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논문 Apr 19. 2017

논문작성법
1. 논문작성 해야만 하는가?

논문 작성을 위한 배경 개념

과학적 연구, 논문의 의의            

과학의 목적  

본 글에서 과학은 “지식 찾기(having knowledge)"라고 압축할 수 있다. 즉 구체적인 절차와 방법이 더욱 중요한 개념으로 볼 수 있다. 친절하게 ‘과학적 방법론’이라는 표현을 하지 않더라도, 과학이란 개념은 이미 방법과 과정을 내포하고 있다. 조금 더 구체적으로 과학을 설명한다면, 증거와 논거로써 사회현상을 포함한 자연세계에 대한 지식을 축적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바꾸어 말하면, 과학의 목적은 자연현상이 왜, 그리고 어떻게 일어나는지 설명하는데 있다. 과학, 혹은 과학적 사고의시작은 이러한 질문에서 시작한다고 볼 수 있다. 과학은 고유한 체계를 가지고 있는데, 분야별, 범위별, 내용별, 방법론별 지식의 누적이 위대한 과학적 진보를 이끌어 내기 때문이다. 역설적으로, 아무리 사소한 과학적 지식이라고 하더라도, 매우 중요한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때문에 과학적 진보는 대개 작은 증거들이 조금씩 쌓여 일어난다. 이러한 흐름에 의해 과학적 접근은 귀납적인 논리구조를 갖는 경향이 있다.      


과학의 목적을 지식 찾기라 인정한다면, 과학의 개념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할 수 있다. 즉, 지식의 범주에서 보편적으로 이해되고 설명될 수 있는 개념의 발견 및 그 증거(참이거나 거짓)에 대한 발견이 과학의 직접적인 목표라고 할 수 있다. 과학에서 일반적으로 지식이라 함은 이론이나 법칙을 의미하는데, 과학적 이론이란 현상을 설명하고 예측할 목적으로 변수간의 관계를 기술함으로써 현상에 대한 체계적인 설명을 시도하는 것이다. 이는 곧 현상에 대한 대처와 활용 가능성을 높여주는 기능을 가진다. 세부적인 현대적 과학의 목표는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첫째, 과학은 이론을 연구대상으로 한다. 즉, 가치관이나 철학을 연구대상으로 하지 않는다. 즉, 과학은 존재(what is)하는 것에만 관심을 가지며, 가치관이 개입된 ‘당위(what should be)'dp 대해서는 관심을 갖지 않는다.

둘째, 과학은 변수를 사이의 관계를 기술하고 설명하는 목적을 가진다. 즉, 과학은 변수들 사이의 관계를 정립하고 이에 의해 설명되는 현상에 대한 체계적 관점을 제공함으로써 현상을 있는 그대로 이해하게 도와준다.

셋째, 과학은 규칙성을 발견하는데 목적을 둔다. 즉, 과학은 자연이나 사회현상 속에 존재하는 논리적이고 지속적인 경향을 찾아 알리고자 한다. 현상을 관찰하고 이해하며 규칙성을 발견하고 설명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인과성을 밝히는 것을 매우 중요한 과제로 정의하고 있다.

넷째, 과학은 이론을 바탕으로 현상을 예측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는 관찰되고 설명된 결과에서 예측 가능한 미래를 확인하려는 목적을 가진다.              


연구의 개념

논문이 작성되는 과정은 과학의 한 영역이다. 주로 과학적 방법에 의존하여 어떤 대상에 대한 해석과 분석을 실시하는 것을 연구라 지칭한다. 연구의 사전적 의미는 “어떤 일이나 사물에 대하여 깊이 있게 조사하고 생각하여 진리를 따져보는 일”이다(국립국어연구원, 1999). 영어로는 ‘research' 즉 ’re-search' 재 탐색을 의미하고 있다. 그러므로 연구는 항상 새로운 개념을 구성하거나 세상에 없던 새로운 의미를 창출하는 활동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어떤 대상에 대하여 연구자가 깊이 있고, 논리적인 방법에 의해 탐구한다면, 이를 연구, 혹은 연구 활동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즉, 연구는 실제적인 사실이던, 이론적인 것이든 의문(question)이나 문제(problem)를 연구 문제(research problem)로 정의하고 해답을 얻는 과정을 뜻한다고 볼 수 있다. 다시 말해 연구는 의문이나 문제를 해결하거나 이를 위해 지식을 추구하는 과정으로 간주할 수 있다. 따라서 연구는 특정한 문제에 대해 의문을 갖는데서 시작된다고 볼 수 있으며, 그 문제에 대한 잠정적인 해답을 제시한 후, 그 해답의 진위를 검증하는 일련의 과정을 거치게 되다(남궁근, 2003).


연구를 통해 지식을 추구하는 방법은 다양한 방법이 존재한다. Charles Pierce*에 의하면 몇 가지 범주로 나누어 연구방법을 설명하고 있는데, (1)전통에 의한 방법 (2)권위에 의한 방법 (3)직관에 의한 방법 (4)과학에 의한 방법이 있다(Kerlinger, 1986. 재인용). 이 중에서 본 서가 논하는 것은 과학에 의한 방법이다. 전통적 과학관은 과학을 ‘지식의 체계적인 집합체(a systemic body of knowledge)'라고 보는 실체설에 근거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현대적 과학관은 과학을 '탐구의 한 과정(a process of inquiry)'으로 보는 성향이 강해졌다. 과정설에 입각한 과학은 (1)질문에 대한 답을 구하는 절차, (2)문제를 해결하는 절차 (3)질문에 대한 답을 구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더 효과적인 절차를 구하는 방법으로 이해되고 있다(Singleton, etc., 1988).          

논문 작성의 의미

논문의 시작은 과학적 사고에서 시작된다. 과학이란 자연과 사회에 대한 이해와 발전을 위한 인간사고 방식을 의미한다. 원론적으로 인간행동의 배경은 과학적이지 않은 것이 없겠지만, 인간이 설명하고 정의하는 만큼만 과학으로 설명될 수 있다. 즉, 일반적으로 이용하는 과학이란 영어로 ‘science'이며 이는 라틴어 ’scire(알다)'에서 유래된 ‘scientia’에서 온 것이다. 국립국어원(1999)은 과학을 “보편적인 진리나 법칙의 발견을 목적으로 한 체계적인 지식”이라고 하여 ‘지식을 습득하고 탐구하는 방법(a method of inquiry)'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과학을 추구하는 사람을 중심으로 볼 때, 과학은 “의문이나 문제의 해결 혹은 특정한 지식획득의 과정”을 의미(남궁근, 2003)하기도 하고, “해결 가능한 문제를 과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이론을 도출하는 과정”을 의미하기도 한다(채서일, 2006). 이러한 관점을 따르면 지식은 과학과 일정부분 동일한 의미범주를 가진다. 다만, 과학이란 과정과 방법에 중심이 있으며, 지식은 그 결과물로써 설명될 수 있다. 또한 과학적 방법이란 기록과 보존, 전파를 염두 해 두어야 한다.

과학의 목적은 인간에게 지식을 전파하여 그 만큼의 자유를 주는데 목적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과학적 방법론의 대표적인 기록물이 논문이라고 볼 수 있다.  학위를 수여받기 위한 절차 정도로 볼 수도 있겠지만, 과학적 문제 해결 과정을 논리적으로 기록한 결과물이 논문이다. 다시 연구의 대상이 되고 보존의 대상이 되기도 하며, 사회를 바꾸는 힘과 근거가 될 수도 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Charles Sanders Peirce 는 1839년 메사추세스 출생하여  Haevard 대학을 졸업하고, Johns Hopkins 대학에서 논리학, 수학, 통계, 철학, 심리학, 경제, 언어학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한 선도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남궁근(2003). 행정조사방법론(제3판). 법문사.

채서일(2006). 마케팅조사론(제3판). 비앤엠북스.

Kerlinger, F.N. (1986). Foundations of behavioral research (3rd. ed.). Fort Worth, TX: Holt, Rinehart, and Winston.

Singleton, Royce, etc., Straits, Bruce, Straits, Margaret M., McAllister, Ronald J.(1988).  Approaches to Social Research. Published by Oxford University Press, USA.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