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노신화 Dec 01. 2023

한때는 내가 부끄러웠었어


  일곱 살 로운이가 유치원 원복을 벗고 내복 차림으로 거울 앞에 섰다. 시선을 거울에 고정한 채 양 손바닥으로 자기 배를 번갈아 쓸어내리며 다소 못마땅한 듯 말했다.
   “엄마, 내 배는 너무 나왔어.”
   “아직 어려서 그래. 지금은 몸이 작고, 배 속 공간도 작아서 배만 볼록한 거야. 위랑 폐랑 이런 장기들이 이 작은 배에 다 들어가야 하니까. 아기 때는 이거보다 너 볼록했었어. 앞으로 클수록 들어갈 거야. 그리고 무엇보다도 어릴 때는 배가 이런 게 사랑스러워.”
   나는 공을 넣어 놓은 것처럼 동그스름하게 나온 그 작은 배를 위아래로 부드럽게 쓰다듬었다. 그렇게 해주면 늘 기분 좋아했던 로운이가 이번에는 옅은 한숨을 내뱉었다.
   “흐음. 나는 너무 뚱뚱해.”
   “뚱뚱하다고? 오히려 마른 편이야. 봐봐. 팔, 다리는 날씬하잖아. 조금 더 살찔 필요가 있지.”
   녀석은 긴가민가한 표정으로 거울 속 자신을 이리저리 살폈다.

  갑자기 몸매에 관심을 보이는 이유가 뭘까? 하원 직후에 이러는 걸 보니 아무래도 유치원이 진원지 같았다. 다행히 몸매 때문에 언짢은 일을 당한 건 아닌 듯 했다. 속상해하는 기색은 없었으니까. 아마 친구들 사이에 오갔던 대화나 행동들을 관찰한 끝에 몸매에 대한 기준을 세운 모양이다. 그리곤 집에 와서 자기 몸매를 평가한 것이고.
   녀석의 평가 기준에 ‘날씬한 게 좋다’가 있는 게 분명했다. 이는 요즘 우리 사회에 만연한 분위기가 반영된 것이다. 예쁘고, 날씬한 것이 진리이자 옳은 것처럼 여기는 분위기 말이다. 나는 그 왜곡된 ‘외모지상주의’가 못마땅하다. 많은 사람들이 자신에게 만족하지 못하고, 심지어 부정적인 시각으로 바라도록 이끄는 주범이기 때문이다.  
   내 아이들만큼은 그 분위기에 물들지 않기를 바랐기에 지금껏 내 언행을 조심해 왔었건만…… 나 혼자만의 노력으로 막기에는 역부족이었다. 일곱 살 로운이는 ‘외모지상주의’의 침범을 받고 말았다. 결국, 자기 몸매를 평가절하하며 한숨을 내쉬기에 이르렀다.
   일단 녀석 머릿속에 부정적인 생각이 더 뻗어 나가는 걸 중단시키는 게 나의 급선무였다.
   “로운아, 이제 간식 먹을까?”

  녀석은 금세 입꼬리를 올리고 고개를 끄덕였다. 내가 손을 뻗자 단풍잎처럼 조그만 손으로 내 손을 잡고 거실로 향했다. 아이의 마음을 돌리는 방법이 이처럼 간단하니 얼마나 다행인지 모른다.
   
   로운이는 간식을 먹으며 그림책을 읽었다. 작은 입속에 음식을 넣고 오물거리며 그림과 글자를 진지한 눈빛으로 훑는 그 모습은 너무나 맑고, 귀엽고, 사랑스러운 장면이다. 동심이 만들어내는 귀한 장면들을 하루에도 몇 번씩이나 실시간으로 감상할 수 있으니, 나는 참으로 복이 많은 사람이다.
   한동안 로운이를 바라보다가 다정하게 말을 걸었다.

  “로운아, 그거 알아? 엄마는 한때 엄마가 창피했었어.”

  “잉? 왜?”

  “엄마 어렸을 때 사진 봤지? 호빵같이 둥근 얼굴에 분홍색 옷 입고 서 있는 사진. 엄마는 어렸을 때 모습이 너무 못생겨서 그 사진을 누구에게도 들키고 싶지 않았어. 어른이 돼서도 그랬지.”
   내가 태어난 지 정확히 1년 되던 날, 동네에서 찍은 사진이다. 친정엄마는 그 사진을 볼 때마다 내가 돌 전에 걸었다며 자랑스레 말씀하시곤 했다. 하지만 주인공인 나는 내 모습이  부끄러웠다. 사진 속 얼굴 윤곽은 아주 동그란 것이 커다란 호빵 같다. 볼살은 살짝 건드려도 터질 듯 아주 빵빵하다. 머리 스타일은 일명 ‘바가지 머리’라고 불리는 그것인데, 숱이 어찌나 많은지 얼핏 보면 검은색 헬멧을 쓰고 있다고 오해하기에 충분하다. 터질 듯한 볼살과 풍성한 머리숱 탓에 눈, 코, 입 유난히도 작아 보인다. 사진 속 나는 요즘 우리 사회의 기준으로 말하는 ‘예쁜 구석’이라곤 없다. ‘못난이’라고 부르는 게 딱이다.  
   그 사진이 창피했다고 말하는 나를 향해 로운이가 고개를 갸우뚱했다.

  “그거 엄청 귀여운데?”

  “그래. 엄청 귀엽지? 엄마는 한때는 그 사진을 창피해했지만, 이젠 아니야. 이젠 그 사진이 너무 좋아. 엄마 자신을 가장 예쁘다고 생각해야 하는 사람은 바로 엄마니까. 우리 로운이도 로운이 자신을 가장 멋지게 봐주고, 자기 스스로를 멋진 사람이라고 생각하면 좋겠어. 너 자신을 창피해하지 말자.”

  “응.”
   내가 문제의 그 사진을 부끄러워하지 않게 된 것은 서른이 훌쩍 넘어서였다. 정확히는 친정 아빠의 죽음 이후였다. 철부지나 다름없던 나는 아빠가 돌아가신 후에야 참된 생각의 키를 키우기 시작했다. 사는 데 있어 정말로 소중한 것이 무엇인지를 깊이 있게 생각하며 가치관도 재정립했다. 그러다 보니, 전에는 별생각 없이 넘겼던 여러 가지 것들이 새롭게 보였다. ‘외모지상주의’에 대해 진지하게 우려하고 안타깝게 생각한 것도 그 효과 중 하나다. 그간 나도 모르게 머릿속에 자리를 틀고 있었던 ‘외모지상주의’를 지우고 나니 호빵 같은 모습의 내 사진이 달리 보였다. 더이상 창피한 것이 아닌, 내 소중한 추억의 한 장면으로 볼 수 있게 된 것이다.
   시간이 흘러 그 사진에 대한 마음이 더욱 깊어졌다. 그저 소중히 여기는 것을 넘어 아주 좋아하게 되었다. 사진 속 내 모습이 몹시 사랑스럽게 느껴졌다. 그 얘기를 로운이에게 들려주었다.

  “그런데, 엄마가 그 사진을 아주 좋아하게 된 이유가 있어. 바로 우리 로운이랑 라온이 덕분이지.”
   로운이 호기심반짝이는 눈빛으로 나의 다음 말을 재촉했다.
   “우리 로운이는 눈, 코, 입 중에 어디를 엄마 닮았게?”

  “눈! 아니, 코!”

  “코도 닮았고, 입도 닮았어. 로운이 입을 보면서 ‘어쩜 저렇게 귀엽고 사랑스러울 수 있을까?’ 싶었는데, 알고 보니 엄마 입이 그랬던 거더라고. 또 라온이 형아 눈은 엄마 눈이랑 똑같아. 형아 눈을 보면서도 엄청 매력적이라고 생각했는데, 알고 보니 엄마 눈이 그랬던 거야. 그러니까, 엄마 어렸을 때 그 사진 속 눈, 코, 입을 보면 우리 천사들 모습이 보여. 그래서 엄마는 아기 때의 내 모습이 너무 사랑스럽고 좋지.”
   로운이가 작고, 귀엽고, 사랑스러운 입을 활짝 움직여 함박웃음을 지었다.
   
   그 뒤로 녀석은 달라졌다. 자기 배가 너무 나왔다거나, 몸매가 뚱뚱하다면서 한숨짓는 일은 더이상 없었다. 대신 “난 너무 멋져.”라는 말을 종종 하는 아이가 되었다.

매거진의 이전글 글을 쓰는 사람에게 빛과 같은 구절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