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박기현 Mar 15. 2018

영화 <1987>

데자뷔....

영화 <1987>

                                                                                                                                                                              2017년 마지막 영화 관람을 마치고 나온 지 몇 시간이 지났지만

엔딩 크레디트에 흐르는 노찾사의 그날이 오면이 아직도 귓가를 맴돈다.

영화는 대중을 상대로 하기에 당대를 반영하고 시류를 잘 담아내는 작품이  흥행하고 성공을 거둔다.

  <1987>은 지금 관객들이 무엇에 공감하고 뭘 원하는지 정확하게 아는 영화이다.

눈에 띄는 캐릭터도 무릎을 탁 하고 치며 감탄할 반전도 없으며 심지어 그 결말을 익히 아는데도 

이 작품이 갖고 있는 몰입도와 극적 긴장감은 여느 상업영화 못지않다.

 아마도 그 과정과 주체는 틀리지만 지난 최순실 국정농단으로 시작돼서 여전히 촛불 혁명을 수행 중인 

현재와  당시 어둡고 암울하던 영화 속 그때가 오버랩되기 때문이 아닐까?

지금도 완성된 것은 아니지만 1년 전 그때만 하더라도 현재 상황조차도 쉽게 상상할 수 없었다.

배는 나아가고 있지만 항해가 무조건  낙관적일 거라 볼 수 없는 상황. 

 그런 긴장 속에서 때론 희망으로 때론 절망 속에 통과해온 매일매일과 당시를 살았던 많은 사람들의 하루하루 기묘하게 일치하는 것 같은 느낌이었다.

 주인공이 없는 서사 구조

 누구 한 사람에게 감정을 이입할 수 없는ㅡ, 모든 걸 알고 있는 전지적 작가의 시점이지만

그럼에도 흥미진진한 건 관객이 지금의 우리이기 때문이 아닌가 싶다.

가끔 상품의 속성을 떠나 시대가 필요로 하는, 요구하는 소명을 가진 작품들이 있는데

 최근 개봉했던 <택시운전사>와 <1987>이 그 좋은 예가 아닌가 싶다.

칭찬할 점이 참 많은데 무엇보다 미장센이다. 시대를 재현하기 위해 정말 많은 노력을 한 거 같다. 

그리고 화려한 배역 진인만큼 개성이 드러날 만도 한데 뭐랄까 노련한 오케스트라의 지휘자처럼 누구 하나도 튀어 보이지 않게 절제와 조율을 잘 이뤄냈다. 장준환 감독의 연출력이 돋보이는 부분이다.

많은 배우들이 이 영화에 배역 비중과 관계없이 출연을 희망했다는데 그중 강동원의 캐스팅은 신의 한수이다.

조금 비약일 수 있는 부분을 아무 무리 없이 넘어가게 한다. 직접 보시면 이해가 가실 듯.

아 하나 더 김태리의 연기와 존재감은 정말 정말 최고다. 앞으로의 성장을 지켜볼만하다.

<1987>은 <화이> 이후  장준환 감독 4년 만의 신작이란다.

그의 차기작은 조금 더 빨리 볼 수 있게 되면 좋겠다.

이제 54분 남았다.  


                                                                                                                                                                                                                                                                                                                                                                               



작가의 이전글 브런치를 시작하며...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