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진수 Sep 01. 2021

#17. 다모이 준비된 창업 4단계 - 지식재산권 확보

다모이 이야기

이제 사업 추진을 하기 전, 지식재산권을 준비해야만 했습니다.


다행히 1998년 이후 20년 이상을 중소기업을 운영해 오면서 다양한 산업분야의 지식재산권을 출원해 왔던 거죠. 제품이나 서비스 개발 전에는 반드시 지식재산권부터 등록하는 것이 습관이 되어 있었죠.


보유 지식재산권 현황(김진수, 2019.04 기준)

‘많은 사람들이 기술과 재능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다른 기업에 기술을 빼앗기고, 도용을 당하며 힘 없는 창작자들이 기술 사업화에 실패하는 것을 얼마나 숱하게 보아 왔던가? 이번엔 절대 그렇게 만들지 않으리라’ 다짐, 또 다짐을 했습니다.


같은 창작자로서, 발명가로서, 기술자로서 그들의 재능으로 일자리 걱정에서 해방되는데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려는 것이 다모이의 설립 이념이자 가치이자 소임이기 때문이었죠. 그들이 지식재산권 확보에만 그치지 않고, 이를 활용하여 성공적인 기술 사업화까지 이르게 돕는 것이 바로 준비된 창업이라는 점을 다시 한번 다짐하였습니다.


이미 이 작업은 2019년 1월, 착한 부동산연구소와 합의를 하면서부터 준비를 해 오고 있었던 터였죠. 지금까지 기술창업, 기술사업화와 관련한 서적, 사업계획, 툭허 등을 총 망라하여 소요 비용은 착한 부동산연구소에서 부담하고, 관련된 지식재산권은 공동출원하기로 합의한 후 모든 지식을 지식재산화하였습니다.


우선적으로 한 일은 설계 중이었던 다모이 준비된 일자리 O2O 플랫폼과 관련한 특허 4건을 출원하였습니다.


뒤이어 착한부동산연구소와 다모이의 상표 4건를 출원하였죠.


또한 다모이 사업과 관련된 출판물들에 대해 저작권 16건을 등록하였습니다.


교육 교재에 따른 교육 영상도 착한부동산연구소 제작진의 도움을 얻어 제작하였습니다. 물론 이들은 저작권에도 포함시키지는 않았습니다. 강사(?)의 강의 Skill이 부족한 탓에 차마 공개하기가 부끄러웠던 것이 그 이유였죠. 아무튼 이미 다모이와 관련한 지식재산권은 총 24건이나 준비되어 있었습니다.


등록한 지식재산권 중 일례로 『동반성장형 O2O 기반 공유강의실 시스템』 특허출원 명세서의 내용을 소개합니다. 본 서에서 소개한 바와 같이, 특허명세서는 비즈니스 모델, 사업계획서 등과의 연계성을 가지면서 타 시스템과의 차별적인 특성을 반영하여야 하는 것입니다. 물론 특허의 경우 일반인에게는 공개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지만, 다모이의 기본적인 원칙인 “재능공유”와 다모이 사업의 본질을 알리기 위해 공개하기로 결정하고 이 글을 안내하는 바입니다.

 

【발명의 설명】

 

【발명의 명칭】

동반성장형 O2O 기반 공유강의실 시스템{Co-growth type Online-to-Offline based shared classroom system.}

 

【기술분야】

본 발명은 동반성장형 O2O 기반 공유강의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

최근 전자기기의 성능 발전과 통신 네트워크의 보급 확산에 따라, 네트워크를 통한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기 시장의 확대로 인해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시간,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언제든지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최근에는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O2O(Online to Offline) 서비스가 관심을 받고 있다. O2O 서비스는 종래의 오프라인 비즈니스와 인터넷, 모바일 기반의 온라인 비즈니스를 연계하는 서비스로 차량공유, 숙박 공유 등 일상 생활 서비스에서부터 의료, 교육, 법무 등 전문서비스까지 그 영역이 점차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온라인 학습(Electronic learning, E-Learning, 전자교육, 이러닝)은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여 언제(anytime), 어디서나(anywhere), 누구나(anyone) 원하는 수준별, 맞춤형 학습을 할 수 있는 체제이다. 특히 온라인 학습 서비스에 관한 사용자들의 관심이 증대됨에 따라 웹상에서는 특히 특정 콘텐츠의 온라인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이트들이 조명받고 있으며, 이러닝 시스템을 통해 어학을 학습하는 기술도 제안되고 있다(예컨대, 등록번호 제10-967555호 참조)

 

한편, 온라인 기반의 이러닝 시스템이 증가함에 따라 종래의 오프라인 교육산업이 상대적으로 침체되어 오프라인 기반의 교수, 강사 등 교육 관련 종사자의 취업율이 감소하고, 사설 학원 등 중소 교육기관의 폐업이 갈수록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KR20101415447

KR20101648782

KR20101924892

 

【발명의 내용】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오프라인 교육산업과 온라인 교육산업이 상생할 수 있는 동반성장형 O2O 기반 공유강의실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과제의 해결 수단】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동반성장형 O2O 기반 공유강의실 시스템은 관리자용 단말, 교육기관용 단말, 강사용 단말, 사용자용 단말과 연동하고,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 상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자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관리자 단말;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교육기관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교육기관용 단말;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강사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강사용 단말;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용 단말; 및 사용자관리, 역량진단, 교육과정관리, 콘텐츠관리, 수강관리, 과금관리, 교육기관관리 서비스 및 교육정보 빅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교육정보 빅데이터 정보를 이용하여 맞춤 교육정보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O2O 공유강의실 시스템을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관리 단계는 관리자, 교육기관 담당자, 강사, 수강생에 대한 개인정보를 입력받아 O2O 공유강의실 시스템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역량진단 단계는 강사가 사전에 등록한 역량진단 질문정보를 기초로 교육생이 사전 교육역량 진단을 실시하고 O2O 공유강의실 시스템에 저장하는 단계; 및 교육역량 진단 결과를 수강생 및 강사가 열람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교육과정 관리 단계는 강사가 교육과정 개요, 상세 교육과정 정보를 포함한 교육과정 정보를 O2O 공유강의실 시스템에 저장하고 관리자에 승인을 요청하는 단계; 및 관리자가 요청된 교육과정 정보를 확인하고 승인하는 단계; 및 사용자가 교육과정 정보를 열람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콘텐츠관리 단계는 강사가 교육에 필요한 교재, 과제물을 포함한 교육 콘텐츠를 생성하고 O2O 공유강의실 시스템에 저장하는 단계; 및 수강생이 교육 수강 과정에 포함된 과제물을 포함한 교육콘텐츠를 생성하고 O2O 공유강의실 시스템에 저장하는 단계; 및 강사 및 사용자가 교육콘텐츠의 내용을 열람 및 수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수강관리 단계는 수강생이 O2O 공유강의실 시스템에 등록된 교육과정 정보를 열람하고, 해당 교육과정에 수강신청하는 단계; 및 수강생이 수강신청 정보를 취소하는 단계; 및 강사가 수강신청 정보를 열람하는 단계; 및 강사가 O2O 공유강의실 시스템에 저장된 교육과정 정보 및 교육콘텐츠를 이용하여 교육과정을 진행하는 단계; 및 수강생이 교육과정을 수강하며 과제물을 제출하는 단계; 및 강사가 수강생이 제출한 과제물을 열람하고 평가하는 단계; 및 수강생이 교육과정 진행 단계별로 강사 및 교육과정에 대한 평가정보를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과금관리 단계는 수강생이 신청한 교육과정에 대한 비용을 결제하는 단계; 및 강사 및 수강생이 신청현황 정보를 열람하는 단계; 및 수강생이 결제를 완료한 수강신청건에 대한 취소나 환불을 요청하는 단계; 및 관리자가 수강생이 요청한 취소나 환불을 처리하는 단계; 및 수강생이 취소나 환불 결과를 열람하는 단계; 및 관리자나 강사나 교육기관이 사전에 합의한 수수료를 등록하는 단계; 및 관리자나 강사나 교육기관이 수수료 현황을 열람하는 단계; 및 관리자가 수강료, 취소, 환불, 수수료 등 입출금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교육기관관리 단계는 교육기관 담당자가 강의실 정보를 포함한 교육기관정보를 O2O 공유강의실 시스템에 등록하는 단계; 및 교육기관 담당자가 교육기관 등록을 요청하는 단계; 및 관리자가 요청된 교육기관에 대한 등록 혹은 취소 처리를 하는 단계; 및 교육기관 담당자가 교육기관 등록결과를 열람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O2O 공유강의실 시스템은 필요에 의해 외부시스템과 연계할 수 있다. 이 때 연계하는 외부시스템은 동영상 서비스, e-러닝 서비스, 포탈 서비스, 콘텐츠 서비스가 포함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을 통해 강의공간을 확보하고 있는 교육기관이 O2O 공유강의실 시스템에 등록된 강사정보를 이용하여 필요한 강사 및 교육과정을 확보하여 온라인, 오프라인 교육을 실시함으로써 강의공간 활용도를 높이고 교육 확대 실시를 통해 교육사업 수익을 확대할 수 있고, 강의 기회가 부족한 강사가 온라인, 오프라인 강의 기회를 확보함으로써 강의 수익을 확대할 수 있으며, 수강생은 시간, 지역에 구애받지 않고 언제든지 온라인, 오프라인 교육 수강을 할 수 있어 교육 기회를 확대할 수 있어 온라인 및 오프라인 교육 산업이 상생 발전함으로써 강사들의 취업률을 확대하고, 실업률을 줄이며, 교육기관의 폐업률을 줄일 수 있고, 국민의 교육 기회를 확대함으로써 교육 산업의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O2O 기반 공유강의실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O2O 기반 공유강의실 시스템의 기능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O2O 기반 공유강의실 시스템의 Level 0 단계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O2O 기반 공유강의실 시스템의 Level 1 단계 사용자관리 서브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O2O 기반 공유강의실 시스템의 Level 1 단계 역량진단관리 서브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O2O 기반 공유강의실 시스템의 Level 1 단계 교육과정관리 서브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O2O 기반 공유강의실 시스템의 Level 1 단계 콘텐츠 관리 서브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O2O 기반 공유강의실 시스템의 Level 1 단계 수강관리 서브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O2O 기반 공유강의실 시스템의 Level 1 단계 과금관리 서브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O2O 기반 공유강의실 시스템의 Level 1 단계 교육기관관리 서브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O2O 기반 공유강의실 시스템의 관리자용 서비스의 메뉴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O2O 기반 공유강의실 시스템의 수강생용 서비스의 메뉴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O2O 기반 공유강의실 시스템의 강사용 서비스의 메뉴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함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O2O 기반 공유강의실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동반성장형 O2O 기반 공유강의실 시스템은 관리자(1100)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관리자용 단말장치(2100), 교육기관(1200)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교육기관용 단말장치(2200), 강사(1300)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강사용 단말장치(2300), 사용자(1400)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용 단말장치 (2400), 동반성장형 O2O 기반 공유강의실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서버(3000), 외부에서 동반성장형 O2O 기반 공유강의실 시스템에 부가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연계하는 외부연계시스템(4000)으로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O2O 기반 공유강의실 시스템의 기능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동반성장형 O2O 기반 공유강의실 시스템의 사용자용 기능은 관리자용 시스템(2100), 교육기관용 시스템(2200), 강사용 시스템(2300), 수강생용 시스템(2400)으로 구성된다.


사용자용 시스템 및 외부연계시스템(4000)과 연동되어 동반성장형 O2O 기반 공유강의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시스템(3000)의 기능은 사용자관리(3100), 역량진단(3200), 교육과정 관리(3300), 콘텐츠관리(3400), 수강관리(3500), 과금관리(3600), 교육기관관리(3700)으로 구성된다.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시스템(3000)과 연동되는 외부연계시스템(4000)은 동영상 서비스(4100), e-러닝서비스(4200), 포털서비스(4300), 콘텐츠 서비스(4400)로 구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O2O 기반 공유강의실 시스템의 Level 0 단계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동반성장형 O2O 기반 공유강의실 시스템은 사용자관리(3100), 역량진단(3200), 교육과정 관리(3300), 콘텐츠관리(3400), 수강관리(3500), 과금관리(3600), 교육기관관리(3700)으로 구성된다.


사용자관리(3100)에서 생성되는 정보는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3100_D)에서 관리되고, 역량진단(3200)에서 생성되는 정보는 역량정보 데이터베이스(3200_D)에서 관리되고, 교육과정 관리(3300)에서 생성되는 정보는 교육과정정보 데이터베이스 (3300_D)에서 관리되고, 콘텐츠관리(3400)에서 생성되는 정보는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3400_D)에서 관리되고, 수강관리(3500)에서 생성되는 정보는 수강정보 데이터베이스(3500_D)에서 관리되고, 과금관리(3600)에서 생성되는 정보는 과금정보 데이터베이스(3600_D)에서 관리되고, , 교육기관관리(3700)에서 생성되는 정보는 교육기관정보 데이터베이스(3700_D)에서 관리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O2O 기반 공유강의실 시스템의 Level 1 단계 사용자관리 서브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O2O 기반 공유강의실 시스템의 Level 1 단계 사용자관리 서브시스템은 가입관리(3110), 강사관리(3120), 프로필 관리(3130)로 구성된다.


O2O 기반 공유강의실 시스템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로 등록되어 있어야 한다.


가입관리(3110)는 사용자 등록을 처리하는 기능으로 가입신청(3111), 로그인 (3112), 탈퇴신청(3113) 기능으로 구성되며 가입관리(3110)에서 관리되는 정보는 사용자정보(3110_D)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O2O 기반 공유강의실 시스템의 강사로 활동하기 위해서는 강사로 등록되어 있어야 한다. 강사관리(3120) 기능은 강사(1400) 등록업무를 처리하는 기능으로 강사(1400)가 강사등록요청(3121)을 하면 관리자(1100)가 등록된 강사정보를 확인한 후 강사등록확인(3122) 작업을 수행하며, 강사관리(3120)에서 관리되는 정보는 역할정보 데이터베이스(3120_D)에 저장된다,


강사(1300)가 교육기관(도1의 1200)이나 수강생(도 1의 1400)들에게 좋은 평판을 얻기 위해서는 상세한 프로필 정보를 등록해야 한다.


프로필관리(3130)는 강사의 프로필 정보를 관리하는 기능으로, 회사경력(3131), 자격증 정보(3132), 보유재능(3133), 보유지식재산권(3134), 수행 프로젝트(3135), 학력(3136) 정보를 관리하며, 개별 기능으로 관리되는 정보들은 경력정보 데이베이스(3130_D), 자격증정보 데이터베이스(3140_D), 재능정보 데이터베이스 (3150_D), 지식재산권 데이터베이스(3160_D), 프로젝트 정보 데이터베이스 (3170_D),학력정보 데이터베이스(3180_D)에 각각 저장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O2O 기반 공유강의실 시스템의 Level 1 단계 역량진단관리 서브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O2O 기반 공유강의실 시스템의 Level 1 단계 역량진단관리 서브시스템은 개별 교육과정 수강을 위해 사전에 사용자(1400)의 역량을 진단하기 위한 기능으로서 강사(1300)가 사전에 자가진단 설문정보를 등록하는 자가진단 관리 (3210)와 사용자가 자가진단을 실시하고 결과를 분석, 열람하는 자가진단 실시 (3220) 기능으로 구성된다.


자가진단 관리(3210)는 강사(1300)가 자가진단 프로그램을 등록(3211)하고, 개별 자가진단 질문을 등록(3212)한 후 개별 질문에 대한 답변이나 해답, 그리고 해설을 등록(3213)하는 기능으로 구성되며, 이들 정보들은 진단 프로그램 정보 데이터베이스(3210_D), 자가진단 질문 데이터베이스(3220_D), 자가진단 해답 데이터베이스 (3230_D), 자가진단 해설 데이터베이스(3240_D)에 각각 저장된다.


자가진단 실시(3220)는 사용자가 진단 프로그램 정보 데이터베이스(3210_D)에 저장된 자가진단 프로그램을 조회(3211) 및 선택하면, 자가진단 질문 데이터베이스 (3220_D)에 저장된 복수개의 질문에 대한 답변을 차례대로 등록하며, 이에 대한 결과는 자가진단 해답 데이터베이스(3230_D)와의 비교를 통해 자가진단 답변 데이터베이스(3250_D)에 저장된다. 사용자(1400)는 본인이 수행한 자가진단 결과를 언제든지 조회(3223) 가능하며, 강사(1300) 등 다른 사람들에게 본인의 역량 자가진단 결과를 공유(3224)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O2O 기반 공유강의실 시스템의 Level 1 단계 교육과정관리 서브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O2O 기반 공유강의실 시스템의 Level 1 단계 교육과정관리 서브시스템은 강사 (1300)가 교육과정 진행에 필요한 모든 정보를 등록, 수정, 관리하고, 관리자(1100)에 의해 최종적으로 확정하는 기능으로, 교육과정 등록(3310), 교육과정 등록 확인(3320), 교육 기수 개설(3330) 기능으로 구성된다.


교육과정 등록(3310) 기능을 통해 강사는 개설 대상 교육과정에 대한 기본정보를 등록(3311)하고, 교육 과정 수강 전에 필요한 선수과정을 등록(3312)할 수 있으며, 개별 교육과정에 대한 상세 교육과정을 등록(3313)하고, 교육에 필요한 교재, 동영상 등 교육 콘텐츠를 등록(3314)하고, 필요시 개별 교육과정별 과제물을 등록(3315)하고, 상세 교육과정별 평가정보를 등록(3316)한다. 개별 기능을 통해 생성되는 정보들을 교육과정 정보 데이터베이스(3310_D), 과정간 관계정보 데이터베이스(3320_D), 과정 상세정보 데이터베이스(3330_D), 교육 콘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3340_D), 과제물 정보 데이터베이스(3350_D), 평가정보 데이터베이스(3360_D)에 각각 저장된다.


강사(1300)는 교육과정 및 상세 교육과정에 대한 등록을 마친 후 관리자(1100)에 교육과정 등록을 요청(3321)하고, 관리자(1100)는 요청된 교육과정정보를 확인한 후 등록을 확인(3322)한다.


일단 교육과정과 상세 교육과정이 등록되면, 교육과정 개설을 위한 교육기수 개설(3330)과정을 거쳐야 한다.


교육과정 개설을 위해 강사(1300)는 사전에 등록된 교육과정을 복사(3331)한 후 교육유형, 수강료, 교육장소 등 필요한 정보를 수정한 후 관리자(1100)에 교육기수 등록을 요청(3332)한다. 이 때 교육과정은 사전에 등록된 교육기관의 강의실을 이용한 오프라인 교육과정 혹은 온라인 교육 과정으로 개설할 수 있다.


관리자(1100)는 교육 기수 등록요청 정보를 확인한 후 최종적으로 등록확인(3330)을 수행한다. 이 때 개설되는 교육과정에 대한 정보는 기존의 교육과정관리 서브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와 교육기수정보 데이터베이스(3370_D)에 각각 저장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O2O 기반 공유강의실 시스템의 Level 1 단계 콘텐츠 관리 서브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O2O 기반 공유강의실 시스템의 Level 1 단계 콘텐츠 관리 서브시스템은 콘텐츠 등록(3410) 기능과 콘텐츠 열람(3420) 기능으로 구성된다.


콘텐츠 등록(3410) 기능을 통해 강사(1300)는 교육에 필요한 각종 콘텐츠를 등록(3411)하거나 수정(3412), 삭제(3413)할 수 있으며, 콘텐츠 정보들은 콘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3410_D)에 저장된다.


콘텐츠 열람(3420) 기능을 통해 수강생(1400)은 등록된 교육 콘텐츠 목록을 조회(3421)하거나, 상세 교육콘텐츠 정보를 조회(3422)할 수 있으며, 개별 콘텐츠에 대한 평가(3423)정보를 등록하며, 평가결과는 콘텐츠 평가정보 데이터베이스(3420_D)에 저장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O2O 기반 공유강의실 시스템의 Level 1 단계 수강관리 서브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8을 참고하면, O2O 기반 공유강의실 시스템의 Level 1 단계 수강관리 서브시스템은 방문객(1410)을 위한 교육과정 조회(3510), 수강 신청(3520), 교육 진행관리 (3530)으로 구성된다.


교육과정 조회(3510) 기능을 통해 O2O 기반 공유강의실 시스템에 등록하지 않은 일반 방문객(1410)들이 시스템에 등록된 교육과정 및 제반 정보들을 조회(3511)하거나 교육 콘텐츠를 조회(3512)할 수 있다.


수강신청(3520)기능을 통해 O2O 기반 공유강의실 시스템에 등록된 사용자(1420)들은 수강 신청(3521)을 할 수 있으며, 신청 내역을 확인(3522)할 수 있다. 수강 신청 정보는 수강신청정보 데이터베이스(3510_D)에 저장된다.


교육 진행관리(3530) 기능은 수강생(1420), 강사(1300), 관리자(1100)를 위한 기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수강신청 현황을 조회(3531)하거나, 출석 확인(3532), 교육과정 참가(3533), 과제물 제출 및 조회(3534), 그리고 수강생(1420)과 강사(1300)가 과정을 평가(3535)하는 기능으로 구성된다.


수강관리 서브시스템에서 관리되는 정보들은 교육과정 정보 데이터베아스(3520_D), 과정간 관계정보 데이터베이스(3530_D), 과정 상세정보 데이터베이스(3540_D), 교육 콘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3550_D), 과제물 정보 데이터베이스(3560_D), 평가 정보(3570_D)에 각각 저장되고 관리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O2O 기반 공유강의실 시스템의 Level 1 단계 과금관리 서브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O2O 기반 공유강의실 시스템의 Level 1 단계 과금관리 서브시스템은 결제관리(3610), 취소/환불 관리(3620), 수수료관리(3630) 기능으로 구성된다.


결제관리(3610) 기능을 통해 수강생(1400)이 수강을 신청(3611)한 후 교육비를 결제(3612)할 수 있으며, 결제정보를 포함한 수강신청 현황을 조회(3613)할 수 있다. 수강 신청 및 결제정보는 수강신청정보 데이터베이스(3610_D)와 결제정보 데이터베이스(3620)에 각각 저장된다.


취소/환불관리(3620) 기능을 통해 수강생(1400)은 수강 신청을 취소 혹은 환불을 요청(3621)할 수 있으며, 관리자(1100)는 요청된 취소/환불에 대한 처리(3623)를 수행하고 취소/환불 결과를 조회(3622)할 수 있다. 취소/환불관리 정보는 수강신청정보 데이터베이스(3610_D)와 결제정보 데이터베이스(3620)에 각각 저장된다.


수수료 관리(3630) 기능은 강사(1300), 교육기관(1200)이 사전에 합의된 기준에 따라 수수료를 지급하고, 입출금 관리 및 조회기능을 포함한다.


수수료 관리(3630) 기능을 통해 관리자는 수강비 수익에 대해 강사(1300)와 교육기관(1200)에 대해 수수료 지급정보를 등록(3631)하고, 수수료 현황을 조회(3632)할 수 있으며, 관리자(1100)는 수수료 지급, 취소/환불에 따른 입출금 정보를 등록하거나 조회(3633)할 수 있다. 수수료 관리 정보는 수수료 정보 데이터베이스 (3630_D)에 저장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O2O 기반 공유강의실 시스템의 Level 1 단계 교육기관관리 서브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0에 따르면, O2O 기반 공유강의실 시스템의 Level 1 단계 교육기관관리 서브시스템은 교육기관 담당자를 위한 사용자 관리(3110), 교육기관 등록요청관리 (3710), 교육기관 상세정보관리(3720) 기능으로 구성된다.


사용자 관리(3110) 기능은 상기 도 4에서 기술한 사용자 관리기능과 동일한 기능이다.


교육기관 담당자(1200)는 교육기관 상세정보관리(3720) 기능을 통해 교육기관 사업자 정보(3721), 기관 인증 정보(3722), 재무, 교육실적 등 교육기관 실적정보 (3723), 확보 중인 교육장 정보(3724), 보유 강사정보(3725), 운영중인 교육과정 정보(3726)들을 등록한다. 교육기관 상세정보관리(3720) 기능을 통해 생성되는 정보들을 사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3720_D), 인증정보 데이터베이스(3730_D), 실적 정보 데이터베이스(3740_D), 교육장 정보(3750_D), 강사정보(3760_D), 교육과정 정보(3770_D)에 각각 저장된다.


교육기관 담당자(1200)가 교육기관에 대한 상세정보를 등록한 후에는 관리자(1100)에게 교육기관 등록을 요청(3711)하게 되고, 관리자(1100)는 교육기관 상세정보를 확인한 후 교육기관 등록 확인 처리(3712)를 한다. 교육기관 등록요◎ 및 확인정보는 교육기관 등록정보 데이터베이스(3710_D)에 저장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O2O 기반 공유강의실 시스템의 관리자용 서비스의 메뉴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1을 참고하면, O2O 기반 공유강의실 시스템 관리자(도 1의 1100)는 관리자용 단말장치(도 1의 2100)를 통해 관리자용 시스템(도 2의 2100)을 이용할 수 있으며, 


도 11에서 제시하는 예시와 같은 관리자용 기능들로 메뉴들을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반성장형 O2O 기반 공유강의실 시스템에서는 상기에 기술한 메뉴들을 게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본질에 벗어나지 않는 한 다른 기능들로 구성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O2O 기반 공유강의실 시스템의 수강생용 서비스의 메뉴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2을 참고하면, O2O 기반 공유강의실 시스템의 수강생(도 1의 1400)는 수강생용 단말장치(도 1의 2400)를 통해 수강생용 시스템(도 2의 2400)을 이용할 수 있으며.


도 12에서 제시하는 예시와 같은 수강생용 기능들로 메뉴들을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반성장형 O2O 기반 공유강의실 시스템에서는 상기에 기술한 메뉴들을 게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본질에 벗어나지 않는 한 다른 기능들로 구성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O2O 기반 공유강의실 시스템의 강사용 서비스의 메뉴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3을 참고하면, O2O 기반 공유강의실 시스템의 강사(도 1의 1300)는 강사용 단말장치(도 1의 2400)를 통해 강사용 시스템(도 2의 2300)을 이용할 수 있으며. 도 13에서 제시하는 예시와 같은 강사용 기능들로 메뉴들을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반성장형 O2O 기반 공유강의실 시스템에서는 상기에 기술한 메뉴들을 게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본질에 벗어나지 않는 한 다른 기능들로 구성할 수 있다.


【요약서】


【요약】

동반성장형 O2O 기반 공유강의실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최근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O2O(Online to Offline) 서비스가 관심을 받고 있다. O2O 서비스는 종래의 오프라인 비즈니스와 인터넷, 모바일 기반의 온라인 비즈니스를 연계하는 서비스로 차량공유, 숙박 공유 등 일상 생활 서비스에서부터 의료, 교육, 법무 등 전문서비스까지 그 영역이 점차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온라인 학습(Electronic learning, E-Learning, 전자교육, 이러닝)은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여 언제(anytime), 어디서나(anywhere), 누구나(anyone) 원하는 수준별, 맞춤형 학습을 할 수 있는 체제이다.


한편, 온라인 기반의 이러닝 시스템이 증가함에 따라 종래의 오프라인 교육산업이 상대적으로 침체되어 오프라인 기반의 교수, 강사 등 교육 관련 종사자의 취업율이 감소하고, 사설 학원 등 중소 교육기관의 폐업이 갈수록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본 발명은 O2O 공유강의실 시스템 관리자, 교육기관, 강사, 수강생들이 온라인, 오프라인 교육과정을 이용하기 위해 사용자관리, 역량진단, 교육과정 관리, 콘텐츠관리, 수강관리, 과금관리, 교육기관 관리 기능을 갖춘 O2O 공유강의실 시스템 이용을 통해 강의공간을 확보하고 있는 교육기관이 O2O 공유강의실 시스템에 등록된 강사정보를 이용하여 필요한 강사 및 교육과정을 확보하여 온라인, 오프라인 교육을 실시함으로써 강의공간 활용도를 높이고 교육 확대 실시를 통해 교육사업 수익을 확대할 수 있고, 강의 기회가 부족한 강사가 온라인, 오프라인 강의 기회를 확보함으로써 강의 수익을 확대할 수 있으며, 수강생은 시간, 지역에 구애받지 않고 언제든지 온라인, 오프라인 교육 수강을 할 수 있어 교육 기회를 확대할 수 있어 온라인 및 오프라인 교육 산업이 상생 발전함으로써 강사들의 취업률을 확대하고, 실업률을 줄이며, 교육기관의 폐업률을 줄일 수 있고, 국민의 교육 기회를 확대함으로써 교육 산업의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대표도】

 

O2O 기반 공유강의실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

【도면】


【도 1】

O2O 기반 공유강의실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

 【도 2】

 

O2O 기반 공유강의실 시스템의 기능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

【도 3】

 

O2O 기반 공유강의실 시스템의 Level 0 단계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

【도 4】

O2O 기반 공유강의실 시스템의 Level 1 단계 사용자관리 서브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

 

【도 5】

 

O2O 기반 공유강의실 시스템의 Level 1 단계 역량진단관리 서브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

【도 6】

 

O2O 기반 공유강의실 시스템의 Level 1 단계 교육과정관리 서브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

【도 7】

 

O2O 기반 공유강의실 시스템의 Level 1 단계 콘텐츠 관리 서브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


【도 8】


 

O2O 기반 공유강의실 시스템의 Level 1 단계 수강관리 서브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


【도 9】

O2O 기반 공유강의실 시스템의 Level 1 단계 과금관리 서브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

 

【도 10】

 

O2O 기반 공유강의실 시스템의 Level 1 단계 교육기관관리 서브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

【도 11】

 

O2O 기반 공유강의실 시스템의 관리자용 서비스의 메뉴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12】

O2O 기반 공유강의실 시스템의 수강생용 서비스의 메뉴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13】

O2O 기반 공유강의실 시스템의 강사용 서비스의 메뉴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작가의 이전글 #16. 다모이 준비된 창업 3단계 - 비즈니스 모델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