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박수진 Mar 20. 2023

듀스 3집 < Force Deux >

부딪히고, 절망하고, 사랑하라. 영원히 젊은 음악

K팝과 함께 힙합이 주류 음악의 대표 장르로 올라온 오늘날, 그 시작엔 듀스가 있었다. 때는 바야흐로 1990년대 록 진영에 송골매, 산울림, 들국화가, 가요엔 조용필이 각축전을 벌이던 그 시절 듀스는 서태지와 아이들만큼은 아니었지만 개성 있는 노래와 패션으로 음악계의 지각 변동을 일으켰다. 이름하여 정통 힙합. 듀스가 하던 음악이다. 서태지가 백인 음악인 록과 흑인 음악인 힙합에 댄스를 겸해 ‘문화 대통령’이 됐다면 듀스는 정확히 한 개의 노선만을 탔다. 장르를 혼용하지 않았고, ‘흑인 음악’에 좌표를 찍어 그 자체를 한국화, 현지화했다.


이 작품에는 그런 듀스의 정수가 아주 매끈하게 담겨 있다. 당시 미국에서 유행하던 ‘뉴 잭 스윙(new jack swing, 리듬앤블루스에 힙합을 섞은 장르)’을 끌어와 ‘나를 돌아봐’가 담긴 1집 < Deux >, ‘여름 안에서’로 대표되는 2.5집 < Rhythm Light Beat Black >을 만들며 매 음반 성장을 거듭했지만 미흡한 랩 실력, 어딘가 성긴 노래의 응집력 등이 작품의 걸림돌이 됐다. 이 앨범은 달랐다. 서양의 사운드를 옮겨온 작법에 한국인이 호응할 댄스를 녹였고, 가사는 탁월했다. ‘한국어로는 랩 하기가 힘들다’라는 선입견이 듀스와 함께, 이 음반으로 완벽하게 부서졌다. 


‘zoom zoom zoom 나를나를 구해줘,

boom boom boom 가슴이 터질 것 같아’


록킹한 보컬이 돋보이는 ‘의식혼란’의 일부분이다. 영어 단어 줌(zoom)과 붐(boom) 발음의 유사성을 활용해 라임을 짰다. 1990년대 어디에도 이 정도로 획기적인 단어의 활용과 가사는 없었다



멤버 이현도의 역할이 컸다. 훗날 바비 브라운을 비롯한 뉴잭스윙의 몇몇 대표곡을 의도적으로 차용한 것 아니냐는 논란에 휩싸이긴 했지만, 그럼에도 그의 실력은 대단했다. 가져오되 가져만 오지는 않았다. 데뷔 음반의 ‘나를 돌아봐’와 이 작품의 대표곡 ‘굴레를 벗어나’를 교차해 들어보자. 분명 뒤쪽의 노래에서 더욱 매력적인 드럼 사운드와 펑키한 리듬 등을 발견할 수 있겠지만, 중요한 건 두 곡 모두 귀에 훅훅 걸리다 못해 온 몸을 반응하게 하는 신나는 ‘땐스 무드’를 장착했다는 사실이다. 이현도는 서양의 사운드를 이질감 없이 한국인에게 이식한 첫 번째 주자였다. 


이현도가 음악을 제공했다면 故 김성재는 이를 장르로 만들었다. 어려서부터 여러 나라를 돌며 생활해온 김성재 표 패션 감각과 곡 소화력은 듀스를 살아있게 했다. 지금 젊은이들이 그 시절 김성재의 모습을 보면 아주 짧게 머리를 자르고 큼지막한 귀걸이를 하고 싶어 할지도 모르겠다. 요새 말로 그만큼 ‘힙’하고 ‘쿨’했다. 랩까지 잘했다. 일명 ‘삐끼삐끼’하는 턴테이블 스크래치 소리가 인상적인 ‘Nothing but a party’ 속 김성재의 목소리는 갇히지 않는다. 느끼는 대로 거칠게 포효하고 재지 않고 긁어댄다. 그는 외적으로든 내적으로든 음악을 표현할 줄 알았다.



죽마고우이자 춤꾼 두 명이 만나 탄생한 ‘듀스’는 그렇게 둘만의 영역을 확장해 대중을 사로잡았다. ‘랩’이라는 공통된 장르로 인해 자주 같이 인용되는 서태지(와 아이들)이 ‘난 알아요’, ‘환상 속의 그대’, ‘하여가’ 등의 사랑 노래와 반항적인 가사로 일대의 파란을 일으키던 이때, 듀스는 서태지의 아류가 아닌 또 하나의 독자적인 듀스만의 장르로 ‘대중’ 마음을 녹였다. 흑인 음악을 가져왔지만 힙합을 사랑하는 소수가 아닌, 대중의 너른 사랑을 산 것 역시 듀스가 한국에서 이륙한 또 하나의 결실이다.


이들이 끝없이 젊었기 때문이라고 본다. 듀스는 열정적으로 춤을 추는가 하면 부딪히고, 절망하는 감정을 숨기지 않는 그룹이었다. 후발 주자긴 했지만 비슷하게 정통 흑인 음악을 하던 솔리드가 사랑만을 글감으로 내세웠다면 듀스는 사랑도 했고 상처도 입는, 당대 자신들을 모습을 음악 안에 생생하게 투영했다. 근사한 관악기가 귀를 즐겁게 하는 재지한 힙합 곡 ‘반추’는 삶의 방향을 고민하는 청년의 고뇌가 담겨 있고, ‘Message’는 연예계 생활에 지친 이현도의 모습이 선명히 비춰지는가 하면, ‘다투고 난 뒤’, ‘사랑하는 이에게’에는 낭만적인 사랑이 흘러넘치는 식이다.


 2년 동안 3장의 음반을 발매하며 왕성한 활동을 보여주던 이들은 이 음반을 끝으로 돌연 해체했다. 이후 행보는 솔로 활동의 기지개를 켜려던 김성재의 사망과 그로 인해 더 이상 역사를 쓸 수 없게 된 듀스의 마침표다. 듀스의 젊은 가락은 그렇게 급제동이 걸렸다. 이들이 데뷔한 1993년부터 2023년까지 딱 30년의 세월이 흘렀다. 그사이 힙합은 주류가 됐고, 듀스 음악은 여전히 어딘 선가 누군가를 춤추게 한다. 그들 덕에 1990년대 음악씬은 힙합을 배웠다. 또 듀스 덕에 힙합은 조금 더 빨리 한국에 자리 잡았다. 녹슬지 않는 젊음. 그곳에 듀스가 영원히, 있다.
 
전문 : 

https://omn.kr/22uol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