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전귀자씨 Dec 01. 2022

매번 서툰 조문

조문 가서 가장 힘든 순간을 꼽으라면 상주와 맞절한 직후다. 문자로는 익숙한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를 막상 소리 내 전달하려고 하면 그게 그렇게 어려울 수 없다. 장례식장에 들어설 때마다 속으로 수차례 연습하는데, 제대로 해낸 적이 없다.


최근 지인이 부친상을 당했다. 그를 함께 아는 친구와 동행했다. 두 사내가 나란히 영정 앞에 섰으나 쭈뼛대며 물러나는 건 이번에도 마찬가지였다. 꿀 먹은 벙어리 신세는 친구도 다를 바 없었다. 적당한 위로의 언어가 입에 달라붙는 날이 올까.


서툰 조문을 마치고 옆방 테이블에 앉았다. 친구가 두 살배기 딸에 관해 이야기하고 있을 때 상주인 지인이 우리 자리로 왔다. 친구는 딸 이야기를, 지인은 아버지 이야기를 번갈아가며 했다.


막 새 생명을 얻은 문상객과 막 식구를 잃은 상주 사이에 앉아 잘 키워내야 함과 잘 떠나보내야 함에 관한 싱거운 대화를 이어갔다. 죽음의 허우룩함이 빚은 장례식장 특유의 기운 앞에선 어떤 대화도 겉돌았다.


기차 시간에 맞춰 일어났다. 빈소를 나서며 영정 속 고인을 한 번 더 쳐다봤다. 발걸음을 옮기며 옆 빈소 영정도 관찰했다. 거창할 필요 없지만 각자 인생만큼은 잘 살아내라고, 영정 속 고인들이 같은 말을 건넸다.


매거진의 이전글 내가 너무도 많은데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