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검은양 Jun 18. 2022

똑똑한데 사회성이 부족한 아이

Neurodivesity 신경 다양성

아래 문제를 읽고 바로 떠오르는 답을 말해보세요.




야구 방망이와 공의 가격의 합은 $1.10불이다. 야구 방망이의 가격은 공의 가격보다 $1.00 이 더 많다면 공은 얼마일까요?


.



.


.


.


.


.


.


.


.


.


.


.


.



.


위의 문제에 80% 이상의 사람들은 공의 가격을 0.10불 (혹은 10센트)라고 대답한다.


이 20%의 답을 안 하는 사람들은 자폐스펙트럼에 속하는 뇌를 소유한 사람들이다.




물론, 정답은 0.05불(5센트)이다.



슬쩍 훑어보고 결론을 도출할 수 있는 능력은 자폐를 갖은 사람에게는 어렵다. 그렇기에 그들은 천천히 뜯어보고 정확한 정답을 내놓는다.




미디어 속에서 보이는 자폐를 보면 말도 제대로 못 하던데 이런 수학 문제 정답을 맞혔다고 내가 자폐라고?라는 생각이 들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당신이 알고 있는 자폐에 대한 것은 잘못된 정보인 게 대부분일 것이다.




미디어 속에서 자주 보는 자폐인들은 언어가 어눌하고 지능이 낮거나 극단적으로 한 분야에만 특출하고 남에게 그다지 관심 없고 말투가 마치 로봇 같은 유형들이다.



하지만 지능발달 지연과 언어 지연이 없어 신경 전형적(Nerotypical /NT)처럼 보이는 자폐인들도 있다. 지능 발달 지연이 없는 자폐이고 지능이 NT보다 높은 영재인 경우들도 많아서 나이가 들수록 NT처럼 보이려고 마스킹(Masking, 가면 쓰기)을 익혀서 살아간다.



그 대표적인 인물은 일론 머스크이다. 그가 본인은 아스퍼거라고 했는데 심리학에서는 2013년에 은퇴한 표현이라 더 이상 미국에서는 아스퍼거 증후군이라고 진단하지 않고 아스퍼거 역시 자폐스펙트럼(ASD) 속한다. 현재 저기능 (low functioning) 자폐 혹은 고기능(high functioning) 자폐라는 표현도 잘 안 사용하는 추세이다. 사회적인 도움이 필요 정도에 따라 나누는데 자폐의 스펙트럼은 굉장히 넓다.



사이코지만 괜찮아 속 상태는 살아가는 데 도움이 많이 필요한 자폐이고,


그 반면 일론 머스크는 살아가는 데 도움이 거의 필요 없는 자폐이다.




한국에서는 지능 지연이나 언어 발달 지연이 없으면 자폐로 보지 않고 똑똑하지만 사회성이 떨어지는 아이들로 바라본다. 이런 아이들은 자라면서 그리고 어른이 된 후 '특이하다' 혹은 '괴짜'라는 말을 많이 듣게 된다. 물론, 그 과정에서 본인이 NT인 또래와 다른 것을 알고 스트레스를 받고 본인을 탓하게 되기도 하고 주변에서도 똑똑한 아이가 일부러 저런 행동을 한다고 오해를 하기도 한다. 그로 인해 받은 엄청난 스트레스로 어른이 된 후 고생하는 경우들도 많다.





아니, 갑자기 왜 자폐 이야기냐고 물어본다면,




나의 뇌가 안드로이드폰이라면 큰 아이의 뇌는 아이폰이라는 것을 최근 한 달이 넘는 다양한 검사와 상담을 통해 알게 되었다.(이 이야기는 다음에) 즉, 아이와 나는 비슷하게 보이지만 작동하는 방법이 다른 존재였다.





내 큰 아이는 Twice exceptional / 2e 아이이다.


영재이지만 뇌가 NT 들과 다르게 작동하는 뉴로 다이버전트(Neuro-divergent) 아이이다.


뉴로 다이버전트 안에는 자폐스펙트럼, ADHD, 난독증 등 다양하다.




미국은 2e관련 정보들이 그래도 있는데 한국은 거의 없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나의 아이와 비슷한 아이를 양육하는 누군가에게 도움이 되길 바라고 내 아이와 비슷한 아이가 마스킹하지 않고 스스로를 아끼며 살아가길 바라는 마음으로 앞으로 신경 다양성과 2e 관련 내가 배운 정보들을 공유하려고 한다.




오늘은 6월 18일은 신경 다양성 긍지의 날(Neurodiversity Pride Day)이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