이지 않고요. ‘나'는 그런 생각들을 인식하여 수용하거나 잠시 머물게 하다 떠나보낼 수 있는 존재죠.


이런 생각들이 어떻게 내 생각이 되어 ‘나'에게서 작동하는 걸까요?

생각의 작동은 크게 2가지 영향으로 나눠볼 수 있어요.


1. 기질

2. 사회화




선천적인 기질에 대한 이야기는 그 자체로 양이 방대하기 때문에 나중에 따로 다뤄보도록하고 이번에는 ‘사회화'라는 영향에 대해서 말씀드릴게요. 저는 자본주의 세계에서 돈이라는 요소보다 먼저 알아야 할 개념이 ‘사회화'라고 생각해요. 우리는 자본주의를 본격적으로 경험하기에 앞서 사회화를 경험하기 때문이죠.


사회화는 사람의 사고방식에 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해 자신의 재무적 가치까지 한정짓게 만들 수 있어요. 학창시절을 한 번 떠올려볼까요? 한 학급에 학생 수가 얼마나 됐었죠? 적은 학급은 10~20명이었을 거고, 많은 학급은 30~40명 정도였을 겁니다. 그 학급에서 수업을 진행할 때 선생님은 몇 명이었죠? 네, 1명이었겠죠.




생각해봅시다.


1명의 선생님이 30여명 가량의 학생들을 제대로 가르치는 일이 정말 가능한 걸까요? 우리는, ‘언어'로 교육을 받았을지 몰라도 ‘비언어'로 세뇌를 당했습니다. 한 명의 권위자(선생님)가 말을 할 때엔 조용히 순응해야 한다는 세뇌죠. 50분 동안 조용히 순응하고, 10분간 자유를 누릴 수 있었잖아요.


우리는 이걸 몇 년이나 반복했을까요? 초등학교 때부터 고등학교 때까지만 계산하더라도 12년입니다. 12년 동안 권위자에게 순응하는 세뇌를 당한 겁니다. 근현대 한국의 부인할 수 없는 사회화 체계죠.




학창시절에 이런 사회화 과정을 거치게 되면, 어떤 식으로 사고하게 될까요? 어떤 식으로 생각이 작동하게 될까요?


이런 학창시절을 보내고 나면 어른이 된 이후, 궁금한 게 있을 때 적극적으로 ‘질문'하는 사람이 될까요, 묻지 않고 순응하는 사람이 될까요? 잘못된 것을 고쳐서 개선하려는 사람이 될까요, 그저 순응하는 사람이 될까요? 생각에 대해 제대로 이해하고 ‘다른' 생각을 하고 싶다면 아토믹 트리거를 실천해보세요


아토믹 트리거를 배울 수 있는 전자책을 무료로 공개하였습니다.

아래 링크를 통해 다운로드 받아보세요 :)


https://jshecoach.com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