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doowondo Aug 14. 2020

파레시아스트

나에겐 반복되는 삶의 패턴이 있다. 불편하거나 부당한 상황을 마주할 때 얘기할까 말까 고민하는 것이다. 둘 중 하나다. 화가 나서 어쩔 줄 몰라 하다가 참거나, 말한다. 참으면 심장이 빨리 뛰고 그 상황에 대한 생각으로 머리가 가득 차고 답답하다. 말하면 어떤 반응이 돌아올지 모르기 때문에 똑같이 심장이 빨리 뛰고 몸이 덜덜 떨린다. 대부분 참지 못해서 얘기한다. 
 
 이 패턴이 기억에 남는 것은 초등학생 시절부터다. 집에서 담배 피우는 아버지에게 담배 냄새난다고 코를 막으며 말했다가 아버지가 정말 무섭게 화를 냈다. 또, 학교에서 한 선생님은 반 친구를 뚱뚱하고 공부 못한다고 놀렸다. 너무 화가 나서 반성하시라는 내용을 일기장에 길게 써서 냈다. 또 옆 반 무서운 잘 나가는 친구가 가장 친한 친구 욕을 하고 다녀서 나도 똑같이 그 아이 욕을 하고 다녔더니 멱살 잡힌 적이 있었다. 부당하다고 느끼는 일들에 얘기했을 때 좋은 반응이 돌아온 적은 거의 없었다. 건방진 년, 겁 없는 애가 되기 더 쉬웠다.  
 
 어쩌다 <하루 한번 호오포노포노>라는 하와이 영성 책을 접하고 달라졌다. 책에서는 모든 가해자들은 한 때 피해자였다는 내용이 담겨있었다. 자신의 상처를 잘 보듬지 못했기 때문에 또다시 다른 사람에게 억압을 되풀이한다는 내용이었다. 실제로 그런 사례가 많았다. 그러면 못된 사람들을 이해할 수 있었다. 이해하니 아무런 문제는 없었다. 그저 안쓰러운 눈빛으로 바라보고 그 사람이 치유되길 바라면 될 일이었다.  
 
 그 사람을 이해한다고 해서 이런 태도를 유지하는 것은 좋은 선택이 아니었다. 억압자를 이해하는 동안 피억압자는 계속 해서 고통을 받고 있다는 것을 발견했기 때문이다. 한 상황에서 내가 당사자가 아닐 때 이런 태도는 중립적인 위치를 지키고 피억압자에게 또다시 고통을 준다는 것을 느꼈다. 결국 자신도 모르게 억압하는 사람의 편에 서게 되는 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이것은 정말 내가 원하는 게 아닌데 말이다.
 
 결국 다시 말하기 시작했고, 나의 패턴도 또 반복되기 시작했다. 다만 달라진 점이 있다면 이야기를 듣는 상대방의 심리적 상태를 조금 더 고려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또 하나 더 달라진 점은 이제 대학생이 되면서 상대방이 절대 권력을 가진 교수님이 되었다는 것이다. 교수에게 얘기하기는 쉽지 않다. 하지만 학교에 다니며 이미 총 네 명의 교수에게 수업 중 성차별적이고 권위적인 발언 등으로 문제제기를 했다. 익명으로 얘기해야지, 생각했다가도 못 참아서 손들고 얘기했다. 물론 돌아오는 반응은 좋지 않다. 그날 기분은 잡친다. 그러나 한 번쯤 교수님들이 길을 걷다가 다시 생각해보게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한다. 
 
 미셸 푸코의 <담론과 진실 : 파레시아>에서는 ‘파레시아’라는 개념이 나온다. ‘모든 것을 말하기’를 의미하는 고대 그리스어다. ‘파레시아’는 위험에도 불구하고 비판적 태도를 가지고 진실을 말할 수 있는 용기이다. 그렇기에 늘 화자는 대화 상대자보다 열등한 위치에 놓이며 약하다. 아테나이 시민의 정치적 권리이자 철학 담론의 특징이었다. 따라서 파레시아가 출현하는 공간은 광장이 아닌 궁정이었다고 한다. 미셸 푸코는 이 ‘파레시아’를 윤리적이고 정치적인 성찰을 위한 역할이라고 여기고 이에 대해 연구를 하고 강연을 했다. 이 개념을 알고 나는 어쩌면 건방진 애가 아니고 ‘파레시아스트’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면서 위안을 받았다. 그러나 매번 용기를 내야하고 손이 덜덜 떨리는 것은 똑같다.

작가의 이전글 자식이자 사람인 청년을 위해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